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Competence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역량지각 (Mother's parenting-attitudes and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s)

  • 박성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69-27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self-perceived competences of their children. 197 children of the 4th through the 6th grade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area. We used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Harter, 1982) to measure their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s Scale (1990, Lee & Park)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s of their mothe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parental warmth and control. Children with more perception of parental warmth and consistent control considered themselves higher in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es and in self-worth. Boys perceived higher mother's consistent control and positive participation in parenting-attitudes than girls. Girls perceived themselves higher than boys in global self-worth. Next, Out of the three grades the 4th graders indicated more perception of attachment, authoritarian control, and positive participation in parenting attitudes.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in self-perceived competence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grades. Finally,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perceived competences of their children. Children with more perception of parental warmth, attachment, positive participation, and consistent control showed higher level of phys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global self-worth.

  • PDF

갈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Relational Outcomes)

  • 장해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3권
    • /
    • pp.113-151
    • /
    • 2003
  • 본 연구는 갈등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표현되고 인식되고 관리된다는 측면에서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갈등 결과를 가져오는 핵심적인 요소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상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대인적 갈등상황에서 갈등관리전략은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갈등관리전략과 갈등 후의 상호관계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첫째, 통합전략은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피전략과 분할전략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것은 통합전략을 사용한 사람들은 상대방으로부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 반면 분할전략과 회피전략을 사용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능력이 없는 것으로 지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갈등 후의 상호관계, 즉 친밀감, 신뢰감, 관계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대방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사림들은 대체로 갈등 후에 상대한 친밀감이나 신뢰감을 더 느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호관계에도 만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갈등관리전략과 갈등 후의 상호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갈등 후의 상호관계는 자기가 어떻게 갈등관리전략을 구사했는가라는 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보다는 상대방이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어떻게 지각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대인적 갈등상황에서 만족스럽고 생산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 PDF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Academic Librarian about ALA's Core Competencys of Librarianship)

  • 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50
    • /
    • 2009
  • 본 연구는 2009년 1월 27일 미국도서관협회 평의원회에서 공표한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도서관 현장의 사서 17명을 대상으로 사전 교육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의 핵심능력에 명시된 8개 영역과 40개 세부능력에 대하여 각각의 중요도와 전공심화정도, 필요 교과목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8개 영역별 중요도에서는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조직, 전문직 기초,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으로 중요했으며, 전공심화정도에서는 전문직 기초, 연구,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사서의 핵심능력 배양에 필요한 교과목은 도서관경영론, 정보서비스론, 문헌정보학개론, 도서관정보정책론, 도서관연구방법론, 도서관자동화론의 순이었다.

역량 온톨로지 기반 교육 콘텐츠 검색 시스템 (The educational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competency ontology)

  • 이윤수;장병철;강현상;차재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87-494
    • /
    • 2010
  • 최근 교육에서 대두 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학습자의 역량을 고려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가진 역량에 따라 학습자의 목표를 이루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된 역량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다. 우리는 임의의 학습자에 대한 역량 정보와 목표를 LIP 또는 ePortfolio 형식을 통해 제공하는 학습자 정보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본 논문은 많은 교육 콘텐츠들이 존재할 때 위 역량 평가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학습자의 역량 및 목표와 역량 맵을 확장한 역량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각 학습자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역량 온톨로지와 도메인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역량 맵과 역량 정의가 지속적으로 변하더라도 유연하게 이에 대처할 수 있다.

한국 임상수의사의 전문직업성 및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Veterinarians)

  • 천명선;김진석;이문한;류판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48
    • /
    • 2012
  • This survey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as aimed to analyze the veterinarians' attitude toward their profession and educational needs in Korea. Two hundred and ninety nin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dered nontechnical competenc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skills, important as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for veterinaria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terinarians'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groups of gender, region, specialty, employment status, and work hours. The factor analysis of adjusted Hall's professionalism scale showed 4 dimensions of Veterinarians' professionalism; belief in self-regulation, belief in public service, using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t, and autonomy. Veterinarians'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needed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veterinary students and veterinarians.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이 기업의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onsultant Competences of SMEs CEO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 권민희;이상복;유연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13-126
    • /
    • 2022
  • 경영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기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경영에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막중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경영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한편 컨설턴트란 기업과 조직이 당면한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유도하여 경영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로 정의된다. 컨설턴트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경영적 전문 지식,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찰력, 리더십 등은 컨설턴트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기간 동안의 계약 유무를 제외하면 최고경영자가 기업의 경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역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으로서 4가지 변수인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으로 구분, 해당 변수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조 및 서비스업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기법은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고경영자의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을 컨설턴트 역량과의 공통적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성과를 향상할 때 필요한 최고경영자의 역량 특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K-CESA) 결과에 따른 차이 분석: 계열, 인증여부, 성별,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ore Competencies Diagnosis(K-CESA) Result in Engineering Students: Focused on Major Field, Accredited Status, Gender, Admission Types)

  • 신동주;황지원;송오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50-6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the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es depending o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gender, admission typ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K-CESA results on self-management capabilities, resources & information use, global competency,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2017 for the fourth graders of S University. An ANOVA of major field showed that the humanities had high overal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test of engineering students showed that accredited students had relatively low "flexibility" of their global competency, and that the "analysis" of their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admission types. Through these analyses, we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programs based on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roup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such as capstone design, the need to secure flexibility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enhancement of female students' resources & information use.

융복합적 외주 중심 게임개발 환경에서의 그래픽 디자이너 필요역량 (The Graphic Designer's Competency in Convergence of Outsourcing Game Development)

  • 안덕기;김석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57-265
    • /
    • 2015
  • 본 연구는,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목적으로 이제는 보편화된 제작방식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는 외주를 통한 융복합적 게임개발과 관련된 연구로, 특히 외부 업체와의 협업이라는 변화된 실무환경에서 그래픽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업무역량을 중심으로 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로 외주의 기본개념과 외주제작이 지니는 장점들에 대하여 분석, 정리를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외주작업 시,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업무역량을 크게 세가지로 분류, 분석연구를 진행함으로서, 그래픽 디자이너 업무영역과 관련하여 실무적 관점의 또 다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는 조사중심의 연구로서 분석의 대상을 외주를 통한 제작방식이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북미의 대표 개발사를 중심으로 하였음을 밝힌다.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의 실제와 정책적 시사점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Practices and Policy Implication)

  • 박승;이인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83-9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변지역 3개 고등학교 60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은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둘째,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 가운데 사회적 요인보다 개인요인인 자기인식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이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담임교사는 먼저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제고시켜야 한다. 향후연구에서는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SW 교육 학습자의 인식 분석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uting Thinki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Learners)

  • 신좌철;김영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95-202
    • /
    • 2023
  • 본 연구는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이루어진 수업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SW 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학습 동기와 학습 성취도에 따른 다양한 실험적 요소를 구성하고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설문조사로 교수자 역량(FC), 학습자 역량(LC), 교육 여건(EC)의 3가지 부문의 실험적 요소를 1차 영역별, 2차 전공 계열별로 각각 분석하였다. CT 기반의 SW 교육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교육자료 개발, 강의에 대한 이해, 교수방법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수강생과의 소통, 강의의 난이도, 수강 인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공별로 분석한 결과는 인문 계열에서 공학 계열보다 어렵고 흥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계적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 측면에서 향후 효과적인 교양교육을 위하여 흥미로운 교과과정으로 비전공 SW 교육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