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coris aure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진노랑상사화 Lycoris chinensis Traub var. sinuolata K. Tae et S. Ko ex K. Tae et S. Ko (Amaryllidaceae)에 대한 기재 (Description of Lycoris chinensis Traub var. sinuolata K. Tae et S. Ko ex K. Tae et S. Ko (Amaryllidaceae))

  • 태경환;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87-392
    • /
    • 2003
  • 본 연구는 신종 발표시 기록하지 않았던 진노랑상사화 Lycoris chinensis Traub var. sinuolata K. Tae et S. Ko에 대하여 라틴어 기재를 추가하였고, 또한 근연관계에 있는 L. chinensis Traub와 L. aurea Herb를 포함한 새로운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Lycoris 속(屬)의 자생지(自生地) 분포(分布) 및 개화특성(開花特性) (The native distribution and flowering Characterestics of Lycoris genus)

  • 朴魯福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80-88
    • /
    • 2002
  • 동(東)아시아 특산(特産) 식물(植物)인 Lycoris 속(屬) 구근류(球根類)를 화훼(花卉) 작물화(作物化) 하기 위하여 자생지 분포현황(分布現況)과 개화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ycoris속의 자생지 분포(分布)는 북위(北緯) 37도에서 24도까지 지역(地域)의 습기(濕氣)가 많은 해안지역(海岸地域)으로 겨울 최저온도(最低溫度)는 -10℃ 내외(內外)였다. 엽발생(葉發生) 특성(特性)은 춘계출온도(春季出溫度)은 L. squamigera, L. koreana, L. sangunea, L. sprengeri, L. incanata, L. flavescens 등(等)이고 추계(秋季) 출엽형(出葉型)은 L. radiata, L. radiata. var pumila, L. aurea, L. traubii, L. albiflora, L. houdyshelli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3. 구근(球根) 특성(特性)은 유피인경(有皮鱗莖)에 속(屬)하고 반축분지형태(返軸分枝形態)로 1개(個)의 경축단위(莖軸單位)를 축(軸)으로 해서 비대(肥大)해가며 인편수(鱗片數)는 종(種)에 따라 14-23개(個) 였고 구근내엽수(球根內葉數)는 2.8-5.2 개(個) 였다. 4. 화형(花型)은 trumpet type이 L. squamigera, L. koreana, L. aurea, L. incanata, L. sprengeri, L. sanguinea, L flavescens 등(等)이고 spider type은 L. radiata, L, radiata. var pumila, L. albiflrora, L. houdyshelli, L. traubii로 구분(區分)되었다.

RAPD markers에 의한 상사화속 식물의 유연관계 (Relationship of Lycoris (Amaryllidaceae) Based on RAPD Markers)

  • 태경환;김용현;신영화;강신호;김주환;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9
    • /
    • 2008
  • 상사화속 15분류군을 대상으로 종간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이 수행되었고,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bp에서 1,7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5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57개의 유효한 RAPD marker를 확인하였고, 비유사도 지수 행렬을 도출하여 UPGMA phenogram을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분류군들은 전체적으로 3개의 유집군을 형성하였는데 첫 번째 유집군에는 L. chinensis var. sinuolata, L. sanguinea var. koreana, L. uydoensis, L. flavescens, L. radiata var. pumila, L. radiata, L. squamigera, L. chejuensis, L. aurea와 L. guangxiensis의 10분류군이, 두 번째 유집군에는 L. haywardii, L. sprengeri, L. rosea, L. straminea 및 L. houdyshii의 5분류군이, 세 번쨰 유집군에는 비교군인 수선화와 문주란이 각각 포함되었다. RAPD 분석결과는 배수성과 핵형 등의 세포분류학적 형질들과 비교하여 볼 때 Lycoris속내 종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실험적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Methanolic Extract Isolated from Root of Lycoris aurea Inhibits Cancer Cell Growth and Endothelial Cell Tube Formation In Vitro

  • Kang, Moo-Rim;Lee, Chang-Woo;Yun, Ji-Eun;Oh, Soo-Jin;Park, Song-Kyu;Lee, Ki-Ho;Kim, Hwan-Mook;Han, Sang-Bae;Kim, Hyoung-Chin;Kang, Jong-So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33-38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isolated from the root of Lycoris aurea (LA) on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the tube formation activity of endothelial cells. Various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LA at doses of 0.3, 1, 3, 10 or 30 ${\mu}g/ml$ and LA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several cancer cell lines, including ACHN, HCT-15, K-562, MCF-7, PC-3 and SK-OV-3,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found that LA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G2/M phase in ACHN renal cell adenocarcinoma cells. Further study demonstrated that LA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the tube formation, which is a widely used in vitro model of reorganization stage of angiogenes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LA inhibits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tube formation of endothelial cells and the growth-inhibitory effect of LA might be mediated, at least in part, by blocking cell cycle progression.

화학약품처리(化學藥品處理), 종피제거(種皮除去) 및 저온처리(低溫處理)가 개상사화(想思花)의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hemicals, Decoating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in Lycoris aurea)

  • 박윤점;정연옥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2-177
    • /
    • 1996
  • 개상사화의 종자발아촉진(種子發芽促進)을 위하여 종피제거(種皮除去), 배유(胚乳)의 일부절제(切除)와 xylene처리(處理),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와 화학약품처리(化學藥品處理) 및 저온처리(低溫處理)를 실시(實施)하여 파종 4개월후 발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피제거(種皮除去)는 무제거(無除去)에 비해 발아율(發芽率)을 높일 수 있었고 특히 종피제거(種皮除去)+xylene처리(處理) 는 63%의 발아율을 얻었다. 2. $GA_3$는 kinetin 처리(處理)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고 특히 $GA_3$ 200ppm에서 60%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3. $KNO_3$는 KOH 처리(處理)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특히 $KNO_3$는 0. 1% 처리(處理)에서 76%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종자(種子)를 $5^{\circ}C$ 1개월(個月) 저온처리후(低溫處理後) 파종(播種)한 발아율(發芽率)은 77%, 2개월(個月) 처리(處理)는 93%, 3개월(個月) 83%, 4개월(個月) 80%로 $5^{\circ}C$ 저온(低溫) 2개월(個月) 처리후(處理後)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 PDF

邊山半島 國立公園의 植生 (The Vegetation of P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 Buan)

  • Kwak, Seung-Hoon;Hun-Youg Chom;Chang-Hwan Kim;Bong-Seop Ki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81-194
    • /
    • 1991
  • Vascular plants, the structure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forst vegetation in p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were inverstigated by phytosociological, continuum analysis and ordination methods. The flora was composed of 119 families,411 genera, 609 species, 79 varieties, 10 forma or 698 taxa.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have been represented such as ch-$D_1$-$R_5$ type in biological one, erect form in growth on. It is noticeable that lycoris aurea, carpinus tschonoskii var. eximia, corylus hallaisanensis and abeliophyllum distichun among the investigated plants delong to endemic and/or rare specie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seven communities: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 platycarya,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dentata, zelkova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were the commonest species among distributed species. In addition inter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dominant indrx of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little different each other and that of accordance altitude also was not much distinguishable. Platycarya strobilace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as community were distinguished different groups by polar ordination.

  • PDF

Lycoris속(屬)의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Lycoris genera)

  • 박윤점;정연옥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3-171
    • /
    • 1996
  • Lycoris의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자 온도(溫度), 채종시기(採種時期)와 파종시기(播種時期), 파종용토(播種用土)과 용토(用土)의 수분량(水分量) 및 광선(光線)의 유무(有無)가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양꽃과 개상사화(想思花)는 90% 이상 결실(結實)하였고 종자성숙(種子成熟)은 $9{\sim}10$월 상순(上旬)으로 나타났는데 60% 이상의 발아율(發芽率)을 얻는데는 6개월이 소요되었다. 2.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circ}C$로 나타났고 변온처리(變溫處理)는 $20,\;25^{\circ}C$에서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채종적기(採種適期)는 9월(月) 20일(日)경이었고 파종시기(播種時期)는 채종(採種) 즉시 파종(播種)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4. 파종용토(播種用土)은 사양토가 가장 좋았고 용토(用土)의 수분량(水分量)은 용토(用土) 400mg당 PF 1. 9가 가장 적당하였다. 4. 종자발아(種子發芽)는 암조건(暗條件)이 명조건(明條件)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위도 식물상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the Flora of the Wi Island)

  • Huh, Kwang Shin;Il Koo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3_4호
    • /
    • pp.68-79
    • /
    • 1981
  • 1978년 5월과 8월, 1979년 4월, 5월, 6월, 7월 즉 6회에 걸친 답사결과 본도의 식물상은 양치식물 이상의 식물은 73과 158속 189정 31변종으로 나타났다. 이조 초중엽까지의 본도의 우점식물은 동백나무의 모밀잣밤나무를 비롯한 상록활엽수였으나 이조 중말엽부터 인구증가 또는 유배자증가에 의하여 화전개간이 기하여 상록활엽수는 줄어들고 화전뒤의 폐전에 소나무가 침입하여서 우점하게 되었다. 환연하면 이도는 고대에는 난대식물이 우점되었었지만 근대에 와서 번식력이 강한 온대식물로 교체된 곳이다. 최근의 침입종으로서는 곰솔, 아카시아, 족제비싸리 등이다. 일정말엽과 해방후 약 10년간에 소나무(P.densiflora)도 전부 대채되고 그 뒤에 산림청엽수는 동백나무, 모밀잣밤나무 등의 외에 20종이 주로 벌금리의 성황당과 대리의 가파른 뒷산 치도리의 부락 뒷산 및 진리의 면사무소 뒷산에 극히 소수 잔재되어 있다. 본도의 특이한 식물로서는 진리 일대의 밭뚝이나 산록에 개상사회가 군락을 만들고 있는 점과 큰딴치도의 소나무림내에 있는 보춘화 군락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