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색소융모결정성 활막염의 자기공명영상 : 증례 보고 (MR Findings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 Case Report)

  • 이종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24-929
    • /
    • 2004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s a rare proliferating process of the synovium, tendon sheaths and bursae usually affecting the bone and joints. The disease can be localized or diffuse. Patients with this condition typically present with symptoms of mild discomfort and associated swelling of the involved joint. However, the spectrum of presentations is broad. Diagnosis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can be clinically difficult, and plain radiographs are usually nonspecif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a highly diagnostic modality in characterizing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when it contains hemosiderin deposits exhibiting low signal intensity on all pulse sequenc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recommended for accurate preoperative staging of the disease and for follow up after treatment. I report a case of pigmented nodular synovitis in the knee joint, with review of literatures.

족관절에 발생한 미만성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개방적 절제술(1예 보고) (Open Synovectomy in Diffu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Ankle Joint (A Case Report))

  • 김보현;권순억;강신택;박세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1-213
    • /
    • 2009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proliferative disorder that affects synovium, tendon sheath and bursa. Although the condition can present in any joint, knee joint is the most commonly affected site and only 2.5% of cases occur in foot and ankle joint. PVNS occurs in two types: localized and diffuse. Localized type is characterized by focal involvement of the synovium with either nodular or pedunculated masses, Diffuse type affects virtually the entire synovium. Diffuse type has reported more recurrence rate. We have experienced a patient who has diffuse type PVNS of ankle joint and report an optimal method of surgical treatment.

  • PDF

슬관절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의 장기 추시 결과 (5년이상)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the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more than 5 years))

  • 이병일;최형석;민경대;나수균;조상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4
    • /
    • 2008
  •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 환자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5년 이상 장기 추시하여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3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관절경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으로 확진된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병변을 확인한 후 관절경적 방법만으로 절제적 생검술을 시행하도록 노력하였으나, 2예에서는 소절개를 이용하여 적출하였다. 술전 증상의 소실 여부 및 이학적 검사 등을 통하여 재발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관절경 소견상 국소형이었고 그 중 3예는 자루형, 2예는 결절형, 1예는 혼합형 종물이었다. 3예의 자루형중 1예에서 뚜렷한 염전 소견이 있었고, 종물의 크기가 매우 커서 전내측에 소절개를 가하여 적출한 1예 및 후방구획에 존재하여 후내측에 소절개를 시행하였던 1예를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방법만으로 적출하였다. 모든 예에서 술전 증상은 소실되었고 최종 추시시 재발을 의심할만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은 특히 관절경을 이용한 경우 정확한 병소파악을 통한 진단과 완전 절제에 의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여 장기 추시시에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국소형 색소 융모결절성 활액막염 - 1례 보고 -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 Case Report -)

  • 김동욱;윤여헌;배서영;김생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34
    • /
    • 2001
  • 색소 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은 미만형과 국소형의 형태로 주로 슬관절의 활액막에서 발생하는 증식성 질환으로 그 원인이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전까지 주로 증례의 형태로 보고되어 왔으나,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약 4년 후에 간헐적으로 걸리는 증상이 있는 국소형의 색소 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의 발생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미만성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의해 발생한 고도의 발목 관절염에 대한 관절 유합술: 증례 보고 (Ankle Arthrodesis for Severe Arthritis Induced by Diffuse-Typ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A Case Report)

  • 김영규;서진수;최준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3-176
    • /
    • 2018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proliferative disease that affects the synovial joint, tendon and bursa. PVNS can form a nodular structure in any joint, but it most commonly affects the knee joint and is rare in the foot and ankle joint. PVNS is divided into two types. Localized-type PVNS exhibits focal involvement with a nodular mass, while diffuse-type PVNS involves the entire synovium. Synovitis of the affected joint can also destroy cartilage and bone. Diffuse type accounts for 75% of PVNS and has a reported recurrence rate of 12.2% to 46%; aggressive synovectomy is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In localized-type PVNS, only arthroscopic partial synovectomy is effective with a lower recurrence rate. We report a patient with severe ankle joint arthritis induced by diffusetype PVNS. The patient was treated by lateral malleolar ostectomy and ankle arthrodesis with a plate and screws via a lateral approach.

재발한 족관절의 미만성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Recurred Diffu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Ankle Joint - Case Report -)

  • 김학준;김택선;서동훈;윤광섭;정국진;전승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0-223
    • /
    • 2005
  •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n ankle is relatively uncommon. This disorder results in increased proliferation of synovium causing villous or nodular changes containing histiocytes, fibroblasts, multinucleated giant cell, and hemosiderin. PVNS i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 : localized and diffuse. Diffuse type of PVNS in ankle is more common than localized type. Also, recurrence of diffuse type is more frequent. We report a case of diffuse type of PVNS which was recurred soon after the excision.

  • PDF

후방 십자 인대에 발생한 국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 관절경하 후방 경격막 삽입구를 이용한 치료 - 증례 보고 -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Developed on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Treatment Using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 A Case Report -)

  • 이규영;이화성;장동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4-267
    • /
    • 2009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주로 관절의 활액막에서 발생하는 증식성 질환으로 슬관절에서 가장 호발한다. 이환 정도에 따라 국소형과 미만형으로 나뉘며, 대부분 미만형으로 발생하나 드물게 국소형으로 발생한다. 국소형은 전방 구획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관절경으로 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저자들은 외상 후 지속되는 슬관절의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후방 십자 인대에 발생한 국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을 진단하고, 관절경하 후방 경격막 삽입구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험을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경성 국소성 소결절성 활막염: 자기공명영상소견의 증례 보고 (A Case of Pedunculated Localized 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MR Imaging Findings)

  • 이재환;이지영;서경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1권1호
    • /
    • pp.54-57
    • /
    • 2007
  • 국소성 소결절성 활막염은 무릎관절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종양으로,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과 감별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에서 경 (pedicle)을 가지며 특징적인 MR 영상소견을 보이고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무릎에서 발생한 국소성 소결절성 활막염 1예를 보고한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슬관절의 색소 응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th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n the Knee)

  • 김경택;김철홍;이명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15
    • /
    • 2001
  • 목적 : 슬관절에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한 9례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7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슬관절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관절경하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8명, 9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은 최소 15개월에서 최고 48개월로 평균 29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슬관절의 동통과 종창이 관찰되었으며 2례에서 외상의 병력이 있었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6명, 여자가 2명이었고, 연령 분포는 최저 15세에서 최고 67세로 평균 40.4세였다. 양측 슬관절을 침범한경우도 1례 있었다. 모든 예에서 병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관절경 소견상 국소형은 4례, 미만형은 5례였고 술 전 평균 굴곡 구축은 4.4도(0도$\~$15도)였으며 평균 후속 굴곡은 117.8도(90도$\~$135도)였다. 최종 추시시 슬관절 운동범위는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평균 후속 굴곡은 133.9도(120도$\~$140도)로 술 전보다 평균 16.1도 증가를 보였다. 술 후 최종 추시시 동통, 종창과 부종등은 관찰되지 않았고 재발의 징후는 없었다. 또한 병리 조직 겸사상 모든례에서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활액막절제술은 국소형과 미만형 모두에서 진단과 치료에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슬관절의 국소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 김성재;신상진;최남홍;주의탁;김형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126
    • /
    • 1999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단관절성 병변으로 비특이적 증상 발현으로 인해 진단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관절경적 시술로 진단 및 제거술을 시행 받았던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모든 예에서 조직학 소견상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합당한 소견을 나타내었다. 6명은 남자였고 5명은 여자였으며, 연령층은 15세에서 59세(평균 34.6세) 였다. 증상발현 기간은 2개월에서 3년으로 관찰 되었고 (평균 29.9개월), 11례 모두에서 수술전 슬관절 동통을 호소하였다. 4례에서는 외상의 과거력이, 9례에서는 1개의 종물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2례에서 각각 2개 3개의 종물이 관찰되었다. 11례 중 5례가 내측 반월판 전각 부위의 활액막에서 발견되었으며, 2례는 슬개하 지방 그리고 나머지는 각각 슬개상부, 후내측 구획, 외측 반월 연골의 전방, 내측 구에서 1례씩 관찰되었다. 수술 후 평균 29.9개월의 추시 관찰상 11례 모두 재발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치료에 있어서 관절경 수술은 최소한의 이환율을 가지며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