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ing Libraria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의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Foster Marketing Librarians)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9-194
    • /
    • 2008
  • 도서관마케팅은 이용자 만족의 극대화를 위해 이용자집단분석 및 요구분석을 하고, 그에 부응하는 도서관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고객집단에게 알리기 위해 필요하다고 보며, 이러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훌륭한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에 대한 정의 및 그의 역할, 효과적인 도서관마케팅 전략을 기획하고 개발하기 위해 그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 및 역량, 그리고 이러한 마케팅전문사서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직무분석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핵심업무 및 전문사서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out the Key Tasks and Developing the Professional Type of National Librarians through Job Analysis)

  • 안인자;황금숙;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9-148
    • /
    • 2008
  • 능력중심의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사서직이 고숙련의 전문직으로 전문성강화를 하기 위하여 직무분석을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핵심직무를 도출하고, 전문사서의 유형을 개발하였다. 직무분석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사서의 업무는 22개의 책무와 216개의 작업이며, 96개의 핵심업무로 구성되었다. 이를 체계적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우선순위 결정도구에 의하여 분석하고,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결과 기능별 10종, 이용대상별 2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유형은 다음과 같다:장서개발전문사서, 분류 목록전문사서, 정보조사제공전문사서, 독서전문사서, 국제표준(ISO/TC, ISBN, ISSN, CIP)연구전문사서, DB전문가 및 시스템전문사서, 국내협력지원전문사서, 국제교류전문사서,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 교육설계전문사서, 어린이 전문사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ibrarian's Competency Value)

  • 차성종;김진묵;박희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07-133
    • /
    • 2021
  • 본 연구는 정보전문직으로서 사서의 역량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서의 역량 강화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도서관 인적자본으로서 사서의 공통 역량가치를 기량, 지식 및 행동과 태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A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를 평가한 결과,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서의 기량' 영역, '사서의 지식' 영역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A도서관 사서의 '사서의 기량' 영역의 역량가치 평가에서는 '의사소통', '리더십', '기술' 평가요소 순으로, '사서의 지식' 영역의 평가에서는 '법률 및 정책', '마케팅', '학습 및 성장', '재무 및 회계' 평가요소 순으로,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가에서는 '윤리 및 가치', '대인관계', '고객 서비스' 평가요소 순으로 각각 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A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결과에 대하여 평가 대상자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전체 역량가치에 대해서는 '근무기간' 요인 만이, '사서의 지식' 영역에서는 '연령'과 '근무기간' 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사서의 역량가치는 평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사서의 기량' 영역의 역량가치에 대해 '최종학력' 요인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사서의 역량가치를 높이는 데 있어 문제점 및 바람직한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사서자격제도'나 '사서 양성체계' 등 시스템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 안인자;노동조;노영희;김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33-361
    • /
    • 2009
  • 주제전문사서 교육의 목적은 전문화, 특성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사서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교육과정은 담당 사서가 주제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성취 중심의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을 도출하는 과정 및 결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6개의 교육코스와 15개의 교과목을 제안하는데 6개 코스는 '정보원개발', '정보봉사', '도서관마케팅', '이용자교육', '주제연구', '도서관경영 및 일반'이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공공도서관의 내부마케팅이 사서의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f Public Libraries on the Quality of Working Life of Librarian)

  • 이기리;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13
    • /
    • 202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내부마케팅이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의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현직 사서를 대상으로 2020년 7월 25일부터 59일 동안 네이버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20부의 응답지를 통계 프로그램인 IBM SPSS 25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공공도서관의 내부마케팅은 사서의 직장생활의 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마케팅의 개선방안으로는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내부마케팅 제도의 운영, 고학력 사서에 대한 경력 인정과 적절한 보상, 사서의 임금체계에 대한 개선, 경영층 지원과 권한위임을 중심으로 한 내부마케팅 제도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교사 미 배치 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Consulting: Based on the Schools not Employing a Teacher Libraria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35-35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히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학교도서관의 컨설팅을 활성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학교도서관 지원단을 통한 컨설팅은 자발성, 전문성, 자문성 그리고 독립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교육청이 마케팅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학교 컨설팅의 중요한 목적은 단위학교 공동체 중심의 자주적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연합운영체제 구축, 표준업무지침서 개발, DLS를 활용한 온라인 컨설팅 체제 구축 그리고 컨설던트의 직무분석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SNS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Use of SNS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Marketing)

  • 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41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SNS 마케팅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현장에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NS를 학교도서관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서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학교도서관 SNS 마케팅 운영 현황, 계기 및 목적, 전략,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들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 플러스 친구 등의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SNS를 활용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자 증가, 이용자의 요구 파악 등 학교도서관 활용 증대 및 이용자와 소통을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는 학교도서관 이용안내, 독서 프로그램 홍보 등이며, 마케팅의 대상은 주로 학생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케팅 협의체의 필요성, SNS 마케팅 대상의 확장, SNS 활용에 대한 전문성 신장 등 학교도서관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공 도서관문화프로그램 유형 분석 연구 - 미국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Public Library Programs: U.S. Public Libraries' Practices)

  • 최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1-374
    • /
    • 2020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정보문화 거점으로 다양한 장서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미국도서관협회에서 운영하는 'Programing Librarian'에서 공유되고 있는 미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최근 3년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Programing Librarian'은 사서들이 도서관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한 사례를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쟁점을 논의할 수 있는 정보공유 사이트이다.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결과 취미, 문화, 독서와 같은 기존 프로그램 유형이 주요 영역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사회나 생활과 같은 유형의 내용도 나타나고 있으며 친목도모나 체험과 같은 새로운 형식의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소 비용으로 문화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경향은 미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문화프로그램 홍보 방식으로는 Facebook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케팅조사의 결합분석법을 활용한 참고봉사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Evaluation Applying Conjoint Analysis of the Marketing Research)

  • 배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41-168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se ways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eference service through reference evaluation. Marketing research technique combined with pre-evaluation theory was applied in this study to find out information for practice the service based on current concept of reference service. Aim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reference service should b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ways of increasing user's satisfaction. Second, the policy evaluation was understood as the appropriated evaluation concept. The policy evaluation in principle coincides with reference service in sense that the satisfaction of public should have priority and hence be the criterion of the evaluation. Third, marketing research based on recently developed 'marketing concept', which concentrates all its efforts to meet user's demand and attempt to acquire the information for better marketing manage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 such as library, is examined to find out the evaluation method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pre-evaluation of reference service. In this study , conjoint analysis was adopted as the method of pre-evaluation about reference service. The Reference Room of the Central Library Yonsei University, was selected as the arget sample to find out the expected condition for the maximization of the user's satisfaction from the reference service. Based on this example study, the analysis indicates as the most desirable combination for reference service in terms of the user's satisfaction is following condition: the younger librarian with aimable personality who displays willingness In his/her assistance, plus as the method of reference service, sufficient and practical introduction to the reference materials available, plus immediate and satisfactory result of the service, and finally a library equipped with inter-library us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