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7-123
    • /
    • 2011
  • 장애인들은 오랫동안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소외되어 왔다.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해소라는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자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야 할 것이며, 장애유형별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를 창출하고 그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 및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보건복지부 장애인 통계 및 실태조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장애인의 장애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licies of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전재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57-173
    • /
    • 2002
  •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접근의 평등권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소외계층인 장애인의 삶의 질과 문화적 향수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도서관도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서 예외일 수는 없으며,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의 서비스는 그 지역사회의 공공 서비스에서 핵심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표준화 정책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참고하여야할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복합문화예술센터 장애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ulture and Art Complex)

  • 곽철완;김호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41-261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에 복합문화예술센터가 증가하면서 방문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체, 청각,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집단면담법을 이용하여 복합문화예술센터에서 제공되어야 할 장애인 정보서비스에 대해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는 홈페이지 정보, 안내 데스크, 오리엔테이션 장소, 정보검색 장소로 구분하여 지체, 시각, 청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안내 데스크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적극적인 서비스와 지체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논의되었다. 오리엔테이션 공간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기기 설치와 지체 장애인을 위한 좌석 위치를 제시하였다. 제언으로 복합문화예술센터에서 장애유형별 정보 탐색 행태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n Information Ga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영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9-91
    • /
    • 2007
  • 본고에서는 장애인정보격차해소에 관련된 각종 사항들을 논의하며 특히 공공도서관을 통해본 장애인 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은 국립장애인 도서관 지원센터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장애인서비스의 향후 연구과제로 시각장애인 외에도 청각, 지체장애인 등 다양한 장애유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고 제안하였다.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Websites to Students with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 Kiruki, Beatrice Wamaitha;Mutula, Stephen Mudogo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55-75
    • /
    • 2021
  • This article examines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websites to students with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The study used survey research design and adopted a mixed methods approach. Data were gathered using survey questionnaire, focus group discussions, 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six public universities that ha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enrol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ensus was used to obtain a study sample comprising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86),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91), University Librarians (6), Personnel from Disability Mainstreaming departments (6), Systems Librarians (6) and Library Personnel who provided information servic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133).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IFLA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hecklist were used as conceptual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study. Study results revealed that all the libraries had library websites. However, the websites did not have disability services page or information specific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so a se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ed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library websites and e-resources available through them. Additionally, the website design posed various access challenges. The study conclud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xcluded from access and use of library websites in public universities. The authors recommended that library websites must contain disability services page containing information specific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Moreover, libraries should evaluate their websites to ensure compliance with W3C requirements for web content accessibility. Additionally, libraries should develop disability policy to provide guidance on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사례와 면접을 통해 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o Review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송경진;이정은;손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7-219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지적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접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서비스는 대부분 상시적인 서비스보다는 단기간의 프로그램 형태였으며, 복지관 등의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직접 이러한 서비스를 실시했던 공공도서관의 사서들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제공의 당위성에는 공감하고 있었으나 운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예산과 인력 지원, 정책적인 견인 조치, 도서관의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는 지적장애인서비스 모델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활동 모형 연구 (A Model On Voluntary Activity in Library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 김혜주;안인자;박미영;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17-241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활동의 모형 구축을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연구한 '전국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의 결과와 장애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65개 공공도서관(점자도서관 포함)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조사와 인터넷 조사, 문헌연구를 이용하여 장애유형 및 서비스별 활동 분야, 참여경로, 수행역할, 자격 및 자질, 활동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활동 모형을 봉사의 목적과 서비스 분야, 장애유형의 3요소로 구성하였다. 봉사 활동의 목적은 도서관, 장애인, 그리고 자원봉사자 3자를 위한 것이다. 장애 유형은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관점에서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서비스 분야는 장서구축 및 대체자료, 이용자 서비스, 웹 전자정보 서비스, 시설 및 접근 서비스,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가지 활동 분야로 나누고 각각의 서비스 분야마다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ies (AT) Preferences of People Living with Visual Disability as Information Access Tools in Academic Libraries

  • Adefunke Olanike Alabi;Olatokunbo Christopher Okik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35-50
    • /
    • 2023
  • Assistive technologies are necessary for ensuring independent living and equal participation in an information-based society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PLW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istive technology preference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approach academic libraries should adopt in procuring assistive technologies. The study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 survey as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visually disabled students in four public universities in Nigeria. Using the total enumeration metho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information from 151 stude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ake in the survey. The study found that access to electronic resources, scanning/conversion of print resources to electronic formats and access to information on the Web were among the technology-based services provided to visually disabled students. COBRA, ZoomText, Supernova and Dragon Naturally Speaking are the most preferred assistive technologies (software). At the same time, handheld scanners ($\bar{x}=4.40$) and braille keyboards ($\bar{x}=4.60$) are the most preferred assistive technologies in the hardware category by visually challenged students.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he library management should consult with students living with a visual disability before procuring assistive technology. Findings from this study thus provide further evidence of the need for librarians to fulfil their moral and legal obligation in advocating the provision of assistive technologies. Library administrators and university stakeholders should expedite actions on meeting the assistive technology needs of people living with visual disabilities. These actions should transcend mere policy formulation on the provision of assistive technologies to restructuring their services and spaces to accommodate assistive technologies as information service delivery tools for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Level of Service on Academic Library Users with Disabilities)

  • 박종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1-92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 장애 학생의 교육복지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적인 서비스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장애인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기준과 대학도서관의 직무단위, 그리고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여 대학도서관에 적합한 장애인 서비스 평가요인과 하위지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요인과 하위지표는 대학도서관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로서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지표 검증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 집단이 인식하는 대학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평가요인은 8개 요인 33개 하위지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요 선진국 민간주도형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Private-led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Major Advanced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3
    • /
    • 2022
  •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접근은 보편적 인권이다. 그러나 2013년 6월 27일 마라케시 조약이 채택된 후에도 대다수 국가에서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독서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자료는 표준 인쇄물의 1-7%에 불과하고 도서관서비스도 매우 취약하여 도서 기근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격차 및 불평등에 주목한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에서 민간단체가 장애인서비스를 주도하는 미국 Learning Ally와 Bookshare, 영국 RNIB, 프랑스 BNFA, 일본 SAPI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모태와 발전, 법적 근거와 주요 정책, 도서관과의 관계, 회원제도, 서비스 체계와 내용, 대체자료의 개발과 확보, 서비스 제공 실적 등이다. 그리고 도출된 시사점과 마라케시 조약을 기반으로 국내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강화를 위한 전략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장애인 '독서장벽 해소를 위한 법률' 제정 촉구, 도서관서비스를 제약하는 「저작권법」 관련 조항 개정, 국립장애인도서관 조직역량 강화, 도서관평가에서 장애인서비스 지표 제고, 광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확대 등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