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sia so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구형의 PMN-PT 분말 제조 방법 (Preparation Method of Spherical 0.9PMN-0.1PT Powder)

  • 임경란;정순용;김창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687-692
    • /
    • 2002
  • 단일상 페로브스카이트 PMN-PT 분말 합성 과정에서 전구체 분말의 표면을 소량의 magnesia 졸로 코팅하여 구형의 분말을 제조하고자 시도하였다. 질량 감소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정량의 혼합 분말을 55$0^{\circ}C$/lh 열처리하여 얻은 전구체 분말을 0.3-1.0wt% MgO에 해당하는 magnesia졸과 혼합한 후 80$0^{\circ}C$/lh 하소하여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상 PMN-PT 분말을 얻었다. MgO(0.3)일 경우는 <0.3$\mu\textrm{m}$와~2$\mu\textrm{m}$의 두 종류 크기의 분말로 나타나나, MgO(0.6)과 MgO(1.0)의 경우는 0.5-0.8$\mu\textrm{m}$의 구형 분말을 응집없이 얻을 수 있었다.

Effect of Sinter Additives on Sol-Gel Derived Alumina Fibres

  • Lakshmi, N.S.;Gnanam, F.D.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6권2호
    • /
    • pp.159-163
    • /
    • 2000
  • Alumina fibre has been synthesized successfully by sol-gel technique. Boehmite sol was prepared by hydrolyzing aluminium iso-propoxide and peptizing it with nitric acid. The stable sol thus obtained was used for fibre drawing when their viscosity reached the required value as a result of progress of the hydrolyzation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The fibres dried at 11$0^{\circ}C$ for 12 hours were sintered at 1$600^{\circ}C$ for 5 hours. A reasonable sintered density with better microstructure and strength have been attained using 2 wt% of urea, magnesia and silica as sinter additives. Thermal analysis with sintering additives of 2 wt% and phase determination of the heat treated fibres using XRD and FT IR spectra confirms the phase transitions. The observation of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fibres were made using SEM. Fibres of uniform circular cross-section is obtained by fixing the shape in a setting solution.

  • PDF

MgO 졸로 표면개질된 PMN-PT-BT 분말의 소결 및 유전특성 (Sintering of Surface-Modified PMN-PT-BT Powder with MgO Sol and Its Dielectric Properties)

  • 임경란;김창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929-932
    • /
    • 2004
  •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상의 PMN 계 복합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소량의 MgO가 과잉으로 사용되며, 잉여 MgO는 주로 입내에 석출되며 소결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MgO 대신 $(MgCO_3)_4{\cdot}Mg(OH)_2{\cdot}5H_{2}O$을 사용하여 고상법으로 제조한 PMN-PT-BT(PBT) 전구체 분말을 $500^{\circ}C/1h$에서 열처리한 후, MgO 졸로 표면 개질하여, 과잉의 MgO가 소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량의 MgO 졸($0.5{\sim}1.0wt\%$)은 $100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소결을 크게 촉진시켰다. $0.5wt\%$의 졸이 사용된 PBT 분말은 $900^{\circ}C/2h$ 소결로 소결밀도 $7.62g/cm^3$, 유전율 14800, 유전손실 $1.1\%$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PBT의 $1000^{\circ}C/2h$ 소결체의 물성과 흡사하였다. 또한 MgO 졸로 첨가된 과잉의 MgO는 삼중점과 입계에 주로 석출되어 입성장을 제어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