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k-RCN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딥러닝 기반 임의적 스케일 초해상도 모듈을 이용한 Mask-RCNN 성능 향상 (Improvement of Mask-RCNN Performance Using Deep-Learning-Based Arbitrary-Scale Super-Resolution Module)

  • 안영필;박현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381-388
    • /
    • 2022
  • 인스턴스 분할에서 Mask-RCNN은 베이스 모델로 자주 사용된다. Mask-RCNN의 성능을 높이는 것은 파생된 모델에 영향을 미치기에 의미가 있다. Mask-RCNN에는 입력 이미지 크기를 배치 크기로 통일시키는 변환 모듈(transform module)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Mask-RCNN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변환 모듈의 크기 조정 부분에 딥러닝 기반 ASSR(Arbitrary-Scale Super-Resolution)을 적용하고, 스케일 정보를 모델의 IM(Integration Module)을 이용하여 주입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COCO 데이터세트에 적용하였을 때 인스턴스 분할 성능이 Mask-RCNN 성능보다 2.5 AP 높았다. 그리고 제안하는 IM 위치 최적화를 위한 실험에서는 FPN(Feature Pyramid Network)과 백본(backbone)이 결합하기 전의 'Top' 위치에 배치했을 때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은 Mask-RCNN을 베이스 모델로 사용하는 모델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적 화물차 단속을 위한 Mask-RCNN기반 축조작 검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ask-RCNN Based Axle Control Violation Detection Method for Enforcement on Overload Trucks)

  • 박현석;조용성;김영남;김진평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7-66
    • /
    • 2022
  • 도로관리청은 고속도로 진·출입 톨게이트 및 본선에 저속 WIM 또는 고속 WIM을 설치하여 과적차량을 단속하고 있으나, 근래 과적 화물차가 가변축을 불법 조작하여 도로관리청의 과적차량 단속시스템을 지능적으로 회피하는 운행이 증가하고 있다. 과적 검문소 진입 시에는 차축을 모두 내려 정상 통과하고 본선 주행 시에는 가변축을 불법으로 들어 축하중 10톤을 초과하여 과적 운행하는 방식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변에 차량 옆면 촬영 카메라를 설치하여 도로 주행 중인 화물차의 가변축 상태를 검지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과적차량 검문소의 계중정보 연계 시 검문소 진출 후 차축을 들어 과적 운행하는 차량을 단속할 수 있는 기반기술이다. 제안기술은 제2서해안고속도로 송산마도IC~마도JC 구간 노변에서 취득된 영상을 학습데이터로 가공하고 Mask RCNN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타이어를 인식하였으며 인식된 타이어들을 배열하고 높이차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타이어의 들림 여부를 판단하였다.

위성이미지 기반 시설하우스 판별 Mask-RCNN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sk-RCNN Model for Detecting Greenhouses Based on Satellite Image)

  • 김윤석;허성;윤성욱;안진현;최인찬;장성율;이승재;정용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6-162
    • /
    • 2021
  • 본 인스턴스 분할 모델은 위성을 이용해 촬영된 원격탐지 영상 내의 객체 탐지에 높은 정확도를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불법으로 가설된 시설 하우스를 발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역 및 일정시기를 기준으로 시설하우스를 인식시키고 그 이후에 신축된 하우스를 분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기술을 응용하여, 토지피복도 조사와 같은 인력중심의 작업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앞으로 이 모델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계하여 중앙정부 차원의 단일화된 관리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시설하우스 면적 통계 수치계산에도 쉽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려동물의 질병 진단 시스템 (Design of disease diagnosis system for pets)

  • 고준혁;오동협;이지원;백찬영;김우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5-636
    • /
    • 2022
  • 본 논문은 딥러닝을 이용해 개인이나, 수의사가 반려동물의 피부병을 특정 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를 수집하고 Mask_RCNN 모델을 사용하여 '구진 플라크','비듬 각질 상피성잔고리', '태선화 과다색소침착', 미란 궤양', '결정 종괴', 농포 여드름'의 6 가지 상태로 분류한 다음 사용자에게 대처법과 병명을 알려주는 반려동물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daptive Face Mask Detection System based on Scene Complexity Analysis

  • Kang, Jaeyong;Gwak, Jeo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8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의 대유행에 따라 전 세계 수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몇몇 사람들은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이미지에서의 효율적인 마스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우선 입력 이미지의 모든 얼굴의 영역을 YOLOv5를 사용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얼굴의 수에 따라 3가지의 장면 복잡도(Simple, Moderate, Complex) 중 하나로 분류한다. 그 후 장면 복잡도에 따라 3가지 ResNet(ResNet-18, 50, 101) 중 하나를 기반으로 한 Faster-RCNN을 사용하여 얼굴 부위를 감지하고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 식별한다. 공개 마스크 감지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한 장면 복잡도 기반 적응적인 모델이 다른 모델에 비해 가장 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표현체 연구를 위한 심화학습 기반 벼 종자 분할 (Deep Learning-based Rice Seed Segmentation for Phynotyping)

  • 정유석;이홍로;백정호;김경환;정용석;이창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23-29
    • /
    • 2020
  • 농업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에 대해 우량 종자 확보를 위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및 수확된 종자의 분석과 같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진흥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 씨앗을 분석하기 위해 종자 객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Mask-RCNN을 이용한 전이학습을 수행하며 주어진 특정 환경 (일정한 조도, 흰색 배경)에서 촬영한 입력 영상을 종자 객체 인식을 위한 적절한 매개 변수 적합 (Tuning) 과정 및 영상 분할 작업을 진행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종자 객체 검출에 대한 실험결과로 벼 이삭 영상의 경우 82%와 단순한 볍씨 영상의 경우 97%의 정확도로 벼 낱알을 검출하였다. 향후 연구로 복잡한 상황의 종자 영상 분할을 위한 심화학습 기반의 접근법 및 검출된 종자 객체로부터 길이, 폭, 두께와 같은 정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우량 종자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콘크리트 교량 상태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손상 탐지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Damage Detection Prototype for Concrete Bridge Condition Evaluation)

  • 남우석;정현준;박경한;김철민;김규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1호
    • /
    • pp.107-116
    • /
    • 2022
  • 최근 안전점검자가 접근성 문제로 점검이 어려운 교량 부재의 상태평가를 위해 영상분석 기반의 시설물 점검 기법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교량을 대상으로 딥러닝 기반 영상정보에 대해서 상태평가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딥러닝 기반 교량 손상탐지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 중 손상 검출 및 정량화가 가능한 의미론적 분할 모델인 Mask-RCNN를 적용하였고 학습데이터 6,540장(오픈 데이터 포함)과 손상유형에 적합한 레이블링을 구성하였다. 모델링에 대한 성능검증한 결과, 콘크리트 균열, 박리/박락, 철근노출과 도장 박리에 대한 정밀도(precision)는 95.2 %, 재현율(recall)은 93.8 % 나타내었다. 또한, 교량 콘크리트 부재 손상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균열 실 데이터를 2차 성능검증 하였다.

A method based on Multi-Convolution layers Joint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for Vehicle Detection

  • Han, Guang;Su, Jinpeng;Zhang, Cheng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4호
    • /
    • pp.1795-1811
    • /
    • 2019
  • In order to achieve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vehicle objects in complex traffic conditions, we propose a novel vehicle detection method. Firstly, more contextual and small-object vehicl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our Joint Feature Network (JFN). Secondly, our Evolved Region Proposal Network (EPRN) generates initial anchor boxes by adding an improved version of the region proposal network in this network, and at the same time filters out a large number of false vehicle boxes by soft-Non Maximum Suppression (NMS). Then, our Mask Network (MaskN) generates an example that includes the vehicle occlusion, the generator and discriminator can learn from each oth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vehicle object detection capability. Finally, these candidate vehicle detection boxes are optimized to obtain the final vehicle detection boxes by the Fine-Tuning Network(FTN). Through the evaluation experiment on the DETRAC benchmark dataset, we find that in terms of mAP, our method exceeds Faster-RCNN by 11.15%, YOLO by 11.88%, and EB by 1.64%. Besides, our algorithm also has achieved top2 comaring with MS-CNN, YOLO-v3, RefineNet, RetinaNet, Faster-rcnn, DSSD and YOLO-v2 of vehicle category in KITTI dataset.

Comparing U-Net convolutional network with mask R-CNN in Nuclei Segmentation

  • Zanaty, E.A.;Abdel-Aty, Mahmoud M.;ali, Khalid abdel-wahab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273-275
    • /
    • 2022
  • Deep Learning is used nowadays in Nuclei segmentation. While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open-source software have made these tools easier to implement, expert knowledge is still required to choose the exemplary model architecture and training setup. We compare two popular segmentation frameworks, U-Net and Mask-RCNN, in the nuclei segmentation task and find that they have different strengths and failures. we compared both models aiming for the best nuclei segmentation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of Nuclei Medical Images Segmentation using U-NET algorithm Outperform Mask R-CNN Algorithm.

Fall Situation Recognition by Body Centerline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 Kim, Dong-hyeon;Lee, Dong-seok;Kwon, Soon-kak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4호
    • /
    • pp.257-262
    • /
    • 2020
  • In this paper, a method of detecting the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body fall is proposed by using color images. We detect body areas and key parts of a body through a pre-learned Mask R-CNN in the images captured by a camera. Then we find the centerline of the body through the joint points of both shoulders and feet. Also, we calculate an angle to the center line and then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ngle per hour. If the angle change is more than a certain value, then it is decided as a suspected fall. Also, if the suspected fall state persists for more than a certain frame, then it is determined as a fall situ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body fall situation accur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