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max life distribu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A NOVEL WEIBULL MARSHALL-OLKIN POWER LOMAX DISTRIBU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TO MEDICINE AND ENGINEERING

  • ELHAM MORADI;ZAHRA SHOKOOH GHAZAN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1권6호
    • /
    • pp.1275-1301
    • /
    • 2023
  • This paper introduced the Weibull Marshall-Olkin Power Lomax (WMOPL) distribution. The statistical aspects of the proposed model are presented, such as the quantiles function, moments, mean residual life and mean deviations,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reliability measures like the residual life function, and stress-strength reliability. The parameters of the new model are estimated using six different methods, and simulation research is illustrated to compare the six estimation methods. In the end, two real data sets show that the Weibull Marshall-Olkin Power Lomax distribution is flexible and suitable for modeling data.

THE WEIBULL MARSHALL-OLKIN LOMAX DISTRIBUTION WITH APPLICATIONS TO BLADDER AND HEAD CANCER DATA

  • KUMAR, DEVENDRA;KUMAR, MANEESH;ABD EL-BAR, AHMED M.T.;LIMA, MARIA DO CARMO S.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9권5_6호
    • /
    • pp.785-804
    • /
    • 2021
  • The proposal of new families has been worked out by many authors over recent years. Many ways to generate new families have been developed as the methods of addition, linear combination, composition and, one of the newer, the T-X family of distributions. Using this latter method, Korkmaz et al. (2018) proposed a new class called Weibull Marshall-Olkin-G (WMO-G) family. In the present work, we propose a new distribution, based on the WMO-G family, using the Lomax distribution as baseline, called Weibull Marshall-Olkin Lomax (WMOL) distribution. The hazard rate function of this distribution can be increasing, decreasing, bathtub-shaped, decreasing-increasing-decreasing and unimodal. Some properties of the proposed model are developed. Besides that, we consider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for estimating the unknown parameters of the WMOL distribution. We provide a simulation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asymptotic properties of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distribution to modeling real life data is proved by two real data sets.

A new model based on Lomax distribution

  • Alshingiti, Arwa M.;Kayid, M.;Aldossary, H.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15권1호
    • /
    • pp.65-76
    • /
    • 2014
  • In this article, a new model based on Lomax distribution is introduced. This new model is both useful and practical in areas such as economic, reliability and life testing. Som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is model are presented including moments, hazard rate, reversed hazard rate, mean residual life and mean inactivity time functions, among others. It is also shown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new model are ordered with respect to the strongest likelihood ratio ordering. The method of moment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re used to estimates the unknown parameters. Simulation is utilized to calculate the unknown shape parameter and to study its properties. Finally, to illustrate the concepts, the appropriateness of the new model for real data sets are included.

  • PDF

무한고장 NHPP Lomax 수명분포의 형상모수 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의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ribute Analysis of Software Reliability Model with Shape Parameter Change of Infinite Fault NHPP Lomax Life Distribution)

  • 민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0-2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무한고장 NHPP 로맥스 수명분포의 형상모수 변화에 따른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의 속성을 새롭게 분석한 후 최적의 형상모수 조건을 제시하였다. 소프트웨어 고장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수추정은 최우추정법을 사용하였고, 비선형 방정식의 계산은 이분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형상모수(k)의 변화에 따른 속성을 비교하였을 때 형상모수가 작을 수록 참값에 대한 예측능력이 우수하고, 신뢰 속성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형상모수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고장형태를 사전에 파악함으로서 신뢰도를 성장시킬 수 가 있으며, 또한, 소프트웨어의 신뢰속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본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omax 분포의 형상모수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비용모형에 관한 연구 (A Software Reliability Cost Model Based on the Shape Parameter of Lomax Distribution)

  • 양태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71-177
    • /
    • 2016
  •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신뢰성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소프트웨어 고장분석을 위한 무한고장 비동질적인 포아송과정에서 고장발생률이 상수이거나,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 테스팅 과정에서 고장 수명분포의 형상모수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비용 모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소프트웨어 신뢰성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Lomax-NHPP 신뢰 성장 모형에 대한 비용 비교 문제를 제시하였다. 소프트웨어 고장모형은 무한고장 비동질적인 포아송과정을 이용하고 모수추정법은 최우추정법을 이용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상모수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비용모형 분석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고장시간 자료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용량 소프트웨어가 수정과 변경하는 과정에서 결함의 발생을 거의 피할 수 없는 상황이 현실이다. 신뢰성 요구를 만족하고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상황이 최적방출시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왜도와 첨도 측면에서 효율적인 카파분포, 지수화지수분포 등 업데이트된 분포에 대한 방출 시기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도 가치 있는 일이라 판단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최적방출시간과 경제적 개발 비용을 파악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