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 code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산술부호화 방식의 FAX 응용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Arithmetic Coding for Applications to Fax Machines)

  • 조석팔;진용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382-1397
    • /
    • 1991
  • JBIG에서 추천된 QM-CODER를 G3 FAX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과 실험결과를 제시 한다. 실제 구현을 위하여 다음 세가지 특성을 가지도록 QM-CODER를 수정한다 : 1) 전송 에러의 누적을 막기 위하여 line마다 초기화 한다. 2) 확률 추정을 위한 context를 1화소로 한다. 3) G3 기종과 같이 최소 scan line time를 10msec로 하기 위하여 Fill Bit를 추가한다. 실험 결과 수정된 QM-CODER가 저가형 G3 FAX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dither된 화상에 대하여 고압축율을 얻기 위하여 QM-CODER를 적용하기전에 rearrange process를 사용하여 기존의 QM-CODER를 사용하는 것보다 1.13,1.31배 압축율 높였다.

  • PDF

유니코드 기반 UTF-8 한글글자마디 부호의 회선부호기내 스크램블링 발생에 관한 연구 (Study on Scrambling Occurrence in Line Coder for UTF-8 Hangul Syllable Code based on Unicode)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31-836
    • /
    • 2015
  • 본 논문은 국제적 문자부호체계인 유니코드 체계를 기반으로 한 한글글자마디의 UTF-8부호가 회선부호기상에서 어느 정도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지를 연구하였다. 회선부호기의 ${\ldots}$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것은 ITU-T의 규격중 AMI 회선부호기에 적용되는 HDB-3 스크램블링과 관련된다. 본 논문은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문자의 코드를 분석하기 위해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UTF-8한글글자마디부호 중에서 약 39%의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mplexity Reduction Algorithm of Speech Coder(EVRC) for CDMA Digital Cellular System

  • Min, So-Ye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551-1558
    • /
    • 2007
  • The standard of evaluating function of speech coder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an be shown in channel capacity, noise immunity, encryption, complexity and encoding delay largely. This study is an algorithm to reduce complexity applying to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hich has a benefit of keeping the existing advantage of telecommunication quality and low transmission rate. This paper has an objective to reduce the computing complexity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band nonuniform during the changing process of LSP(Line Spectrum Pairs) parameters from LPC(Line Predictive Coding) coefficients used for EVRC(Enhanced Variable-Rate Coder, IS-127) speech coders. Its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when comparing the speech coder applied by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existing EVRC speech coder, it's decreased by 45% at average. Also, the values of LSP parameters, Synthetic speech signal and Spectrogram test result were obtained same as the existing method.

  • PDF

UTF-8 부호의 HDB-3스크램블링 최소화를 위한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 (Source Coding Rule of Characters to Minimize HDB-3 Scrambling in Line Coder for UTF-8 code)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019-1026
    • /
    • 2015
  • 본 논문은 UTF-8 부호화된 문자의 원천부호가 회선부호기에 입력될 때 HDB-3 스크램블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을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는 원천부호자체가 회선부호기에 입력될 때 HDB-3 스크램블링을 최소화하기 위한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에 관한 내용이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원천부호가 UTF-8부호로 변환되면서 UTF-8부호와 원천부호간의 스크램블링 관계가 상호 대응적이지 않음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UTF-8 부호의 HDB-3 스크램블링 최소화를 위한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이 없을 경우, UTF-8부호에서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부호를 분석하기 위해 원천부호를 모두 UTF-8부호로 변환한 후에 분석을 통해 스크램블링이 발생하지 않는 원천부호영역에서 부호화해야 한다. 제안된 UTF-8 부호에 대한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을 적용할 경우,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크램블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문자의 원천부호화가 가능하다.

Low Complexity Vector Quantizer Design for LSP Parameters

  • Woo, Hong-Ch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3E호
    • /
    • pp.53-57
    • /
    • 1998
  • Spectral information at a speech coder should be quantized with sufficient accuracy to keep perceptually transparent output speech. Spectral information at a low bit rate speech coder is usually transformed into corresponding line spectrum pair parameters and is often quantized with a vector quantization algorithm. As the vector quantization algorithm generally has high complexity in the optimal code vector searching routine, the complexity reduction in that routine is investigated using the ordering property of the line spectrum pair. When the proposed complexity reduction algorithm is applied to the well-known split vector quantization algorithm, the 46% complexity reduction is achieved in the distortion measure compu-tation.

  • PDF

위성 영상을 위한 계수분할 웨이블릿 패킷 영상 부호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Wavelet Packet Image Coder Using Coefficients Partitioning For Remote Sensing Images)

  • 한수영;조성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59-36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영상 부호화를 위해 분할계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새로운 웨이블릿 패킷 영상 부호화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웨이블릿 패킷 영상 부호화기 알고리즘은 주파수 부대역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계수분할 순서(CPSO, Coefficient Partitioning Scanning Order)를 정의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부모-자식 노드 관계를 도출하고, 도출된 부모-자식 노드 관계를 이용하여 계수들을 제로트리 방식으로 부호화함으로써 영상 복원시 오차를 감소시켰다. 그 결과 기존의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비트율과 제곱 오차에 대해서 성능개선이 이루어 졌고, 응용분야에 따라 비트율 조정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하였다. 특히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 중 도시 중심부나 농경지 등과 같이 중고주파 대역성분이 많이 포함된 영상의 경우,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처리 방법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자료 영상들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작은 파일크기에서도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실시간 시스템이나 온라인 영상처리, 영상합성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전송효율을 고려한 유니코드의 한글글자마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gul Syllables of Unicode System considering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9-46
    • /
    • 2015
  • 본 논문은 유니코드 한글글자마디부호를 사용할 때 스크램블링으로 인하여 회선부호기의 데이터 전송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회선부호기의 스크램블링은 원천부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장거리전송에 사용되는 AMI회선부호화에 적용하는 국제표준방식인 HDB-3 스크램블링 방식을 토대로 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한글글자마디와 이에 대한 사용빈도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자료를 분석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니코드 한글글자마디에서 평균 24%의 스크램블링이 발생하였다. 유니코드 한글글자마디부호에 참고된 한글글자마디를 적용할 경우에 평균 27%의 스크램블링이 발생하였다. 유니코드 총 11,172개의 한글글자마디에서 스크램블링이 발생하지 않는 글자마디는 총 8,928개였다. 그러므로 참고된 한글글자마디 총1,540자를 스크램블링이 발생하지 않는 부호영역에 수용하여 스크램블링이 발생되지 않는 원천부호체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한글글자마디 부호체계를 적용할 경우, 27%의 스크램블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물리계층의 회선 부호화기에서 발생하는 스크램블링을 표현계층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회선부호기의 데이터전송처리 효율을 최소 27%이상 제고시킬 수 있다.

Enhanced Prediction Algorithm for Near-lossless Image Compression with Low Complexity and Low Latency

  • Son, Ji Deok;Song, Byung Cheo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2호
    • /
    • pp.143-15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new prediction methods to improve compression performance of the so-called near-lossless RGB-domain image coder, which is designed to effectively decrease the memory bandwidth of a system-on-chip (SoC) for image processing. First, variable block size (VBS)-based intra prediction is employed to eliminate spatial redundancy for the green (G) component of an input image on a pixel-line basis. Second, inter-color prediction (ICP) using spectral correlation is performed to predict the R and B components from the previously reconstructed G-component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coding efficiency by up to 30% compared with an existing algorithm for natural images, and improves coding efficiency with low computational cost by about 50% for computer graphics (CG) images.

Domestic Production Process of Early Korean Broadcast CG Equipment

  • Nah, So-Mi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8권4호
    • /
    • pp.285-294
    • /
    • 2021
  •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CG (Computer Graphics) needs to be studied by classifying the technical part and the design part. This paper analyzes how early domestic broadcast equipment evolved and focused on what went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have introduced and used overseas equipment and have begun to develop their own technolog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domestic production technology of broadcasting stations was classified into Character Generator, On-line Real-Time Graphic and Sport Coder. It was found that the orientation of broadcasting technology was conclusively focused on visualization, with socio-cultural factors acting along with the evolu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reorganizing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CG technology in the early days through previous research (primary verification), newspaper articles and news coverage (secondary verification). This paper looks at what is missing by regaining the past of CG, and argues that with the advent of new technologies today, we must develop through appropriate division of roles and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s and designers.

데이터통신 전송효율과 라틴어 부호 체계 고찰 (A study on Code System of Latin Character to Improve Transmission Efficiency in Data Communications)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61-776
    • /
    • 2012
  • 본 논문은 국제표준 문자부호 체계인 유니코드(Unicode) 3.0에 포함된 라틴어 문자에 관한 새로운 부호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시작 배경은 Unicode 3.0의 라틴어 부호 체계가 데이터통신의 전송효율 측면에서 적정한가에 대한 것이었다. 데이터통신을 할 때, 4개 또는 8개 이상의 연속 "0"의 비트가 단말 정보기기로 부터 회선부호화 장치에 입력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 비트열은 스크램블링 과정을 거쳐 연속 "0"이 아닌 비트열로 변경된다. 그러므로 단말 정보기기에서 처리되는 0 문자, 기호 등의 부호 체계에 따라서 데이터통신의 회선부호기 운용이 달라지게 된다. 즉, 데이터통신의 전송효율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1]에서 제시된 ($4{\times}4$)hexa 원천 부호화 규칙과 영어 문자의 사용빈도 통계를 적용하여 유니코드와 UTF-8의 라틴어 부호 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된 유니코드와 UTF-8 라틴어 부호 체계를 적용할 경우, 회선부호기의 스크램블러 운용효율이 유니코드를 통신용으로 사용할 경우 최소 3645%에서 최대 31400%, 제시된 UTF-8 부호 체계를 적용할 경우 최소 480%에서 최대 1700%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