• 제목/요약/키워드: Librarian Continuing Educa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97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참고사서을 위한 계속교육 (Continuing education for reference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 박준식;박은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69-59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theoretical systems concerning the necessity, methods, contents, and institution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reference librarians in Korea, and to present a direction after performing a survey research to the librarians and grasping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system. The necessity, participation, contents, and performing institutions of continuing educ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sub-groups divided by gender, age, academic level of study, career as a librarian were analyzed. Also the dire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reference librarians wa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content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or an ideal form to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reference librarians were presented in this thesis. 1)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inuing educations are performed at a professionalized institutions such as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in a college and an education center for librarians which offers the Certificates of Advanced Study(CAS) as a librarian.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gram in which a working reference librarian may take more chances to study during vacation, weekends, or in the evening time.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per educational contents that reference librarians want, and to educate the librarians in order for them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times.

  • PDF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분석 (A Survey of Children's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for Develop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 차미경;이연옥;양수연;정혜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5-11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88명의 어린이 사서가 응답한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와 어린이 사서의 현황을 조사하고 계속교육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 Continuing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Focusing on Privatized Public Libraries)

  • 김태희;리상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3-395
    • /
    • 2014
  • 본 연구는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속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현황조사를 통해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과의 교육훈련과정과 지역대표도서관에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고, 국외사례로 미국과 영국의 도서관관련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이상에서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국내 위탁도서관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계속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의 계속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Enhancing School Librarians' Expertise: Focusing on the Goyang-si in Gyeonggi-do)

  • 이승민;박옥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7-290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계속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고양지역 초 중 고등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및 사서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 경험이 높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둘째, 참여비중이 가장 높은 계속교육 유형은 단기연수 및 강습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고 있는 계속교육이 실무와의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리자의 낮은 인식과 지역적 제약과 적합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부재가 계속교육의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무시간 중과 방학 중의 계속교육을 선호하며, 다양한 주제의 계속교육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속교육, 계속교육을 독려하기 위한 정책지원, 전문성을 위한 계속교육 과정 개발, 관리자의 인식전환 및 계속교육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 윤영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1-146
    • /
    • 2003
  • 북미,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의학사서 교육제도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문헌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가능한 의학사서를 위한 교육 모델을 고안하였다. 교육모델은 의학사서의 정규양성과정, 의학사서의 계속 교육과 의학사서 자격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 PDF

PEST-3Cs-SWOT 방법론을 적용한 사서 계속교육 기관의 전략과제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riving Strategic Tasks of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Librarians Applying PEST-3Cs-SWOT)

  • 정영미;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43-376
    • /
    • 2022
  • 전문직의 계속교육은 지속적인 전문성 능력 향상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다.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 또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계속교육 전략 수립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 계속교육의 중심이 되는 국가 기관의 내외부 환경분석을 통해 국내 사서 계속교육의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환경분석 방법론으로 PEST-3Cs-SWOT의 복합적 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PEST분석을 위해 도서관, 사서, 사서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광범위하게 검토하였고, 3Cs 분석을 위해 내부 직원의 심층 면접, 교육대상자의 수요조사에 관한 설문데이터 분석, 국내외 유사기관 사례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SWOT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강점-기회 전략과제 4가지, 약점-기회 전략과제 5가지, 강점-위협 전략과제 5가지, 약점-위협 전략과제 3가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사서 계속교육 기관의 전략과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발전계획 및 전략 수립과 유사한 업무에 적용할 만한 복합적인 분석 방법론을 제시·적용하였다는 것에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 황옥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3-19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급속한 도서관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요구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 주제를 조사하였다. 국내외 사서직 계속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 시행의 $2003년{\sim}2006년$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고 미국도서관협회 및 미국연구도서관협회가 2005년도에 시행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실시하여 현직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요구하는 계속교육 프로그램 주제를 분석하였다. 이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이용자 교육, 정보검색, 전자저널 및 라이선스 등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요구하는 주제분야와 더불어 지적자유, 재난기획, 대학교수진과의 협력, 프리젠테이션 및 교수기법 등 국외 사례 분석을 통해 제시된 교육과정들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사서 역량개발 방향 탐색을 위한 직원교육 현황분석 (An Analysis of Continuing Education Statu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ians)

  • 최윤희;정유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5-277
    • /
    • 2021
  • 본 연구는 사서의 자기계발 관심영역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가 한 해 동안 수강한 교육이수내역을 바탕으로 사서 계속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실시한 대학도서관 통계의 직원 교육훈련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사서들의 교육이수내역 30,404건을 대상으로 직원교육의 핵심 키워드를 부여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사서의 선호 교육주제, 대학 규모별, 지역별, 월별 관심 있는 교육주제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체 수강강좌의 주제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직원교육 주제는 'DB이용'과 '자료목록'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유형(대학/전문대학)과 규모, 지역 등에서 사서의 교육훈련 관심영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서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에 비해 '정보자원 및 평가'와 관련된 주제 영역에 관심이 치우쳐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교육이수내역 전수조사를 통해 교육의 주제영역에 따른 현황을 파악한 것으로, 향후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실질적인 관심사를 반영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irkpatrick 평가모델을 활용한 사서교사 계속교육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Effec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 Teachers Using Kirkpatrick Education Model)

  • 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5-31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 교육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있다. 2022년 하계 『사서교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사서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3단계의 교육평가를 진행하였다. 1단계는 교육 전반에 관한 만족도 조사이며 교육 후에 조사되었으며, 2단계와 3단계는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조사하였고, 전후 차이 분석으로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학습평가이며 3단계는 직무역량향상 평가이다. 연구 결과 모든 단계에서 높은 측정 점수가 산출되었고, 2단계 학습평가에서 교육의 전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직무역량향상평가에서는 교육 후에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단계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모델이 보완되고, 유효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균형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