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Budget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교회도서관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hurch Library)

  • 김명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5-173
    • /
    • 2000
  • 본 연구는 교회도서관의 기능, 직원, 자료, 자료조직, 시설, 열람봉사, 전산화. 예산등에 관하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추출하여 각 영역에서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조사대상은 교인이 10,000명 이상이며 도서관직원이 근무하는 서울시내의 7개 개신교 교회의 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회는 도서관을 설치한 곳이 대단히 적어서 교회운영자의 교회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시급하였다. 그리고 선구적인 입장에 있는 연구대상 교회도서관도 연구영역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앞으로 교회도서관은 직원. 자료, 시설, 예산을 확보하고, 전산화를 실시하여 교회활동을 보조하는 중요한 기관이 되어야 할 것이 요구되었다.

  • PDF

2014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와 대학도서관 평가지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Rankings by Korea Joongang Daily and Academic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in 2014)

  • 박일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경쟁력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2014년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30개 대학을 표본으로 하고, 4개 영역별 평가 점수와 도서관의 주요 지표인 도서관 건물면적, 장서수, 직원수, 예산을 변인으로 정하였다. 또한 평균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이 대학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1) 설립주체 평균분석에서는 국제화 지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간 평균분석에서는 국제화 지표와 평판 및 사회진출도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관분석에서는 도서관 예산과 직원수가 대학평가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교회도서관의 운영현황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Korean Church Libraries and Strategies for Revitalization)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48
    • /
    • 2010
  • 교회교육의 정상화와 기독교 문화 형성을 위하여 교회도서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교회도서관 설립은 5년 미만인 교회가 많고, 교회도서관은 시설, 자료구입비가 여전히 빈약하고 전담사서의 배치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서적 구성비가 종교서적 구성비보다 높으며, 2007년 이후에 소규모로 단독 신축된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자료가 약 80%에 달하였다. 많이 시행되는 프로그램은 독서지도, 동화구연, 가족문화행사, 아동문화행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언으로는 교회도서관의 적극적인 설치와 자료구입예산의 확보, 비도서자료의 다양한 구비, 도서관 홈페이지의 정비와 검색기능 강화, 전담직원의 확보, 교회내 타 교육기관과의 협력, 지역사회와의 협력, 타기관 도서관과의 상호협력을 주장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재정지원 방안 (A Study o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System to Bridge the Regional Gap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차미경;송경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9-160
    • /
    • 2010
  • 본 연구는 보편적 권리로서의 지역주민의 정보접근권의 보장을 위해 공공도서관 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중앙정부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효과적인 재정지원 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2008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입력된 공공도서관 연면적, 사서 수, 장서수, 예산, 자료구입비 등을 16개 광역지자체 별 인구 1인당 및 1관 당 평균을 비교 분석하여 지역 간 격차 현황을 제시 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재원구조와 2010년 광역 지역발전특별회계 도입에 따른 재정지원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조사하여 국가가 편성하는 국고보조금제도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외학술정보자원의 유통체계 개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in Korea)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21-147
    • /
    • 2018
  •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수집하여 유통 중인 해외학술정보자원의 양적 증가와 구입예산의 급증으로 인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학도서관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해외전자정보자원을 중심으로, 첫째, 대학도서관의 장서 및 자료구입비 규모를 분석하고, 둘째, 국내 외 도서관컨소시엄 현황을 살펴보며, 셋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KESLI 컨소시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ACE 컨소시엄, 한국대학도서관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추진하는 대교협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국내 도서관 컨소시엄의 운영현안과 정비방향을 고찰하면서, 넷째, 이를 토대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해외학술정보자원 수집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국.공립도서관 비교평가연구 -전국 46개 4년제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최정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23-5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library statistics. e. g., more than ten related current library statistics were inaccurated each other, so whole of statistic figures is not to be trusted. This research is make an attempt to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library situations. Especially, with special reference to basic library statistics in the [Bulletin of National & College University libraries](Vol. 1-14, 1983-96, published by Council on National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take the 24 major factors to compare and evaluate with 46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y libraries. Analyzing 24 factors including 5 subjects. These subjects are as follows: 1) Total numbers of staffs with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enrollment 2) Whole library collection of monographs and serial and publishcations. 3) Annual university budgets and library material expenditures. 4) Library facilities and building square measure. 5) Library service situation with circulation, inter-library loan/borrow and monograph D/B build up.

  • PDF

한국사회의 문자.도서관 이용자에 관한 연구 (A Historical Survey of Literacy and Library Users in Korea)

  • 전명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1-289
    • /
    • 2003
  • 역사적으로 한국사회의 문자ㆍ도서관이용자를 이해하기 위하여 문화변용이론과 랑가나단의 이론을 적용하고, 이용자의 통계를 수집하여 시계열분석 한 결과 고대에는 혈통이나 상업, 종교, 고려와 조선에서는 사회계층이 문자ㆍ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는 도서관의 장서량과 증가책수, 예산, 국가의 정보정책과 도서관이용자수가 관계가 있다.

  • PDF

공공도서관의 재원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Finance)

  • 서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63-301
    • /
    • 1992
  • In recent years, Korean public libraries, placed under changing circumstances, require that some new and positive financial policies be formula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services. T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e to ensure the revenues of Korean public librari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Public finance theory is applied to the question of why the public library is publicly supported. The public library does not contribute to stabilization, but it does playa role in each of the other public sector functions : allocation of resources and redistribution of income. In public finance terms there is justification for at least partial subsid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hich have the attributes of public goods, merit goods and externalities. (2) Public libraries in Korea find themselves suffering from limited budgets. They are neglected in national and local budgets. The lack of adequate funding for library collections prevents libraries from rendering efficient services. (3) In order to put the finances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system on a firm basis, the following proposals are made: 1) It is proposed that the parallel administration under which public libraries are organized be unified to be directly under the local governments. 2) It is proposed that th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 for public library finance be strengthened. (1) Library expenses should be itemized independently in the calculation of general grants-in-aid to local governments. (2) A fixed portion of the total municipal revenue should be appropriated for public library services. It can be executed by making provisions expressly in the annual guidelines for budgeting, municipal ordinances, or in the Library Promotion Law. The rate of allocation should be specified as a part of the national public library development plan. (3) Library tax as a local tax can be imposed. An indirect tax is preferable in order to avoid public misunderstanding and antagonism. 3) The augmentation of the specific grants-in-aid for the public library is proposed. The Library Promotion Law and the Law on Budget and Administration of Grants should be amended to oblige the central government to give financial assistance to local public libraries. 4) It is proposed that strategies to encourage private endowments be worked out. Revision of the Law o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and the activation of an advisory library committee at each public library are recommended. 5) Funding and utilization of the envisioned Library Promotion Foundation is proposed. Government contributions, contributions from the Culture and Arts Foundation, and donations from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enterprises can be considered as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Foundation. 6) It is proposed tha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be consolidated to exercise greater influence over the formation of national policy on the public library system. 7) It is proposed as an ultimate guarantee of the health of the public libraries that the citizenry be educated to strongly support library services in responce to the active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 PDF

대학도서관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Management of University Library)

  • 박인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7-11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odel of the strategic management of university library in Korea. The model from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External environment is divide into opportunities and threats. 2) Internal environment is divide into strengths and weakness. We can formulate a management strategy on the basis of library environment element from environment analysis and library situation. 2. Formulation of strategic management are formulated through three stages. 1) Library strategy: $\circled1$Growth strategy $\circled2$Stability $\circled3$Retrenchment 2) Business(competition) strategy 3) Functional strategy: $\circled1$Material organization strategy $\circled2$Collection strategy $\circled3$Reference service strategy $\circled4$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circled5$marketing strategy 3. Implementation of strategic management 1) The chief of strategy implementation 2) Programs, budgets and procedures 3) Structure and strategy implementation 4) culture and strategy implementation 4. Evaluation and control of strategy implementation.

  • PDF

대학평가인정제의 실시와 대학도서관 자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Accreditation Program and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Library Resources)

  • 차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18
    • /
    • 2000
  • 본 연구는 대학평가인정과정 중 도서관 관련 영역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 제도가 평가인정을 받은 대학의 도서관의 자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도서관통계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서관 평가항목에 포함된 열람좌석수, 도서와 연속간행물 소장량 및 예산은 대학종합평가가 실시된 이후 크게 증가하였지만, 평가에 포함되지 않은 직원부문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는 점을 발견하고, 도서관 평가항목과 측정방법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