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first mandibular impac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 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김은정;김난진;조호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8-604
    • /
    • 2004
  • 하악 제 1대구치 매복의 발생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난다.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공간의 부족, 과잉치, 치성 종양이나 낭과 같은 맹출로상의 장애물, 유전적 요인, 내분비 질환, 외상 등이 있다. 하악 제 1대구치의 매복으로 인해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거 등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제 1대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하여 원심 경사 매복된 하악 제 1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한 증례들이다.

  • PDF

하악 제 1대구치 맹출 장애의 빈도와 치료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andibular first molar eruption disturbances)

  • 손우성;송효경;김성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5호
    • /
    • pp.328-338
    • /
    • 2017
  • Introduction: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andibular first molar eruption disturbances. Methods: A total of 38 mandibular first molars(M1mn) from 36 patients(17 males and 19 females; aged 9 years 2 months?35 years 10 months) were identified from the 13,391 patients that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from 1983?2012.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based on panoramic radiographic examination: impaction due to ectopic position of the tooth germ relative to the contra-side same tooth(Group 1), impaction due to obstruction of the eruption path with cyst or calcium mass (Group 2), and primary and secondary retention due to defects in the follicle or periodontal ligament(PDL; Group 3). The treatment outcomes were evaluated into four categories: no treatment(A), orthodontic traction(B), autotransplantation(C), and extraction due to orthodontic traction failure(D).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M1mn eruption disturbances in this sample was 0.27%. In Groups 1 and 2, most of the impacted M1mn were erupted successfully by orthodontic traction. In Group 3, most of the retained M1mn were failed to erupt and recommended for extraction. Conclusions: Treatment prognosis was favorable on Group 1 & 2 than Group 3. After removing an element of the cause in case of Group 1 & 2, orthodontic traction or periodic observation will be recommended.

  • PDF

A Retrospective Clinical Investigation of Delayed Eruption of Premolars in the Mandible

  • Sookyung Park;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Young-Jae Kim;Hong-Keun Hyun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9-48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delayed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s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spontaneous erup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y. The prevalence of delayed mandibular premolar eruption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comprising 254 patients (aged 9 - 15 years), was 5.19%,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most affected (4.39%) compared to the first premolars (0.76%).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Among the treated mandibular premolars, primary molar-related lesions were identified as the leading cause (7.85%) of delayed tooth eruption.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based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Teeth with Nolla stage 7 or lower had a treatment duration of 22.89 ± 11.96 months, whereas those with stage 8 or higher had a 15.02 ± 6.34 month duration. The deeper the tooth was located in the bone, the longer the treatment period became.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 and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atment durations for affected mandibular premolars increased with the depth of impaction angle of inclination. In this study, the treatment duration for delayed eru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Variations in the impaction depth and inclination angle across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as explored in this study, might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management options for delayed tooth eruptions.

매복견치의 치료: 증례보고 (TREATMENT OF IMPACTED CANINE : CASE REPORTS)

  • 안병덕;김영재;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1-158
    • /
    • 2008
  • 상 하악 견치는 기능적 관점에서 뿐 아니라 심미적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치아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견치의 매복은 종종 관찰되며 여러 임상적인 문제점을 유발한다. 상악 견치의 매복이 하악 견치보다 빈번하며, 주로 구개측에 매복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악의 경우 견치의 매복이 상악보다 드물게 나타나며, 특히 정중선을 지나 전위 매복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이 없어 방사선 사진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은 불분명하고 다양하다. 매복 견치의 치료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매복 위치와 방향, 맹출 가능한 공간의 유무, 치근의 형성 단계에 따라 맹출 장애 요인을 제거한 후의 주기적인 관찰 및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 치아이식, 외과적 발치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악 우측 견치의 매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는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였고, 하악 양측 견치의 매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경우 견치가 정중선을 지나 전위 매복되어 있어 교정적 견인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자가이식을 시행하였다.

  • PDF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치험례 (TREATMENT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A CASE REPORT)

  • 조윤정;박영옥;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22-328
    • /
    • 2007
  • 제1대구치는 저작과 혼합치열기 이후의 수직적 교합관계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악골의 성장발육에 관여한다. 제1대구치의 매복은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이 있으며 이중 외과적 노출술이 가장 기본이 되는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술시에는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레진관의 접착,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서 장애물의 제거와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한 결과 자발적인 맹출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surgical pack과 투명상유지장치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 PDF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 맹출유도의 치험례 (TREATMENT OF THE IMPACTED LOWER SECOND MOLARS)

  • 한수경;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5
    • /
    • 2004
  • 정상적인 하악 성장에서, 하악 제1대구치 후방의 치배는 근심경사되어 있다. 보통 이러한 근심경사는 자발적으로 해소되나, 항상 그런 것만은 아니다. 첫 번째 증례는 14세 여아로서 가족이 모두 하악 제2대구치가 매복된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환아 역시 양측 모두 매복되어 분절호전과 개방용 코일 스프링으로 치료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14세 남아 환자로 Halterman 장치를 이용하여 매복된 하악 우측 제2대구치를 치료하였다. 세 번째 증례는 11세 남아로서 고정성 교정 치료 중 하악 양측 제2대구치가 매복되었다. 분절호선과 개방용 코일 스프링, 구리선으로 치료하였다.

  • PDF

하안면과 경부의 심미성 증진을 위한 지방흡입술을 동반한 Submentoplasty 술식: 증례보고 (Submentoplasty for esthetic improvement of the neck-lower facial region : Two cases report)

  • 박영주;남정훈;송준호;연병무;김다영;안장훈;강태인;강혜진;김준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11호
    • /
    • pp.750-757
    • /
    • 200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submentoplasty for esthethic improvement of the cervico-facial region of patients with obtuse chin-neck angle. Materials and methods : Case 1. We evaluate the changes of submental line length and chin-neck angle of 35-year-old woman with skeletal Class III and mandibular excess with excessive submental fat before and after surgery: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BSSRO) setback(5mm), Mandibular Angle Reduction, Reduction Malarplasty and Submentoplasty. In this case, It was done simultaneously with orthognathic surgery. Case 2. The changes of submental line length and chin-neck angle of 20-year-old man with skeletal class III and maxillary defiency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at first surgery : Lefort I osteotomy(6mm posterior Impaction), BSSRO setback(9mm), Paranasal Augmentation and at second surgery: genioplasty(6mm advanced) with submentoplasty. In this case, submentoplasty and advancement genioplasty were done after 2 months post-operative periods. Results : Case 1. In case of the Skeletal Class III mandibular excess with submental fat deposit, It showed the improvement of submental angle and length of submental line after simultaneous submentoplasty. Submental angle is changed from $177^{\circ}$ (pre-op) to $151^{\circ}$ (post-op) and submental line length is changed from 8mm(pre-op) to 36mm(post-op). Case 2. The improvement of submental angle and length of submental line after delayed submentoplasty was aquired in case of the skeletal class III maxillary defiency. Submental angle is changed from $154^{\circ}$ (pre-op) to $161^{\circ}$ (first surgery) and to $153^{\circ}$ (second surgery) and submental line length is changed from 25mm(pre-op) to 19mm(first surgery) and to 23mm(second surgery).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Submentoplasty is useful surgical procedure for esthethic improvement of the cervicofacial region of patients with obtuse chin-neck angle.

  • PDF

맹출 장애의 특성과 치료방법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of Eruption Disturbance)

  • 서희원;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4-473
    • /
    • 2018
  • 2011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맹출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7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897개의 치아에 대하여 맹출 장애의 빈도, 원인, 치료방법, 교정적 견인방법, 견인기간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맹출 장애는 상악 견치, 상악 중절치, 상악 제1대구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상악 견치의 맹출장애는 여자에게서 호발 하였고(p < 0.001), 상악 중절치(p = 0.009)와 상악 제1대구치(p < 0.001), 하악 제1대구치(p = 0.028)의 맹출 장애는 남자에게서 호발 하였다. 맹출 장애의 원인은 맹출 경로의 이상, 맹출 경로 상에 장애물의 존재가 가장 많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교정적 견인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으며, 상악 중절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시행되었다. 교정적 견인 기간은 연령이 어릴수록(p < 0.001), 치관의 위치가 낮을수록(p < 0.001), 견인기간이 짧게 관찰되었다. 소아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맹출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