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Big Dat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연구: 대전한밭도서관을 중심으로 (Big Data Analysis for Public Libraries Utilizing Big Data Platform: A Case Study of Daejeon Hanbat Library)

  • 온정미;박성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5-50
    • /
    • 2020
  • 2016년 1월 1일부터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이 서비스되기 시작하여 도서관 빅데이터가 공공도서관 업무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사례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들에서 활용한 빅데이터와 활용유형분석 및 도출된 서비스/시행정책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통합도서관리시스템(ILUS)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각각의 자료분석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점과 이점을 살펴본다. 사례분석 결과,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장서, 수서, 기타의 유형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서비스/시행정책은 이용자 맞춤형 테마서가 및 독서진흥프로그램 진행, 장서활용도 증대, 특화주제에 기반한 수서 및 대출현황 데이터 공개로 요약되었다. 비교분석결과, ILUS는 자관의 자료실현황분석에 특화되어 있으며, 빅데이터 플랫폼은 다양한 속성(연령, 성별, 지역, 대출시기 등)에 따른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시간단축과 유연한 분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비교분석에서 밝혀진 특징 및 한계점을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빅데이터의 이해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 (Understanding Big Data and Utilizing its Analysis in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3-73
    • /
    • 2013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재조명한 것이다. 빅데이터의 개념, 제기되는 중요한 이슈,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이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각종 문헌과 사례를 검토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의 개념은 현실사회의 맥락에서 분석, 가치가 부가되어야 그 의미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에 대한 문제, 개인정보보호, 보완, 윤리적 이슈, 지적재산권 등 다양한 이슈가 빅데이터 연구와 연관되어 제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슈에 대한 문제제기를 이해한 가운데 빅데이터는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했는데 도서관의 비전과 전략 수립에 도입하거나 지역사회를 지원하고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는 등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용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 문화프로그램 및 커뮤니티 서비스 정보를 중심으로 - (Big Data Platform for Public Library Users: Focusing on the Cultural Programs and Community Service)

  • 윤소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7-370
    • /
    • 2022
  • 공공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도서관 프로그램 정보는 대부분 비정형 데이터로 서지정보와 같이 체계적으로 생산하고 활용할 수 없어 기존의 도서관 빅데이터 연구나 사례에서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웹사이트 개편이나 담당자 변경 시 사라질 위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정형으로 생산되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및 커뮤니티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서지데이터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스키마를 개발하고,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커뮤니티 서비스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 그리고 문화프로그램 기획자인 사서간의 정보 채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서지데이터에 문화프로그램과 커뮤니티 서비스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장서 기반 서비스를 확충할 수 있고 도서관 웹사이트에 게재되는 도서관 프로그램 데이터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업무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개별 도서관의 특화된 서비스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할 수 있다.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 표순희;김윤형;김혜선;김완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3-86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도서관 분야에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도서관 빅데이터의 활용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 빅데이터의 개념과 내용 및 가치 등을 고찰하고,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분석을 바탕으로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서비스 모형 개발을 위해 도서관 빅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활용 가능한 도서관 빅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수요자의 요구를 다양한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수요자의 요구 분석은 도서관계 연구자 및 현장 사서와의 심층인터뷰,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 사서 및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총 16개의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을 정의하고, 서비스의 필요성, 시급성, 개발 가능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사서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와 이용자 도서 추천 및 독서이력 관리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BIG DATA ANALYSIS ROLE IN ADVANCING THE VARIOUS ACTIVITIES OF DIGITAL LIBRARIES: TAIBAH UNIVERSITY CASE STUDY- SAUDI ARABIA

  • Alotaibi, Saqar Moisan F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297-307
    • /
    • 2021
  • In the vibrant environment, documentation and managing systems are maintained autonomously through education foundations, book materials and libraries at the same time as information are not voluntarily accessible in a centralized location. At the moment Libraries are providing online resources and services for education activities. Moreover, libraries are applying outlets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s well as Instagrams to preview their services and procedures. Librarians with the assistance of promising tools and technology like analytics software are capable to accumulate more online information, analyse them for incorporating worth to their services. Thus Libraries can employ big data to construct enhanced decisions concerning collection developments, updating public spaces and tracking the purpose of library book materials. Big data is being produced due to library digitations and this has forced restrictions to academicians, researchers and policy creator's efforts in enhancing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Accordingly, helping the library clients with research articles and book materials that are in line with the users interest is a big challenge and dispute based on Taibah university in Saudi Arabia. The issues of this domain brings the numerous sources of data from various institutions and sources into single place in real time which can be time consuming. The most important aim is to reduce the time that lapses among the authentic book reading and searching the specific study material.

도서관 데이터 성숙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Data Maturity of Library)

  • 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13-231
    • /
    • 2023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데이터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안)을 개발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성숙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성숙도 평가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5개 영역의 19개 평가 요소로 구성된 데이터 성숙도 모형을 설계하였고, 성숙도 단계는 5단계로 설정하였다. 향후 데이터 성숙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빅데이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의 데이터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 데이터 기반 도서관 운영 및 데이터 활용 발전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체르노프 페이스를 사용한 광역자치단체 공공도서관 운영 및 이용 분석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Uses of 16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of Korea by Using the Chernoff Face Method)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71-287
    • /
    • 2017
  • 본 연구는 체르노프 페이스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운영 및 이용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르노프 페이스를 사용한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얼굴의 어떤 부위로 어떤 데이터를 표현할 것인가를 결정하였다. 분석 결과 8개 조사 대상 분야에서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대체로 광역자치도가 광역시보다 도서관 운영 및 이용에서 우수하였다. 즉, 광역자치도는 광역시보다 더 많은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고, 더 많은 장서를 가지고 있고, 더 많은 예산과 직원을 투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운영 결과는 더 많은 이용자들의 도서관 자료실 이용과 자료 대출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신문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본 국내 정보화의 경향과 도서관의 역할 (Trends of South Korea's Informatization and Libraries' Role Based on Newspaper Big Data)

  • 나경식;이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4-33
    • /
    • 2018
  • 본 연구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총 4개의 신문기사에서 정보화 및 도서관과 관련해서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의 객관적인 신문 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정보화 트렌드를 분석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를 활용하여 메타데이터 및 연관어(공기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키워드 '정보', '정보화'와 '도서관'의 시대별, 분야별로 단순빈도 분석과 군집 및 분류 등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기관의 발행물인 '정보화백서'와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술지'의 연구 주제와 비교를 통해 언론과 연구에서 나타나는 정보화의 경향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언론을 바탕으로 형성된 국내 정보화의 트렌드를 해석하고자 시도했으며, 장기시계열적 데이터인 신문기사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정보화와 함께한 도서관의 성장과 발전의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정보화와 도서관정보화정책 발전방향의 기본적인 틀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User Demand Forecasting and Improvement Plan of Gimpo City Library Service

  • Noh, Younghee;Chang, Inho;Kang, Ji Hei;Chang, Ros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7-27
    • /
    • 2020
  • With accommodation of a population of many young people and families due to Hangang River New Town Housing Project and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spheres, a need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libraries service for Gimpo citizens and to establish more librarie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book lending data of Gimpo City libraries, and the city's libraries-related social media big data in an effort to forecast the users, and thus to propose four library service improvement measures. First, in terms of book gathering and book development policy plans, a proposal was made to expand good books for children and youth, and to expand general original-language books related to learning of English, and English books for children. Second,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additional libraries or specialization strategy, a proposal was made to establish exclusive children's libraries or English libraries, and to establish library specialization strategy with a focus on children and English themes. Third, in terms of library culture programs, a proposal was made to provide library culture programs in relation to children education and to expand weekend library culture programs. Fourth, in terms of library facilitie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parking facilities, a proposal was made to establish libraries near apartment complexes.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빅데이터 분석 연구 - 도서관 정보나루 장서/대출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ig Data Analysis of Public Library in Busan: Based on the Library Collection/Circulation Data)

  • 이순영;이수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89-114
    • /
    • 2021
  • 본 연구는 학계와 현장의 도서관 빅데이터 관련 움직임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인 도서관 정보나루의 장서/대출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초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과 빅데이터에 관한 선행연구와 활용사례를 참고하여 연도별 장서증가량, 주제별 장서구성비, 미대출 장서구성비, 주제별 장서회전율, 그리고 주제별 이용계수의 5가지 분석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도서관 데이터는 부산지역 33개 공공도서관의 장서/대출데이터 6,722,603건이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3개 공공도서관 간 장서수보다 대출수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간 장서증가량도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셋째, 소장 장서의 주제별 구성과 미대출 장서의 주제별 구성에 있어서 각 도서관들이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넷째, 이용자들의 대출은 주제별, 도서관별로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자연과학 분야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