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ess Plateau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 감숙성의 황토특성과 황토사면특성 (Characteristics of Loess and Loessial Slopes in Gansu Province, China)

  • 홍성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7-78
    • /
    • 1999
  • About 440,000 $\textrm{km}^2$, about twice the size of the Korean Peninsula is covered by loess deposits in China. Along the middle reaches of the Huanghe River, mainly in Shaanxi and in Gansu province loess plateau covers vast area amounting to 273,000 $\textrm{km}^2$ Chinese studies on loess and loessial slopes are summarized. And some of the U. S. study and others are also presented for comparison.

  • PDF

중국 뢰스의 나노 방해석 (Nanosized Calcite in the Chinese Loess)

  • 정기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5-260
    • /
    • 2007
  • 중국 서부에 분포하는 황토대지의 뢰스(loess)는 아시아 내륙에서 발생하는 광물먼지의 퇴적물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봄철 황사의 기원물질이기도 하다. 간빙기의 뢰스는 퇴적 후에 고토양으로 풍화되는 과정에서 풍성 일차 탄산염 광물 입자들이 용해되어 이차 탄산염광물로 재침전된다. 뢰스 및 고토양의 광물학적 분석에 의하면 풍성 탄산염 입자는 대부분 실트 크기이나, 재침전된 이차 탄산염광물은 너비가 $30{\sim}50nm$ 정도로 일정하고 다양한 길이를 갖는 나노 크기의 방해석들이었다. 나노방해석은 황토대지에서 점토광물과 함께 실트질 뢰스와 고토양의 세립 기질을 구성하는 주요 자생 광물로서, 우리나라에서 채집된 황사 입자에서 확인된 나노 방해석들의 기원물질로 해석된다.

경남 거창분지 정창리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퇴적물 특성과 편년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y of Loess-paleosol Sequence in Jeongjang-ri, Geochang basin, Gyeongnam Province)

  • 황상일;강창혁;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9
    • /
    • 2011
  • 대자율 및 입도 분석, OSL 연대측정, 주원소, 희토류 및 미량원소 분석을 통해 거창 정장리 뢰스-고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거창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입도 특성은 하안단구를 형성하는 하천퇴적층 그리고 중국 뢰스고원과는 차이를 보인다. 뢰스-고토양 층서 가운데 L1과 L1L1은 MIS 2, L1S1은 MIS 3, L1L2는 MIS 4, S1은 MIS 5, L2는 MIS 6에 대비되므로 거창단면이 위치하는 하안단구는 MIS 7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MIS 3 시기에 남부지방이 중부지방보다 더 온난습윤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주원소와 희토류 원소, 미량원소 조성은 거창의 뢰스-고토양이 중국 뢰스고원보다 풍화가 더 많이 진행되었으며 중국 뢰스고원에서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이것은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 조화된다.

중국 황토고원지구의 물침식과 대책 (Water Erosion and Its Combating Measures in Loess Plateau, China)

  • 전근우;임영협;오정수;윤택승;박기형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181-192
    • /
    • 2010
  • Water erosion is progressing in the Loess Plateau, especially in gullies, and the sediment runoff to the Yellow River amounts to 975 million tons every year. Natural factors for water erosion include climate, soil, geological feature, terrain and vegetation. Many development projects due to the increasing population reduced the forest coverage ratio to 10%, and 200 million people in the downstream area are suffering from the damage during intense rainfall.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is continuously trying to efficiently prevent the erosion by establishing measures for water erosion, including fish-scale pits, terrace technique, and check dams.

Enhanced Salt Stress Tolerance in Transgenic Potato Plants Expressing IbMYB1, a Sweet Potato Transcription Factor

  • Cheng, Yu-Jie;Kim, Myoung-Duck;Deng, Xi-Ping;Kwak, Sang-Soo;Chen, W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2호
    • /
    • pp.1737-1746
    • /
    • 2013
  • IbMYB1, a transcription factor (TF) for R2R3-type MYB TFs, is a key regulator of anthocyanin biosynthesis during storage of sweet potatoes. Anthocyanins provide important antioxidants of nutritional value to humans, and also protect plants from oxidative stress.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ransgenic potatoes' (Solanum tuberosum cv. LongShu No.3) tolerance to environmental stress and enhance their nutritional value. Transgenic potato plants expressing IbMYB1 genes under the control of an oxidative stress-inducible peroxidase (SWPA2) promoter (referred to as SM plants) were successfully generated through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Two representative transgenic SM5 and SM12 lines were evaluated for enhanced tolerance to salinity, UV-B rays, and drought conditions. Following treatment of 100 mM NaCl, seedlings of SM5 and SM12 lines showed less root damage and more shoot growth than control lines expressing only an empty vector. Transgenic potato plants in pots treated with 400 mM NaCl showed high amounts of secondary metabolites, including phenols, anthocyanins, and flavonoids, compared with control plants. After treatment of 400 mM NaCl, transgenic potato plants also showed high DD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igh PS II photochemical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control line. Furthermore, following treatment of NaCl, UV-B, and drought stress, the expression levels of IbMYB1 and several structural genes in the flavonoid biosynthesis such as CHS, DFR, and ANS in transgenic plant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plant phenotype. The results suggest that enhanced IbMYB1 expression affects secondary metabolism, which leads to improved tolerance ability in transgenic potatoes.

진천분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loess-paleosolsequen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Korea)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4
    • /
    • 2013
  • 진천분지 하안단구면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인 진천단면을 대상으로 형성시기 및 입도조성과 기후변화 등 퇴적환경을 밝혔다. 진천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표층, 뢰스-고토양 연속층, 점이층 I, 점이층 II 그리고 하안단구 자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OSL 연대측정 결과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MIS 6~4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층은 대자율 변화에 기초하여 4개의 층준으로 구분된다. 입도분석 결과, 진천단면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된 뢰스 퇴적층과 입도조성이 유사하다. 특히 Y값은 중국 뢰스고원의 뢰스 및 고토양 층준보다는 작고, Red Clay 또는 양쯔강 하류의 Xiashu 뢰스와 유사하다. 이는 원거리 기원 또는 퇴적 이후 한반도에서 강한 풍화작용을 경험한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북 완주군 봉동 하안단구 상부 뢰스-고토양 연속충의 풍화특성과 기원지 (Weathering Properties and Provenance of Loess-Paleosol Sequence Deposited on River Terrace in the Bongdong Area, Wanju-gun, Jeonbuk Province)

  • 황상일;박충선;윤순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63-480
    • /
    • 2009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위치한 만경강 하안단구 역층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을 대상으로 토양분석과 대자율 측정, 입도 및 원소분석을 행하여 퇴적물의 풍화 특성과 기원지를 검토하였다. 봉동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Layer 1(고토양), Layer 2(뢰스), Layer 3(고토양) 그리고 하안단구 역층으로 이루어진다. 대자율은 뢰스층과 고토양층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입도분석 결과는 봉동단면이 하천이나 사면이동이 아니라 바람에 의해 운반되었으며, 중국 뢰스고원이나 대천뢰스보다 상당히 세립질임을 보여준다. 토양분석 중 유기물 함량만이 대자율과 유사한 변화를 보이며, 건조 토색보다는 습윤 토색이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한다. 주원소 및 희토류 원소 분석 결과, 봉동단면의 뢰스물질은 중국 뢰스고원과 동일한 기원지 또는 재이동된 물질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퇴적 이후에는 고온다습한 우리나라 기후 환경에서 중국 뢰스고원보다 심하게 풍화작용을 받았다.

주요 황사발원지 토양의 지구화학적 특성 및 미량원소 존재형태 연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ace Metal Speciation of Soils in Major Source Area of Asian Dust)

  • 이평구;염승준;안기오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1호
    • /
    • pp.9-2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황사 발원지 (타클라마칸, 알라샨, 오도스 사막 및 황토고원) 토양 시료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이 지표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국 건조지역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 내 주원소 함량의 공간적 변화는 각 지역별로 크지 않았으며, 이는 각 지역 내 토양이 오랜 기간 동안 바람에 의해 균질하게 혼합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량원소의 경우에는, 시료 채취 지점에 따라 미약한 함량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들 중 Cr, Cu, As, Co, Ni, V, Y, Sc, Sn, Pb, Zn, Cd, Cs, Li, Th, U 등은 원소 간에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들의 특성은 황토고원과 다른 사막 (타클라마칸, 알라샨 및 오도스 사막) 토양에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모든 사막 및 황토고원 토양의 Fe의 지구화학적 존재형태는 대부분 "잔류형 (85%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Mn 및 Ca의 존재형태는 사막에 따라 존재형태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Mn은 황토고원 토양에서는 "산화철망간광물 수반형 (55.4%)"이, 그리고 타클라마칸 사막에서는 "탄산염광물 수반형 (33.8%)"이 다른 사막 토양에 비해 2-5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Ca의 경우에는 타클라마칸 및 알라샨 사막 토양에서 "탄산염광물 수반형"이 각각 75.9% 및 50.5%로 높게 나타났으나, 황토고원 (6.6%)과 오도스 사막 (2.1%)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사막 및 황토고원 내 미량원소의 이동도를 기준으로 이들 미량원소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Cd, Pb 및 Cu의 이동도가 각각 87%, 33% 및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막 및 황토고원 내 Cd, Pb 및 Cu는 지표수 등과 반응하였을 때 쉽게 용해되어 지표환경 및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황토고원 표층 시료의 원소분포 특성 (Element distribu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from the loess plateau in China)

  • 윤윤열;권영인;조수영;이길용
    • 분석과학
    • /
    • 제20권6호
    • /
    • pp.468-473
    • /
    • 2007
  • 중국 황토고원 표층 시료에 대한 원소분포를 조사하였다. 10개 지역의 시료에 대한 주성분의 함량변화는 거의 없으나 3번 시료는 타지역에서 채취한 시료에 비해 Si 및 Fe, P, Na, Ti 의 함량이 낮고 Ca, Mg, LOI의 함량이 높으며 미량원소도 Ba, Cr, Nb, Pb, Rb, Zr, V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대륙지각 상부 원소함량 UCC(Upper Continental Crust)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원소들이 $0.5-1.5{\times}UCC$ 범위 이내였으나 Ca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희토류원소 분석결과 콘드라이트 표준화 시킨 희토류원소의 분포는 모든시료에서 경희토류가 중희토류에 비해 부화되었고 Eu은 부(-)의 이상을 나타내어 황토고원의 표층시료는 유사한 지역으로부터 유입되었고 풍화작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크로드의 자연환경 (Natural Environment of Silk Road)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9-39
    • /
    • 2005
  • 실크로드는 모든 동-서 교통로를 일컫는 포괄적인 용어이며, 고대의 한국 문화는 실크로드를 통하여 세계화 되어 갔다. 본 논문에서는 실크로드를 통하여 우리나라로 전래된 서역문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기반자료로써 실크로드의 자연적 환경을 고찰하였다. 실크로드 지역은 황토고원지역과 건조분지지역 및 고산지역으로 구분된다. 하서회랑은 점이지대로서, 대체로 건조지역에 속하며 오초령 이동 지역은 황토고원 지역에 속한다. 황토고원지역은 등질의 세립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농지개간에 따른 토양유실이 극심하다. 최근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숲을 가꾸고 많은 check-dam을 건설하였다. 건조분지지역은 중위도에 위치하지만 바다로부터 멀고 산지들로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사막기후를 나타낸다. 하서회랑의 오아시스는 연속적으로 나타나는데 반하여, 건조분지의 오아시스는 단속적으로 발달한다. 하밀, 투루판에서는 카리즈를 이용한 과수재배가 성하다. 그리고 텐산산맥과 치렌산맥의 만년설은 건조분지에 용수를 공급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만년설 주변의 툰드라 지대에는 솔리플럭션 로브와 유상구조토가 분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