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ianth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Lisianthus 화분의 기내배양 및 Agroinfiltration에 의한 형질전환 (In Vitro Culture and Transformation by Agroinfiltration of Lisianthus (Eustoma russellianus) Pollen)

  • 박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018-1022
    • /
    • 2004
  • Agrobacterium을 이용한 lisianthus화분의 형질전환을 위하여 적정조건을 수립하였다. 화분의 발아 및 화분관의 발달은 화분발아배지(pollen germination medium; PCM)에 sucrose를 $7-15\%$ 첨가 시키고 pH조건을 5.5-7.0으로 조절하여 $20^{\circ}C-27^{\circ}C$에서 배양할 경우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형질전환을 위하여 Agrobacterium 현탁액을 lisianthus화분배양액에 첨가하여 진공침윤을 20 min실시하였으며 형질전환화분은 조직화학적 분석 그리고 발현되는 GUS mRNA를 이용한 RT-PCR 및 Southern hybridization에 의한 DNA산물 분석 등에 의하여 GUS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화분을 이용한 일시발현기술을 제시하게 되었다.

Pythium spinosum Sawada에 의한 꽃도라지 뿌리썩음병의 발생 (Occurrence of Lisianthus (Eustoma gradiflorum) Root Rot Disease Caused by Pythium spinosum Sawada)

  • 김진원;김성기;박은우;홍순성;양장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08
    • /
    • 1998
  • A Pythium species was isolated from roots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showing wilt symptoms and reduced growth in a greenhouse at Ichon, Kyonggi-do in 1997. The Pythium species was identified as Pythium spinosum Sawada based on variou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 was strongly pathogenic when inoculated to root of lisianthus plants in pots. The diseased plants showed typical symptoms of root and crown rot, resulting in reduced growth of roots and shoots, and consequently wilting of the above ground part of plants.

  • PDF

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에 의한 꽃도라지 시들음병(가칭) 발생 (Occurrence of Fusarium Wilt on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

  • 함영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0
    • /
    • 1998
  • Fusarium wilt of lisianthus occurred severely throughout all cultivation areas, especially in alpoine areas during summer season and the disease incidence was 5 to 30 percent in Korea. The major symptoms of the disease were wilt with chlorosis and water deficiency, stunted plants and scorched leaves. Severe symptoms appeared just after high temperature period around late August in Daekwallyong area. Whit and pale red colored mycelia were developed on stems of infected plants near the soil surface. The causal organism of Fusarium wilt of lisianthus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 on the basis of pathogen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causal organism was reisolated from all infected and inoculated stems of plants. This is the first report referring to F. oxysporum f. sp. eustomae of lisianthus in Korea.

  • PDF

리시안셔스 유래 에센셜 오일의 항세균 및 항진균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Essential Oil)

  • 지근호;김동광;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0-434
    • /
    • 2017
  • 에센셜 오일은 자연에서 성장하거나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방향성 식물의 잎, 줄기, 껍질, 꽃잎, 뿌리 등에서 추출한 방향유를 말하며, 천연 물질로써 항균, 항진균 등의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리시안셔스(Eustoma grandiflorum (Raf.) Shinn.)를 이용하여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여 생활 속에 흔하게 존재하는 3종의 진균 Penicillium pinophilum, Chaetomium globosum,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A. niger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최소 억제 농도(MIC)의 결과는 A. niger에서 0.005 mg/ml로 나타났다. 추출된 에센셜 오일은 대표적인 10종의 병원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Klebsiella pneumoni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faecalis, Vibrio paragaemolyticus)에 대한 항세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병원균 B. subtilis, L. monocytogenes, V. paragaemolyticus에서 강력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시안셔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 장내 병원균에 대한 항생제로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리시안셔스 추출물이 의약품 및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있어 잠재적인 항진균제 및 항세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꽃도라지 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solani 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solani Causing Fusarium Root Rot of Lisianthus in Korea)

  • 최효원;홍성기;이영기;김점순;이재금;김효원;강은혜;이은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4-82
    • /
    • 2017
  • 꽃도라지(Eustoma grandiflorum)는 국내에서 장식용 화훼류로 널리 이용되는 절화류이다. 2015년 경기도 여주와 경남 김해 지역에서 꽃도라지가 시들고, 지제부가 잘록해지면서 위축되고, 뿌리가 썩는 증상이 나타났다. 병든 식물체는 포장이나 육묘상자에서 황화되고, 뿌리 발육이 저해되었고, 진전되면 전체적으로 황화되면서 시들고, 위축되며, 결국 2~3개월 안에 완전히 말라 죽는다. 병든 식물체 지제부에서 Fusarium균이 분리되었고, 9개 균주를 단포자 분리하여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Fusarium solani로 동정되었다. 대형포자는 통통하고, 직선형이거나 약간 굽은 초승달 모양이고, 소형분생포자는 긴mono형태의 분생포자원세포에서 false head상으로 형성되었다. 후벽포자는 균사 중간 혹은 끝부분에 풍부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동정 결과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TEF)와 RNA polymerase II subunit (RPB2)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되었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NCBI GenBank에 등록된 F. solani와 TEF 유전자는 99.2~99.9%, RPB2 유전자는 98.0~98.1%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건전한 꽃도라지 유묘의 뿌리를 포자현탁액에 침지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7일 이내에 접종한 식물체에서만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solani에 의한 꽃도라지 뿌리썩음병으로 명명하며, 병의 발생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Effects of Temperature,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Flowering in Eustoma grandiflorum

  • Oh, Wook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349-355
    • /
    • 2015
  •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is relatively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s. For year round production of good quality potted plants and energy sav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 to the combined conditions of these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s to temperature,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during the post-seedling stage. 'El Paso Deep Blue' lisianthus plants with four true leaf pairs were grown in growth chambers maintained at average daily temperatures (ADT) of 14, 20, and $26^{\circ}C$ and provided with three photosynthetic photon fluxes [PPF; 100, 200, and $400{\mu}mol{\cdot}m^{-2}{\cdot}s^{-1}$] for 8 (08:00-16:00) and 16 hours (08:00-24:00) by fluorescent and incandescent lamps, resulting in four daily light integrals (DLI): about 3, 6 (two photoperiods), 12 (two photoperiods), and $24mol{\cdot}m^{-2}{\cdot}d^{-1}$. After treatment for three weeks followed by growth for one week in a greenhouse of $20{\pm}3^{\circ}C$, growth and development were measured. Higher temperature, higher PPF, and longer photoperiod promoted plant growth and flowering; however the impacts of PPF and photoperiod were smaller than those of temperature. As ADT and DLI increased, the number of leaves, number of flowers, lateral shoot length, and shoot dry weight increased. An increase of about $1mol{\cdot}m^{-2}{\cdot}d^{-1}$ DLI could constitute an increase of 0.40 to $0.76^{\circ}C$ ADT depending on these crop characteristics when ADT and DLI are above $20^{\circ}C$ and $12mol{\cdot}m^{-2}{\cdot}d^{-1}$, respectively. Therefore, growers can select a regimen of heating or supplemental lighting without delaying harvesting time or decreasing crop quality.

꽃도라지(Eustoma grandiflorum Shinn.) 조직배양시 발생한 변이체의 RAPD 분석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of the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Shinn.) Variants Obtained during Tissue Culture)

  • 정창호;유기원;백기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52-354
    • /
    • 1999
  • 꽃도라지(Eustoma grandiflorum) 조직배양시 발생한 5개의 변이체와 모본을 이용하여 PCR 반응으로 나타난 RAPDs 밴드 형태로 유전적인 변이 유무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6개의 분류군은 엽수, 옆모양, 줄기직경, 초장 그리고 옆면적과 같은 형태적인 특징이 달랐다. 실험한 20개의 임의 primers 중에서 모본과 변이체에서 모두 밴드를 나타낸 5개 PCR 반응에서 증폭밴드는 총 34개였으며 64.7%의 다형성을 나타냈다. 밴드의 유무를 코드화하여 NTSYS-PC (ver. 1.5)분석으로 나타난 변이체들의 유전적인 거리값의 차이가 변이체인 5개체와 정상 식물체간 비유사성 계수는 0.72에서 0.91로 밀접한 유사성을 나타냈으며 거리값이 0.79에서 두 그룹으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변이체의 형태적인 차이와 거의 일치되는 유전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 PDF

Development of a PCR Diagnostic System for Iris yellow spot tospovirus in Quarantine

  • Shin, Yong-Gil;Rho, Jae-Yo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440-444
    • /
    • 2014
  • Iris yellow spot virus (IYSV) is a plant pathogenic virus which has been reported to continuously occur in onion bulbs, allium field crops, seed crops, lisianthus, and irises. In South Korea, IYSV is a "controlled" virus that has not been reported, and inspection is performed when crops of the genus Iris are imported into South Korea. In this study,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nested PCR inspection methods, which can detect IYSV, from imported crops of the genus Iris at quarantine sites, were developed. In addition, a modified positive plasmid, which can be used as a positive control during inspection, was developed. This modified plasmid can facilitate a more accurate inspection by enabling the examination of a laboratory contamination in an inspection system. The inspection methods that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hrough the prompt and accurate inspection of IYSV at quarantine sites to the plant quarantine in South Korea.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Flowers & Plants Expo Tokyo in 2017

  • Choi, So Young;Park, Hye Min;Lee, Ja Hee;Lee, Ae 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current trends in floriculture through a survey. The exhibitors' purposes and items displayed at the Tokyo International Flowers & Plants Expo in 2017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8 exhibitors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from October 11 to 13, 2017. As a result, participants came from 14 countries including Belgium, China, Colombia, Japan, Korea and France. The purposes of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exhibitors were to display cultivars (86 exhibitors, 36.3%), followed by to display merchandise, subsidiary materials and cultivation techniques. Among cultivars, pot plan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entire cultivars (54 exhibitors, 55.1%), followed by cut flowers (35 exhibitors, 35.7%), sapling, and seeds. The most of the displayed pot plants were ornamental plants (27 exhibitors, 43.5%), followed by garden trees, ground cover plants, bedding plants and succulent plants. The most of the displayed cut flowers were rose (8 exhibitors, 21.1%), followed by lisianthus, chrysanthemum and dahila. In terms of cultivation techniques, those using moss were displayed by 7 exhibitors (50%) and green-wall techniques were displayed by 6 exhibitors (42.9%). In terms of merchandise, processed products were displayed by 21 exhibitors (41.2%), followed by floral products. Therefore, the IFEX can be used as a place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in the floriculture market.

강원도 고랭지 주요 원예작물의 병해 발생 상황 (Surveys on Disease Occurrence in Major Horticultural Crops in Kangwon Alpine Areas)

  • 함영일;권민;김점순;서효원;안재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68-675
    • /
    • 1998
  • 강원 고랭지의 대표적 지대인 평창의 대관령, 홍천의 내면 그리고 횡성의 둔내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원예작물에 대해 1994년$\sim$1997년까지 4년에 걸쳐 실시한 병해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에서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TuMV)가 '92년부터 고랭지에 다발생하여 '94년과 '96년에 피해가 심하였으며, 이 바이러스병과 함께 무름병의 발생이 심한 편이었으며, 최근에는 무사마귀병의 피해고 '96년부터 점증 추세에 있으며 수년 전까지 피해가 심했던 뿌리 마름병은 최근 발생이 지극히 저조한 점이 특이하다. 거의 모든 채소작물에서 무름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흰가루병, 잘록병, 검은무늬병 등의 발생이 심한 것이 특징인데 저지대와 달리 고랭지 기후환경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조사기간 중 새로운 미기록종으로는 셀러리의 바이러스(BBWV)와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메론의 점무늬병(Cercospora citullina), 딸기의 흰가루병(Erysiphe polygori), 양상추의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ium) 등이 밝혀졌으며 기주 미기록으로는 파슬리의 무사마귀병(Plasmodiophora brassicae)이 밝혀진 것이 특이하다. 2)여러 가지 화훼작물에는 주로 바이러스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흰무늬병 등의 발생이 많았으며 특히 자생 나리류에 흰무늬병(Cercospora spp.) 발생이 심하였다. 미기록종으로는 꽃도라지의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 바이러스병(BBWV, CMV),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잿빛곰팡이병(B. cinerea), 카네이션의 반점병(Cladosporium echinulatum), 용담의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잎마름병(Alternavia dianthi) 등과 Phytoplasma에 의한 스타티스의 빗자루병, 리아트리스의 빗자루병, 자생나리류의 흰무늬병(Cercospora sp.), 스토크의 TuMV 등이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