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guistic intelligence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생의 일반창의성, 언어지능, 국어성적과 언어창의성 간의 관계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Domain-General Creativity, Linguistic Intelligence, Korean Language Grade and Linguistic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박정환;홍미선;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60-3767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창의성, 언어지능, 국어성적이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시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4학년 33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검사는 다중지능검사 중 언어검사와 일반창의성 검사인 TTCT이며 국어성적은 학교에서 실시한 중간, 기말시험 성적을 사용하였으며 언어창의성은 에세이쓰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언어창의성은 일반창의성 전체점수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서는 제목의 추상성과 정교성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언어창의성은 국어성적과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지능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어창의성은 일반창의성 가운데 제목의 추상성 요인이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목의 추상성 수준에 따라 언어창의성 평균은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교수학습계획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 황혜신;오연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85-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is purpose, multiple intelligences test(K-MIDAS) was conducted on 80 teachers in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sangnam-do and they were asked to map ou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bout topic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PC program(16.0 versio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had the highest levels in interpersonal intelligence, followed by music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ccounted for an especially high proportion of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he higher a preschool teacher's physical activity intelligence,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physical exercise, music, and logic and mathematics in their teaching plans. It was also found that preschool teachers with higher levels linguistic intelligence made more plans on self-understanding, whereas preschool teachers with higher levels of intelligence in the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of nature made more plans on spatial area.

Fuzzy Linguistic Recommender Systems for the Selective Diffusion of Information in Digital Libraries

  • Porcel, Carlos;Ching-Lopez, Alberto;Bernabe-Moreno, Juan;Tejeda-Lorente, Alvaro;Herrera-Viedma, Enriqu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653-667
    • /
    • 2017
  • The significant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changing the process of how information is accessed. The internet is a very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and i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other media. Furthermore, the growth of digital content is a big problem for academic digital libraries, so that similar tools can be applied in this scope to provide users with access to the information. Given the importance of this, we have reviewed and analyzed several proposals that improve the processes of disseminating information in these university digital libraries and that promote access to information of interest. These proposals manage to adapt a user's access to inform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needs and preferences. As seen in the literature one of the techniques with the best results, is the application of recommender systems. These are tools whose objective is to evaluate and filter the vast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that is accessible online in order to help users in their processes of access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we a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fuzzy linguistic recommender systems (i.e., recommender systems that use fuzzy linguistic modeling tools to manage the user's preferences and the uncertainty of the system in a qualitative way). Thus, in this work, we analyzed some proposals based on fuzzy linguistic recommender systems to help researchers, students, and teachers access resources of interest and thus, improve and complement the services provided by academic digital libraries.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Multiple Intelligenc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안광식;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4-8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인의 다양한 지적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중지능이 성별에 따라 기술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성별에 따른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이상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833(남학생 423, 여학생 410)명이었고, 문용린(2001)과 1998년 CRESST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자연친화지능, 음악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성찰지능은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자기조절성향과 문제해결전략에서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조절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으로 남학생은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여학생은 논리수학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언어지능으로 밝혀졌다. 넷째,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으로 남학생은 논리수학지능,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여학생은 언어지능과 음악지능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지식 개념도 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논리수학지능으로 밝혀졌다. 연구의 결과 나타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줄이기 위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다중지능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분야를 집중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면 다중지능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학업성취도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작인식게임 활용학습에서의 신체운동지능, 언어지능, 몰입, 학습성과 간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Flow and Learning Outcomes in Motion-Capture Game-Based Learning)

  • 류은진;강명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07-618
    • /
    • 2017
  • 최근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를 위한 교수방법으로 게임활용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역사수업에 맞추어 개발된 동작인식 게임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신체운동지능, 언어지능, 몰입, 학습성과(학업성취도, 지속의향) 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운동지능은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학습성과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언어지능은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 그리고 학습성과에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동작인식 게임활용학습은 신체운동 역량이 높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및 성과 향상을 지원할 수 있음을 기대하게 한다.

다중지능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의 교수·학습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Inquiry Tasks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by Multiple Intelligence)

  • 노정임;송기호;유종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5-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교수 학습전략을 정보 활용 과정별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도덕 교과서의 탐구 과제는 언어 지능과 논리 수학 지능 및 공간 지능을 중심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활용 과정별로는 분석 이해 단계는 언어지능과 공간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합 적용 단계는 논리 수학 지능이 표현 전달 단계는 언어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탐구 활동의 부족한 다중지능을 길러주기 위하여 사서교사는 공간과 교구를 개선하고, 탐구 과제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영어동화를 활용한 다중지능영역별 활동이 농촌 지역 유아의 언어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ltiple-Intelligence Activities Using English Children's Tales on the Linguistic Capacity of Children for Rural Areas)

  • 민현정;함정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1호
    • /
    • pp.125-152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hich applies the multiple-disciplinary approach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s to study and develop a class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kindergarten classes in rural a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for children based on English children's tales to help make the English education of children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he English-education class model for kindergartners for rural areas: First, various activities based on the multiple-intelligence approach are important methods of children-oriented education advanced by the Sixth Children's Curriculum, helping children grow their independence and creativity. Second, various activities developed by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multiple-intelligence approach to promote children's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helped children improve their linguistic capacities, improve creativity, and remain motivated, which was reinforced by the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PDF

중학생들의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류승민;안광식;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7-4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re were a group of 200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at were comprised of 100 boys and 100 girls and what the difference is exited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To measure the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MI(Multiple Intelligent)Test designed by Youngrin, Moon was used. As the testing instrument of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we use the test developed by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s Testing(CRESST). The results were; First, In comparison with the boys and girls' multiple intelligence par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musical intelligence,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Second, In comparison to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ar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nd there was a mild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ird, The multiple intelligence related with the self-regulation is continuous with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Fourth, The multiple intelligence related with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rategy is continuous with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musical intelligence. Fifth, The multiple intelligence rel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is continuous with th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 To improve the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which focus on the improvement of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Abiliti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 김나래;김진경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5-209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aspects of multiple intelligences related to rhythm, melody,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ubjects were 60 4-to 6-years-old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KTM) Ability Test (Park 2006)and Korean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Assessment Scale-My Young Child (MIDAS-MYC, Shearer, 1996).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t-test. Findings were that (1) average scores on KTM rhythm and understandings were higher than melody and representation. (2) Traditional rhythm ability correlated most with linguistic intelligence. (3) Multiple intelligences by representation ability for KTM differed significantly in Linguistic intelligence and relationships to Naturalist, Musical, Logical-mathematical, Interpersonal,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s.

  • PDF

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The Stud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Aptitude, Career Tendency &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

  • 김유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41-161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 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 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 수학흥미와 논리 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