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 animal slurr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액비화 과정 중 인 이용 우수미생물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rus Accumulating Microorganisms under Liquid Fertilization of Swine Slurry)

  • 임정수;조성백;황옥화;양승학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8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capability to accumulate phosphorus during liquid composting process of pig slurry. Storage liquid compost and pig slurry were analyzed by using MALDI-TOF technique, which showed the colonies of Acinetobacter towneri and Bacillus licheniformis. In addition,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under high phosphoric acid conditions using X-phosphate MOPS medium with the addition of 2 mM $K_2HPO_4$. Microbial growth was observed in high and low phosphoric conditions due to the growth of bacterial diversities in the liquid fertilizer and slurry. The colonies isolated in the high phosphoric acid medium were uncultured bacterium clone and Acinetobacter sp. were identified by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Uncultured bacterium showed higher growth rate and excellent phosphorus ability then Acinetobacter sp.. In addition to Paenibacillus sp. AEY-1 isolated from pig slurry performed excellent phosphorus utilizing capability.

가축 슬러리의 액상 콤포스트화 시스템 (1) (Liquid Composting System for Animal Slurries (1))

  • 홍지형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3-71
    • /
    • 1998
  • The dramatic increase in both swine and cattle production in Korea has presented problems related to protection of water resources. Animal wastes are a potentially valuable source of plant nutrients. Modern liquid waste management plans for a livestock housing need to focus on the slurry aeration and composting control methods and cost effective equipments. Recent developments in the animal manure liquid composting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manure more easier to handle, reduce the odorous, labors and bedding materials, kill the weed seeds etc. However,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the aerator consumes much electrical power and initial cost is high.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key points such as slurry aeration and dilution, liquid waste composting equipments.

돈분뇨 슬러리 액비저장조내 침전물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from Pig Manure Slurry in Liquid Fertiluzer Storage Tank)

  • 이승훈;정광화;김중곤;;곽정훈;한덕우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5-200
    • /
    • 2014
  • Liquid fertilization of pig manure slurry is very useful treatment method to recycle organic waste matter as a valuable fertilizer. The solids precipitate and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liquid fertilization tank. The content of nitrogen and phosphate are higher in sediment than pig manure slurry. The pH of sediment was 7.53. S-COD/T-COD ratio of pig manure slurry and sediment were 0.477, 0.29,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of sediment of pig manure slurry and sediment were 80.45~83.82%, 97%, respectively.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of sediment was 8.79~10.56%. The content of nitrogen and phosphate of sediment and pig manure slurry were 9,000~11,100 mg/L, 9,100~11,100 mg/L, respectively. The particle size of pig manure slurry was distributed from 2 mm to 0.125 mm. On the other hand. the particle size of sediment was under 0.125 mm.

液狀콤포스트化 處理에 있어서 乳牛糞尿의 化學的 特性 (Chemical Properties of Dairy Slurry for Liquid Composting)

  • 홍지형;최병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65-171
    • /
    • 1995
  • 액상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 방법의 하나로서 공해방지와 지력증강을 위하여 액상유우 분뇨의 호기성 처리기술을 실용화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는 액상유우 분뇨의 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고액 분리하지 않은 액상유우 분뇨의 고형물 농도(TS)는 7.54(%wb), 산도(pH)는 6.92, 유기물 농도(TS)는 79.34(%TS),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81,300~96,500(mg/$\ell$), 암모니아태 질소(NH$_3$-N)는 1,690~2,300(mgfe), 및 질산태 질소(NO,-Pf)는 36.0-40.0(mg/$\ell$) 이었다. 2) 고액분리된 액상유우 분뇨의 화학적 특성은 우사형식, 분뇨배출방식, 고액분리기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며 고형물 농도는 4.43~7.95(%wb), 산도(pH)는 7.31, 유기물 농도(VS)는 74.57~79.93(%TS),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52,400~73,700(mg/$\ell$), 암모니아태 질소(NH$_3$-N)는 2,035~2,960(mg/$\ell$), 질산태 질소(NO$_3$-N)는 19.0~30.0(mg/$\ell$) 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가축액상분뇨 연용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Animal Liquid Slurry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ice)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58
    • /
    • 2007
  • 1. 액비 1년 시용구의 생육초기 벼의 분얼수 및 초장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낮았다. 액비 5년 연용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와 대등한 분얼수와 초장을 나타내었다. 2.수량구성요소에서 주당수수는 액비 5년 연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으나 등숙률은 낮아졌으며 수당영화수와 천립중은 처리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액비 5년 연용 시용구의 벼 수량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4% 증수되었다. 그러나 액비 1년 시용구에서는 6% 감수되었다. 벼 재배시에 액비 3년 시용구는 화학비료와 대등한 생산량를 나타내었다. 4. 액비 1년, 3년 시용구의 쌀 식미치는 72.6, 71.3점으로서 화학비료 시용구와 대등 하였다. 그러나 액비 5년 시용구의 쌀 식미치는 72.4로서 다소 높았으나 화학비료 시용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가축액비 5년 연용 시용구의 토양은 유효인산 함량이 높아졌고 치환성 칼륨 함량이 $0.61cmol^+/kg$로서 화학비료 시용구의 $0.49cmol^+/kg$ 보다 높아졌다.

  • PDF

돼지분뇨 슬러리 액비화시 폭기가 액비특성 및 슬러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ation on Fertilization and Sludge Accumulation of Pig Slurry)

  • 정광화;;이명규;김중곤;한덕우;곽정훈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4
    • /
    • 2013
  • Two types of reactors were set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pig slurry by aeration during fertilization period. One system was equipped with air diffuser to supply oxygen to pig slurry for liquid fertilization, but there was no air diffuser in the other system. Air supply to the experimental systems was regulated by air flow meter. The reactors were set up in the laboratory to protect the pig slurry from external condi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Maintaining optimal pH range in the experimental reactors is an important factor for liquid fertilization of pig slurry. In this study, pH ranges of aerobic reactor and anoxic reactor was 7.04~7.19 and 7.34~7.81,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of aerobic reactors was $2{\sim}3^{\circ}C$ higher then indoor temperature. The amount of sludge accumulated at the bottom layer of non-aerated reactors was 4~5 times more than that of aerated reactors.

Effect of aerobically treated manure on odorous material emissions from a swine finishing barn equipped with a continuous pit recirculation system

  • Choi, Yongjun;Ha, Duck-Min;Lee, Sangrak;Kim, Doo-Hw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308-31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reduction of various odorous materials from a swine farm equipped with a continuous pit recirculation system (CPRS) with aerobically treated liquid manure. Methods: The CPRS is used in swine farms in South Korea, primarily to improve air quality in pig houses. In this study, CPRS consists of a manure aerobic treatment system and a fit recirculation system; the solid fraction is separated and composted, whereas the aerobically treated liquid fraction (290.0%±21.0% per day of total stored swine slurry) is continuously returned to the pit. Four confinement pig barns in three piggery farms were used; two were equipped with CPRS and the other two operated a slurry pit under the slatted floor. Results: All chemical contents of slurry pit manure in the control were greater than those of slurry pit manure in the CRPS treatment (p<0.05).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 contents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The biological oxygen demand of the slurry pit treat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ammonia nitrogen contents of the slurry pit treatment were great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p<0.05). Odor intensity of the CPRS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indoor, exhaust, and outside sampling points (p<0.05). The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of the CPRS treatment in the pig bar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All measured odorous material contents of the CPR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he CPRS application in pig farms is considered a good option as it continuously reduces the organic load of animal manure and lowers the average odorant concentration below the threshold of detecting odorous materials.

효소복합체가 양돈슬러리 및 돈사 악취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zyme Complex on Odor Emission from Swine Slurry and Swine Buildings)

  • 정기한;한정철;곽석준;정재두;이진우;김두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2
    • /
    • 2008
  • 본 연구는 효소복합체 처리가 양돈분뇨의 액비화 과정의 악취제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액비저장 탱크에 4주간 저장하면서 효소복합체 처리, 폭기 처리, 효소와 폭기 동시 처리 및 대조구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효소복합체를 돈사에 살포하여 돈사내 공기의 질과 양돈장 부지경계선에서의 복합악취농도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효소복합체와 폭기 처리는 양돈분뇨의 액비화 과정의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농도는 4주간의 액비화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효소복합체의 일정 수준 처리는 양돈분뇨 액비화 과정의 악취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효소복합체와 폭기 처리는 양돈분뇨의 액비화 과정의 총질소, 총인 및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효소복합체 처리는 양돈분뇨 액비의 품질 유지와 악취저감을 위한 하나의 기술적 대안으로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효소복합체 살포는 돈사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고 양돈장의 부지경계선에서의 복합악취 저감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효소복합체 처리는 양돈분뇨 액비화 과정의 악취제어와 고품질 액비제조 가능성이 인정되며, 돈사 내부 및 양돈장 환경개선과 악취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액비의 비료성분 및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Slurry, Urine and Fermented Liquid Manure at Pig Farms in the Jeju Area Regarding Chemical Composition and Pollution Level)

  • 김문철;송상택;황경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69-478
    • /
    • 2004
  • 본 연구는 양돈액비의 비료성분 및 유해정도를 분석하고 아울러 전기전도도나 건물 함량을 이용하여 중요 비료성분 함량을 쉽게 추정하는 방벙을 구명하기 위해 2001년 제주도내 109개 양돈 농가를 방문하여 액비를 수집,$4^{\circ}C$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꺼내어 pH, BOD, DM, SS, OM, EC, T-N, T-P, K, Ca, $NH_4$-N. Mg 및 Na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농가의 돈분 액비 중 슬러리(70 농가)는 가축분뇨, 사료 및 청소수가 혼합된 것이고 요(19 농가)는 분뇨를 고액분리 시킨 후에 저장해둔 요(20 농가)를 말하며 돈분 발효액은 slurry를 발효, 폭기 및 살수 등의 과정을 거친 액비를 뜻한다. 돈분 액비 중 slurry로 저장한 액비가 요나돈분 발효액 보다 여러 가지 비료 성분함량($NH_4$-N, K, P, Ca, Mg 및 Na)이 높았고 전기 전도도나 건물함량도 마찬가지로 slurry 상태로 저장한 액비가 다른 상태의 액비 보다 높았다. EC, $NH_4$-N, Ca, Mg 및 Na의 함량은 요와 발효액 간에 비슷하였으나 발효 액비의 L 함량이나 건물함량은 요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한편 P 함량은 반대로 발효 액비보다 요에서 높았다. Slurry의 전기전도도(EC)와 여러 비료 성분간에 상관관계를 통계 분석한 결과, $NH_4$-N와 Na 함량만이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slurry의 DM 함량은 $NH_4$-N, P, Ca 및 Mg 함량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5). 고액분리요의 전기전도도와 비료성분간에 상관관계 분석에서 $NH_4$-N만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DM 함량에서는 $NH_4$-N와 Ca 간에만 유의적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P<0.05). 발효 액비는 전기전도도와 $NH_4$-N, P 및 Ca 간에만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DM 함량은 K, P, Ca, Mg 및 Na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돈분 액비의 종류별로 유해 또는 오염물질 농도를 살펴보면 슬러리의 BOD 농도는 22,520mg/L로 요 및 발효 액비 4,763, 2,701 mg/L보다 크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비료효과는 slurry가 요 및 돈분발효액 보다 좋았지만유해 또는 오염물질농도는 반대로 slurry에서 높았다. 그러나 일반기준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해위험은 없다고 생각된다.

반부숙상태 돈분뇨 액비의 저장기간 및 폭기여부에 따른 특성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Semi-cured Pig Manure Liquid Fertilizer according to the Storage Duration and Aeration)

  • 정광화;박회만;이동준;김중곤;김현종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109-122
    • /
    • 2022
  • 현재 국내 양돈농가에서 발생하는 돼지분뇨 성상은 수분함량이 97% 정도인 슬러리 형태가 대부분이다. 돈사에서 배출되는 돼지분뇨 슬러리는 돼지의 분뇨와 돈사 내부 청소 물 등이 혼합된 성상의 액상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공급 여부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돼지분뇨 액비의 부숙정도와 성상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운용 중인 액비화시설의 후단 공정에서 채취한 돼지분뇨 슬러리를 재료로 하여 120일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밀폐형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돼지분뇨 슬러리 액비의 부숙도는 공기공급구가 비공급구에 비해 더 양호하였으며 액비 저장기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액비가 부숙완료 상태로 빨리 전환되는 경향이 있었다. 실험개시 시에 97.90% 수준이던 액비의 수분함량 평균값이 실험 완료 시에는 공기공급구의 경우 96.82%, 비 공급구는 97.33%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공기공급구에서의 수분함량 감소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실험개시시에 8.82 수준이었던 액비의 pH는 실험완료 시에 공기공급구에서는 7.57, 비 공급구에서는 8.75 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액비 중의 질소함량은 실험개시 시에 평균 0.198 mg/L 수준이었으나 실험완료 시에는 공기공급구에서는 0.076 mg/L, 비 공급구에서는 0.121 mg/L 수준으로 낮아졌다. 액비 중의 인산(P2O5)농도는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비폭기처리구가 폭기처리구에 비해 감소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볼 때 돼지분뇨 액비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그리고 저장기간을 길게 하였을 때 액비품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