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 Trapping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노지 고추재배지에 발생하는 총채벌레를 대상으로 methyl isonicotinate와 집합페로몬 혼합물을 이용한 고효율 대량유살 기술 (High Efficient Mass-trapping Technique using a Mixture of Methyl Isonicotinate and Aggregation Pheromone to Control the Thrips Infesting Hot Peppers in Open Field Conditions)

  • 김용균;진가현;박현제;김철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245-253
    • /
    • 2023
  • 대량유살 기술을 통한 총채벌레 방제 기술이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 기술의 핵심 요인은 효과적 유인제 개발에 있다. 집합페로몬에 의존하였던 유인전략은 노지 재배지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총채벌레의 대량 유살을 위해 새로운 유인물질의 추가가 필요하였다. 또한 노지재배지에서 집합페로몬의 유인력 감소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었다. 새로운 유인물질로서 methyl isonicotinate (MIN)이 제시되었고, 이 물질이 실내 유인행동분석을 통해 총채벌레에 대한 자체 유인력은 물론이고 집합페로몬과 협력효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합페로몬과 혼합물 형태로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분석한 결과 총채벌레의 포획밀도를 증가시켰다. 특히 이러한 증가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인트랩에 집합페로몬의 함량 증가는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는 물론이고 다른 총채벌레류의 포획밀도를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집합페로몬 유인력이 시설재배지와 노지재배지 사이에서 차이가 있으며, 노지 재배지의 경우 효과적 유인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집합페로몬 함량을 요구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집합페로몬에 MIN을 추가하여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고효율 유인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토마토 유리온실 주변에 설치된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Fabricius)) 성페로몬 트랩에 의한 대량포획 효과분석 (Analysis on the Mass-Trapping Effects by Spodoptere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Sex Pheromone Traps Deployed around the Tomato Glasshouse)

  • 김황용;김정환;손병관;조점래;이용휘;김용헌;최만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45-251
    • /
    • 2009
  •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성페로몬을 활용한 대량포획기술만으로, 10,000 $m^2$ 규모의 대형 토마토 유리온실에서 단위면적 당 60원/$m^2$의 방제비용으로 담배거세미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성공하였다. 대량포획을 위해 온실 내부에 500 $m^2$당 1개씩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고, 담배거세미나방 유입을 막기 위해 온실 외각에 20 m 간격으로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담배거세미나방을 방제할 수 있었다. 시험기간 동안 트랩당 평균 400마리 이상의 담배거세미나방이 유살되었다.

콩 포장에서 집합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pedestris) 유인거리 및 피해 경감 효과 (Damage Reduction Effect and Attracted Distance by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in Soybean Fields)

  • 박창규;염기홍;정진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11-419
    • /
    • 2012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pedestris) 상용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포획할 때 유인되어지는 거리를 규명하고 이를 이용한 대량포획으로 콩 피해 경감 효과를 조사하였다. 집합페로몬 트랩의 재포획 비율은 최초 방사 지점에서 40 m 이내의 트랩에서는 전체 재포획 개체의 76.1%, 80 m 이내에서는 89.0%가 포획 되었으며, 트랩 설치 방위 간에 재포획 개체수는 큰 차이가 없었다. 대량 포획을 통한 피해 경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합페로몬 트랩을 농가 포장에 설치한 결과, 트랩수가 증가 할수록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총 포획수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페로몬 트랩 당 포획 할당 면적이 $770m^2$인 포장에서 10주당 수량이 261.8 g 으로 가장 높았으나, 트랩 당 할당 면적과 수량과의 관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트랩 당 포획 할당 면적에 따른 종자 형태 비율은 트랩 당 포획 할당 면적이 $385m^2$$770m^2$인 포장에서 건전한 A형 종자의 비율이 62% 근처로 높았고 약한 피해립인 B형 종자의 비율이 27% 근처로 가장 낮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피해 경감 효과는 포장 면적 $385{\sim}770m^2$ 당 1개를 포장 주변에 적절히 설치 운용 한다면 건전립의 비율을 높이고 약한 피해립의 비율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 고추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 효능의 한계성 (Limitation in Attraction Efficacy of Aggregation Pheromone or Plant Volatile Lures to Attract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festing the Hot Pepper, Capsicum annuum, in Greenhouses)

  • 김철영;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69-377
    • /
    • 2021
  •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 전략 가운데 하나로 대량유살 기술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 해충에 적용되는 상용유인제의 효능을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총채벌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점착트랩의 경우 청색과 황색 색상에 따른 유인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트랩의 위치는 큰 변수로서 기주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포획 밀도가 높았다. 또한 상하 위치도 중요한 변수로서 기주 작물 수관 부위에서 가장 높은 포획 밀도를 보였다. 이를 기준으로 황색 점착 트랩을 설치한 경우 전체 총채벌레 밀도의 약 1%를 유살하였다. 이러한 낮은 유살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용유인제를 황색트랩에 추가하였다. 집합페로몬 또는 식물 휘발성 유인제(4-methoxybenzaldehyde) 성분의 두 가지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는 황색트랩 단독 처리에 비해 크게 유인력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Y-튜브 실내 행동분석은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methyl isonicotinate)들이 각각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높은 유인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이들 유인물질 은 기주 고추 꽃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이는 꽃이 없는 시설 대파(Allium fistulosum) 재배지에서는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가 황색트랩 단독 처리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하여 높은 유인력을 가지는 것을 미뤄 이 곤충의 꽃에 대한 높은 선호성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꽃노랑총채벌레에 사용되는 상용유인제들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추후 고추 꽃을 중심으로 새로운 유인물질의 탐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Characterization of Fennel Flavors by Solid Phase Trapping-Solvent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Shin, Yeon-Jae;Jung, Mi-Jin;Kim, Nam-Sun;Kim, Kun;Lee, Dong-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389-2395
    • /
    • 2007
  • Headspace solid phase trapping solvent extraction (HS-SPTE) and GC-MS was appli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flavors from fennel, anise seed, star-anise, dill seed, fennel bean, and Ricard aperitif liquor. Tenax was used for HS-SPTE adsorption material. Recoveries, precision, linear dynamic ranges, and the limit of detection in the analytical method were validated.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and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fennel-like samples. The Korean and the Chinese fennels contained trans-anethole, (+)-limonene, anisealdehyde, methyl chavicol as major components.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from star anise were characterised by rich trans-anethole, (+)-limonene, methyl chavicol, and anisaldehyde. Additionall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has been used for characterizing or classifying eight different fennel-like samples according to origin or other features. A quite different pattern of dill seed was found due to the presence of apiol (dill).

Fragmentations and Proton Transfer Reactions of Product Ions Formed from Mono-, Di-, and Triethanolamines

  • Choi, Sung-Seen;So, Hu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10호
    • /
    • pp.1538-1544
    • /
    • 2004
  • Fragmentations and proton transfer reactions of mono-, di-, and triethanolamines were studied using FTMS. It was found that the most abundant fragment ion was $[M-CH_2OH]^+$. The $[M-CH_2OH-H_2O]^+$ was observed in the mass spectra of diethanolamine and triethanolamine. By increasing the ion trapping time in the ICR cell, the $[M+H]^+$ and $[M+H-H_2O]^+$ ions were notably increased for all the samples while the $[M+H-2H_2O]^+$ was observed in the mass spectra of diethanolamine and triethanolamine. The proton transfer reactions between the fragment ions and neutral molecules occurred predominantly by increasing the ion trapping time. The rate constants for the proton transfer reactions were calculated from experimental results.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of $CHO^+$ was the fastest on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heats of reaction. The rate constants for proton transfer reactions of triethanolamine were much slower than those of ethanolamine and diethanolamine because of the steric hindered structure of triethanolamine. The plausible structures of observed ions and heats of reaction for proton transfer were calculated with AM1 semiempirical method.

국내 산림해충 페로몬 연구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of Pheromone Research of Forest Insect Pests in Korea and Development Direction)

  • 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63-75
    • /
    • 2022
  • 페로몬을 비롯한 화학통신물질들은 곤충의 화학 통신에 이용되는 물질들로 개체군 모니터링, 대량 포획 및 교미교란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북방수염하늘소, 솔수염하늘소, 솔껍질깍지벌레, 광릉긴나무좀, 회양목명나방, 솔알락명나방, 매미나방, 복숭아유리나방, 별박이자나방 등 국내 주요 산림해충의 페로몬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국외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국내 연구현황 분석을 통해 추후 산림해충 페로몬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발전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Optimization of Headspace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from Oxidized Fish Oil

  • Shin, Eui-Cheol;Jang, Hae-Jin;Lee, Hyung-Il;An, Hae-Jung;Lee, Yang-B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15-320
    • /
    • 2003
  •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oxidized fish oil were analyzed by the combination of hexane solvent or 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elective detector. The optimum condition of headspace analysis by hexane trapping was 23 min absorption time, 96$^{\circ}C$ sample temperature and 20 mL/min air flow rate. The numbers of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by solvent trapping and SPME were 35 and 14, respectively. Groups having the largest amount and many kinds were hydrocarbons and aldehydes, respectively. The numbers of aldehydes were 15 and 6 for solvent trap and SPME, respectively. These basic data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the quality changes of fish oil.

유출홀이 설치된 회전하는 정사각 유로에서의 열/물질전달 특성 (Heat/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n Rotating Square Channel with Bleed Holes)

  • 김상인;김경민;이동현;이동호;조형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04-1109
    • /
    • 2004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convective heat/mass transfer inside the cooling passage with bleed holes. The rotating square channel has 40.0 mm hydraulic diameter and the bleed holes on the leading surface of the channel. The hole diameter of bleed hole is 4.5 mm and its spacing (P/d=4.9) is about five times of hole diameter. Mass flow rate through bleed holes is 10% of the main flow rate and rotation number is changed form 0.0 to 0.4. A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is employed to determine the detailed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s using the heat and mass transfer analogy. The cooling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mass flow rate through bleed holes and Coriolis force of rotating channel for fixed reynolds number. The heat transfer is enhanced around holes on the leading surface because of trapping flow by bleeding. However heat transfer on the leading surface is decreased due to Coriolis force.

  • PDF

Purification and Cloning of an Extracellular Serine Protease from the Nematode-Trapping Fungus Monacrosporium cystosporium

  • Yang, Jin-Kui;Ye, Feng-Ping;Mi, Qi-Li;Tang, Song-Qing;Li, Juan;Zhang, Ke-Q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852-858
    • /
    • 2008
  • An extracellular protease (Mc1) was isolated from the nematode-trapping fungus Monacrosporium cystosporium by gel filtration, anion-exchange, and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ies. This protease had a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38 kDa and displayed an optimal activity at pH 7-9 and $56^{\circ}C$ (over 30 min). Its proteolytic activity was highly sensitive to the serine protease inhibitor PMSF (phenylmethylsulfonylfluoride, 0.1 mM), indicating that it belonged to the serine-type peptidase group. The Michaelis constant ($K_m$) and $V_max$ for substrate N-Suc-Ala-Ala-Pro-Phe-pNA were $1.67{\times}10^{-4}\;M$ and 0.6071 $OD_{410}$ per 30 s, respectively. This protease could degrade a broad range of substrates including casein, gelatin, BSA (bovine serum albumin), and nematode cuticle. Moreover, the enzyme could immobilize the free-living nematode Panagrellus redivivus and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uggesting that it might playa role in infection against nematodes. The encoding gene of Mc1 was composed of one intron and two exons, coding for a polypeptide of 405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Mcl showed 61.4-91.9% identity to serine proteases from other nematode-trapping fungi. Our results identified that Mcl possessed bi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optimal reaction condition and substrate preference that are different from previously identified serine prot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