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aDB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4초

오픈소스 DBMS 성능비교분석 (Performanc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Open-Source DBMS)

  • 장래영;배정민;정성재;소우영;성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05-808
    • /
    • 2014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손쉽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오라클(Oracle)을 선두로 한 상용서비스들과 MySQL을 중심으로 하는 오픈소스 DBMS가 있다. MySQL이 오라클에 인수된 이후 MariaDB가 발표되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SQL과 다른 성격의 NoSQL DBMS들도 상황에 따라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동일한 형태의 대용량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오픈소스 DBMS간 실제 성능비교분석이 필요함에 따라 본고에서는 오픈소스DBMS의 MariaDB와 문서중심(Document-Centric) 데이터베이스인 MongoDB간의 성능비교분석을 연구하였고, 나아가 그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한 빅데이터관련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PU 오버헤드 분석을 통한 MariaDB와 PostgreSQL 성능 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between MariaDB and PostgreSQL in terms of CPU overhead)

  • 이동호;송민창;조영태;김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97-299
    • /
    • 2018
  • IT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들이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많은 양의 컴퓨터 자원 (CPU, RAM 등)을 요구하는 기술들을 서비스화 하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차원으로 효율적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도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RDBMS 인 MariaDB와 PostgreSQL을 프로파일링하여 CPU 자원 효율성 관점에서 비교한다. 연구 결과 인터넷 서비스 환경에서 MariaDB가 PostgreSQL보다 버퍼 풀로 인해 페이지 캐시 참조율이 낮고, page fault 수가 적어 CPU 오버헤드가 더 작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원자성 쓰기 보장을 위한 스토리지 I/O 서브시스템 (Storage I/O Subsystem for Guaranteeing Atomic Write in Database Systems)

  • 한규화;신동군;김용석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169-176
    • /
    • 2015
  • 최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중 쓰기 버퍼 기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원자성 쓰기 기법이 제시되었다. 원자성 쓰기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파일시스템과 I/O 스케줄러 등의 I/O 서브시스템과 SSD의 원자성 쓰기의 보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ariaDB의 데이터 쓰기의 기본 단위를 사용하여, 쓰기 단위 연속 블록 할당 기법, 플래그 전달을 통한 I/O 명령 병합 방지 기법, 원자성 쓰기를 지원하는 SSD를 통해 MariaDB의 원자성 쓰기를 지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Tpcc-mysql와 SysBench를 사용하여 MariaDB에 제안된 기법을 적용한 결과, 원자성 쓰기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처리량이 이중 쓰기 버퍼 기법을 사용한 MariaDB 대비 약 40%~50%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오픈 소스 RDBMS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Open Source RDBMS)

  • 정성재;배유미;박정수;성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31-634
    • /
    • 2014
  • 웹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는 오라클과 MS-SQL 등과 같은 상용 프로그램도 있지만, 상용 프로그램에 필적할 성능을 가진 무료 프로그램도 다수 존재한다. 특히, PostgreSQL, MySQL, MariaDB 등은 비용도 들지 않지만, 소스도 공개되어 있어서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가 공개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산업용 생산 장비의 부하 전력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Monitoring the Load Power of Industrial Manufacturing Machine)

  • 아리아 비스마 와휴타마;유봉수;황민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469-478
    • /
    • 2022
  • 본 논문은 산업용 생산 장비의 부하 전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담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산업용 생산 장비의 부하 전력 및 동작 환경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스마트 전력 디바이스와 이의 경량화 버전에 해당하는 에너지 미터링 디바이스로 구분해 하드웨어와 더불어 펌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들 디바이스에서 수집한 부하 전력 데이터는 AWS(Amazon Web Services) 서버내 MariaDB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RESTFul API를 이용해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그래프 형태로 부하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개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MariaDB에서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까지의 응답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4G(LTE)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0.0256~0.0545초, 3G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0.6126~1.2978초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오픈소스 DBMS의 성능 품질 평가 (Evaluating the Performance Quality of Open Source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민미경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933-94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quality of the open source DBMSs. Performance quality is defined as processing time for Join queries. Query processing time is measured and compared in the most widely used open source DBMSs and commercial DBMS. Methods: By varying the number of tuples of two relations to be joined, the average processing time(seconds) of a Join query in each DBMS was obtained experimentally. ANOVA and Tukey HSD test were used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quality of DBMS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qualities of the three DBMSs at all experimental levels where the number of tuples was 100, 1,000, 2,000, 10,000, and 50,000. As a result of the Tukey HSD test, two open source DBMSs (MariaDB, MySQL) were classified in the same group only at the tuple level of 100. The commercial DBMS (MS-SQL Server) belonged to another group. At level of more than 1,000 tuples, all three DBMSs belonged to different groups. Conclusion: Within the open source DBMS group, MariaDB showed the better performance quality except for a small number of tuples. Thus the results show that MariaDB can be the alternative to MySQL which is currently most widely used. Between open source DBMS and commercial DBMS groups, MS-SQL Server always shows the best performance quality, but the less number of tuples, the less the difference.

InnoDB 기반 DBMS에서 다중 버퍼 풀 오버헤드 분석 (An Analysis of the Overhead of Multiple Buffer Pool Scheme on InnoDB-based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송용주;이민호;엄영익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1호
    • /
    • pp.1216-1222
    • /
    • 2016
  • 대규모 웹 서비스의 등장으로 데이터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MySQL과 MariaDB와 같은 DBMS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데이터 관리를 위한 스토리지 엔진으로 InnoDB를 주로 사용한다. InnoDB는 ACID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InnoDB의 경우, I/O 성능 향상을 위해 버퍼 풀을 통해 데이터와 인덱스를 캐싱하며 락 경쟁(lock contention)을 줄이기 위해 다중 버퍼 풀을 지원한다. 그러나 다중 버퍼 풀 기법은 데이터 일관성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버퍼 풀 기법의 오버헤드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 다중 버퍼 풀 기법을 사용함에 따라 락 경쟁이 최대 46.3%까지 완화되었지만 디스크 I/O와 fsync 명령이 증가하면서 DBMS의 처리량이 50.6%까지 떨어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EFS로 초자화 동결된 생쥐 미수정란의 체내/외 발달 (In Vitro/In Vivo Development of Mouse Oocytes Vitrified by EFS)

  • 김묘경;김은영;이봉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87-92
    • /
    • 1998
  • 본 연구는 생쥐 미수정란을 초자화 동결하였을 때, 체내/외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쥐 미수정란은 30, 35, 40% ethylene glycol, 18% ficoll과 0.5 M sucrose가 함유된 M2 배양액으로 구성 된 EFS30, 35, 40을 이 용하여 초자화 동결되었다. 노출 또는 초자화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적인 미수정란은 $1-2\times10^6/ml$ 농도의 정자로 체외수정되었고, 수정 율과 체내/외 발달율 그리고 배 반포의 세포수 (inner cell mass 와 tropectoderm cell)가 조사되었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35%의 ethylene glycol이 함유된 EFS35에서 EFS30과 EFS40보다 높은 분할율을 나타냈다. 초자화 동결-융해 후 체외수정된 미수정란의 2-세포기까지의 발달을 (51.1%)은 동결없이 초자화 동결액에 노출만된 군 (60.0%)과 대조군 (68.2%)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그러나 이들 처리군에 있어서 난할된 난자로 부터의 배반포기 배까지의 발달율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75.0, 73.3 과 80.0%). 또한 초자화 동결된 군의 배반포기배 세포수 $(92.5{\pm}2.9)$도 노출군 $(98.5{\pm}5.3)$, 대조군 $(100.9{\pm}4.8)$과 유사하였다. 초자화 동결-융해 하여 얻어진 배반포기배를 가임신 생쥐에 이식하였을 때 체내발달율인 산자발달율 (50.7%)과 착상율 (80.0%)도, 대조군 (58.2, 78.2%)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생쥐 미수정란은 ethylene glycol를 기본으로 한 EFS35라는 초자화 동결액을 이용하여 동결보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ractal dimension analysis as an easy computational approach to improve breast cancer histopathological diagnosis

  • Lucas Glaucio da Silva;Waleska Rayanne Sizinia da Silva Monteiro;Tiago Medeiros de Aguiar Moreira;Maria Aparecida Esteves Rabelo;Emílio Augusto Campos Pereira de Assis;Gustavo Torres de Souza
    • Applied Microscopy
    • /
    • 제51권
    • /
    • pp.6.1-6.9
    • /
    • 2021
  • Histopathology is a well-established standard diagnosis employed for the majority of malignancies, including breast cancer. Nevertheless, despite training and standardization, it is considered operator-dependent and errors are still a concern. Fractal dimension analysis is a computation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that allows assessing the degree of complexity in patterns. We aimed here at providing a robust and easily attainable method for introducing computer-assisted techniques to histopathology laboratories. Slides from two databases were used: A) Breast Cancer Histopathological; and B) Grand Challenge on Breast Cancer Histology. Set A contained 2480 images from 24 patients with benign alterations, and 5429 images from 58 patients with breast cancer. Set B comprised 100 images of each type: normal tissue, benign alterations, in situ carcinoma, and invasive carcinoma. All images were analyzed with the FracLac algorithm in the ImageJ computational environment to yield the box count fractal dimension (Db) results. Images on set A on 40x magnific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003), whereas images on 400x did not present differences in their means. On set B, the mean Db values presented promising statistical differences when comparing. Normal and/or benign images to in situ and/or invasive carcinoma (all p < 0.0001). Interestingly, there was no difference when comparing normal tissue to benign alterations. These data corroborate with previous work in which fractal analysis allowed differentiating malignancies. Computer-aided diagnosis algorithms may beneficiate from using Db data; specific Db cut-off values may yield ~ 99% specificity in diagnosing breast cancer. Furthermore, the fact that it allows assessing tissue complexity, this tool may be used to understand the progression of the histological alterations in cancer.

재생 환경에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타이틀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for Generating Independent Multimedia Title in Display Environment)

  • 박대혁;강의선;홍마리아;서정만;임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06
  •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에 의존적인 재생기가 필요하다. 재생기의 중복 개발에 따른 데이터 호환성 및 소모적인 리소스 사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타이틀 컨텐츠를 인터넷 문서로 제작하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멀티미디어 타이틀에 저작된 내용을 인터넷 페이지로 재생성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간동기화를 위해서 CSS Layer를 기반으로 화면 구성을 하고, 졸업앨범에서와 같이 학생의 신상 정보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멀티페이지 화면을 인터넷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전용 DB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XML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 문서에 연동하여 서비스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터넷 페이지의 스크립트에 의해서 인적정보를 갖는 XML 데이터와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전용 재생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터넷이 접근 가능한 어떤 곳이든 전용 재생기 없이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재생할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