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 and recapture method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표지방류 조사를 통한 거제 외포 주변해역 대구(Gadus macrocephalus) 자원량과 어획사망률 추정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inhae Bay,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 황강석;최일수;정석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99-506
    • /
    • 2012
  • We estimated the population siz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waters off Woipo, Geoje Island,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We marked and released 51 cod>50 cm in total length; six were recaptured by local fishermen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5 to 31, 2009. The estimated population size was ca. 180,000 and the fishing mortality of the exploitable cod was 26%. Although we could assume a closed population due to the short survey period, we evaluated the uncertainty in the estimates by applying bootstrap resampling because the sample size was small. The estimated 95% confidence interval was 94,000-568,000 for the population size and 8-49% for fishing mortality.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pplication of mark-recapture methods and bootstrap resampling can be useful in stock assessment for fisheries management in Korea, but requires a larger sample size, spatially extensive coverage, and sophisticated mark-recapture models based on a refined sampling design for reliable stock assessment and biological reference points in sustainable cod management.

Estimation of Population Growth Rate using Jolly-Seber Method and Robust Design

  • Kim, Jihye;Hong, Taekyong;Choi, JinSik;Namkung, Py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3호
    • /
    • pp.919-930
    • /
    • 2003
  • Mark-Recapture method for open population commonly use Jolly-Seber method. This method assumes that all animals are equally likely to be caught in each sample (the equal catchability). This objects are making introduction of Mark-Recapture method for open population and using the robust design that combine a open population method with close population method to solve upper problems. Then population growth rate estimators that are derived Pollock's Jolly-Seber parameters and Kendall's Jolly-Seber parameters are estimated.

등줄쥐의 육교형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Use of Wildlife Bridge by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ius))

  • 정기영;이지훈;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7-346
    • /
    • 2023
  • 도로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저감방안으로 육교형 생태통로가 건설되고 있기는 하지만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있다. 생태통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족적트랩, 카메라트랩과 같은 모니터링 방법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얼마나 많은 개체가 이용하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통로와 인근 지역을 서식지로 이용할 가능성이 큰 소형포유류인 등줄쥐를 대상으로 포획-재포획 방법으로 개체 위치 파악을 통해 생태통로 이용 정도를 도출하고, 트랩 주변 환경 특성을 이용하여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도는 격자단위의 포획지점을 연결하여 이동 거리와 경로를 확인하였고,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은 트랩당 포획 횟수를 종속변수로 한 일반화 선형 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등줄쥐의 이동 거리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생태통로를 횡단하는 개체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등줄쥐는 생태통로를 통로보다는 서식지로 이용함을 확인하였다. 등줄쥐가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데 영향을 미친 환경 특성은 층위별 식생피복량(1~2m, 2~8m, 8m 이상), 교목식생, 트랩 주변 최대 수목 흉고직경, 경사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태통로 조성 시 더 많은 교목과 관목을 식재하고, 높은 경사와 절토사면 생성을 방지하여 생태계 내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등줄쥐 이용도를 높인다면 생태통로의 효과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韓國産 Culex trilaeniorhynchus (Diptera: Culicidae)의 分散에 관한 調査 (Dispersal Experiment on Culex tritaeniorhynchus in Korea)

  • 이한일;홍한기;이종수;화전의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9-66
    • /
    • 1978
  • 1974년 8월 포항시에서 표식-방사-재채집 방법에 의한 작은 빨간집 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의 비상 분포 및 분포 조사를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23,115개체의 Culex tritaneiorhynchus 암모기에 표식 방사하여 그중 120마리가 재채집되어 0.519%의 재채집율을 나타냈고 조사기간중 채집된 총 57,514마리의 암놈중 0.00208의 표식 모기 양성비를 나타냈다. 2. 방사지점으로 부터의 분산율은 0~2km에서 77.5%, 2~4km에서 11.7%, 4~6km에서 5% 그리고 6~8km에서 5.8%였다. 3. 1일간 최고 비상 거리는 7.5km였다. 1일 평균 분산거리는 1.55km였고, 방사후의 경과일수와 분산 거리와는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 PDF

사진을 통한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개체식별 가능성 파악 (Validity of Photo-identification Method for Spotted Seals on Baekryongdo, Korea)

  • 김현우;안용락;박태건;김장근;문대연;최석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0-344
    • /
    • 2010
  •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is a standard tool used to study animal behavior and ecology. Numerous studies based on photographic identifications of various marine mammal populations have been successfully conduc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photo-identification method for spotted seals. We tested the method using 4,939 photographs gathered in 30 field surveys from 2006 to 2008 on Baekryongdo, Korea. In 2006, 20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nd cataloged using unique spot patterns on their left chick pelages as a natural marker. In 2007 and 2008, three and nine individuals, respectively, were recaptured, with six individuals continually recaptured during the entire survey period. We confirmed that the spot patterns of spotted seal pelages were constant in shape and location throughout time. These characteristics offered an opportunity to consistently identify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over the long survey period. The use of photo-identification has great potential for mark-recapture studies.

은줄팔랑나비 개체군의 서식지 내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Population)

  • 홍성진;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23-1131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range, distribution pattern, temporal appearance, sex ratio, seasonal pattern, and size of the population of Leptalina unicolor locally inhabiting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n the Jaeyaksan Mountain. We found that the butterfly was distributed across four areas at 750 m above sea level and in an area of 96,000 ㎡.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The discontinuous distribution of the butterflies in the meadow. According to our survey conducted from 2012 to 2014, L. unicolor occurred in May (spring) and July (summer) each year, with the male population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population. The population size estimated using the mark and recapture method on the back of the hind wing in the two years was as follows: 877±502 and 1243±800 individuals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2, respectively, and 783±429 and 506±365 individuals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4, respectively, suggesting no specific seasonal patter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conservation of the populations and habitats of L. unicolor, which are currently distributed locally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size.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의 분포양상 및 서식개체수 추정 (Distribution Status and Estimation of Population Size of the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 in Guem River, Korea)

  • 고명훈;이일로;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6-61
    • /
    • 2012
  • 멸종위기 어류 미호종개의 분포양상을 조사하고 대표서식지의 서식개체수를 추정하였다. 과거 (1984~2004)에는 20개 지점에서 출현하였으나 현재 (2006~2011)는 6개 지점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어 분포지역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현지역은 대부분 모래로 이루어진 하천 하류부였으며 서식구간은 매우 협소하였다. 대표서식지인 백곡천과 지천의 서식개체수를 표지-재포획법 등으로 추정한 결과 백곡천은 9,106개체, 지천은 34,717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은줄팔랑나비(나비목: 팔랑나비과) 성충의 행동특성과 서식지 보전방안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Leptalina unicolor (Lepidoptera: Hesperiidae) and Conservation Methods for their Habitat)

  • 홍성진;김형곤;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09-818
    • /
    • 2020
  • To conserve the population of a hesperiid butterfly, Leptalina unicolor, inhabiting the protected areas of Jaeyaksan, we provide ec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behavior and propose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such as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based on comprehensive information. The behavioral study used a method of re-capture after releasing the butterfly with enamel marks on the wings. Adult behaviors were shown in four patterns: flying, settling on a plant, nectar absorption, and water absorption. Both males and fe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overall; however, males had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As for duration, females spent more time settling on plants to select spawning sites, and males seemed to take a longer time for water absorption activities, to absorb minerals needed to form the spermatophore. The average travel distance of butterflies was 27.5 m for females and 46.7 m for males, with daily activity ranges from 11.2 m to 43.8 m, and 21.4 to 57.6 m, respectively.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preserve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is to maintain the community of Miscanthus sinensis, a food plant. Additionally, because this butterfly has a high rate of water absorption activities, wetlands should be maintained.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의 대체서식지 위치 선정 - 경북 의성군 안사면 일원에서 - (Evaluation of Alternative Habitat Patches for the Endangered Parnassius bremer (Lepidoptera: Papilionidae) in Korea - Evaluation of Ansa-myeon, Uiseong-gun, Gyeongsangbuk-do, Korea -)

  • 김도성;권용정;김동혁;김창환;서민환;박성준;연명훈;이두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8-106
    • /
    • 2011
  • 최근 멸종위기 종에 때한 보전, 복원프로그램은 세계적인 추세일 뿐만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자연환경보전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붉은점모시나비가 상주-영덕 고속도로 계획노선에 의하여 서식지의 일부를 관통하거나 인접하여 이 지역의 개체군을 대체서식지로의 이주가 결정되었다. 이에 대체서식지의 조성에 앞선 선행 작업으로 위치 선정을 위하여 Mark-Release-Recapture (MRR) 방법으로 가상이동모텔을 적용하여 패치의 연결성을 추정하고 개체생존이주율을 산출하여 대체서식지 위치선정의 평가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붉은점모시나비는 패치간의 거리가 약 250m 이내의 범위에서 50% 이상의 연결성과 개체생존이주 가능성을 보였으며, 나비의 이동거리를 추정에서는 평균 300m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비의 분포특성에서는 인접한 여러 개의 서식지 패치를 개체들이 이주를 하면서 순환 발생하는 메타개체군을 이루고 있다. 대체서식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구 결과에 따른 지역, 해당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의 추천지역, 그리고 훼손지역의 가치를 상쇄할 수 있을 정도의 중요도가 있는 지역을 예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들을 나비의 생태, 생태기반환경, 관리방안, 위험요소, 시공요소를 평가를 한 결과, 의성군에서는 5 안(안사면사무소)이 관리방안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선정되었다. 이번에 평가된 항목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체서식지의 위치 선정에 있어서는 대체서식지 조성이 가능한 예산의 범위, 서식지 관리주체의 선정, 현지 주민과의 협의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생물학, 생태학, 경관생태학, 생물지리학, 생태공학, 조경학, 인문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참여로 얻은 결과물을 융합하여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섬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Pisces: Cyprinidae)의 서식개체수 추정 (Population Estimates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Seom River, Korea)

  • 고명훈;송호복;최승호;송하윤;강동원;문신주;이상준;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7-182
    • /
    • 2012
  • 섬강에 서식하는 꾸구리의 서식개체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2010년 9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 원주시 섬강 일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꾸구리가 출현한 곳은 14개 지점이었으며, 자갈과 돌이 깔린 하류의 여울부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출현개체수가 가장 많고 서식지가 안정된 두 개 지점에서 표지-재포획법과 방형구(족대조사와 수중관찰)를 이용하여 서식개체수를 추정한 결과 표지-재포획법으로 $8,295{\pm}4,922$개체와 $39,846{\pm}14,232$개체로 각각 추정되었고, 방형구의 족대조사는 9,216개체와 37,873개체로, 수중관찰은 5,593개체와 24,347개체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