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ter Slave Topolog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Using Central Manifold Theorem in the Analysis of Master-Slave Synchronization Networks

  • Castilho, Jose-Roberto;Carlos Nehemy;Alves, Luiz-Henrique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6권3호
    • /
    • pp.197-202
    • /
    • 2004
  • This work presents a stability analysis of the synchronous state for one-way master-slave time distribution networks with single star topology. Using bifurcation theory, the dynamical behavior of second-order phase-locked loops employed to extract the synchronous state in each node is analyzed in function of the constitutive parameters. Two usual inputs, the step and the ramp phase perturbations, are supposed to appear in the master node and, in each case, the existence and the stability of the synchronous state are studied. For parameter combinations resulting in non-hyperbolic synchronous states the linear approximation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even about the local behavior of the system. In this case, the center manifold theorem permits the construction of an equivalent vector field representing the asymptotic behavior of the original system in a local neighborhood of these points. Thus, the local stability can be determined.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따른 싱글버스와 다중버스 토폴로지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ingle and Multiple Bus Topology Due to Master and Slave)

  • 이국표;윤영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9호
    • /
    • pp.96-102
    • /
    • 2008
  • SoC의 버스 구조에는 싱글버스와 다중버스로 구분된다. 싱글버스는 전송을 원하는 여러 개의 마스터 중 선택된 하나의 마스터만이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다중버스는 개별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버스를 브리지를 통해 연결하여 각각의 버스에서 여러 데이터를 병렬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버스에서 다른 버스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레이턴시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게다가, 다중버스의 성능은 마스터의 개수, 슬레이브의 종류 등에 따라 쉽게 바뀔 수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LM(Transaction Level Model)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마스터의 개수, SDRAM, SRAM, 레지스터 등의 슬레이브 종류에 따른 싱글버스와 다중버스 아키텍처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to Cover Efficient Power Management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신문선;정경자;이명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96-905
    • /
    • 2010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은 다양한 이기종의 센서와 센서들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공하여 물리공간의 지능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감지를 위한 센서노드들은 싱크노드와 센서노드로 구성되는데 이기종 센서 노드들간의 시간동기화를 고려하지 않고 전체 센서네트워크의 시간 동기화가 불가능 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기종 센서노드들간의 시간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싱크노드 아래의 센서노드들 중 싱크노드와 클럭소스가 같은 센서노드를 시간동기 마스터로 설정하고, 싱크노드와 다른 클럭소스를 가지는 센서노드를 마스터 아래에 속하는 시간동기 슬레이브로 설정하여 시간동기 마스터가 동작을 개시 할 때에만 시간동기 슬레이브 노드들이 동작하도록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시간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마스터-슬레이브 토폴로지 기반 시간 동기화 기법은 센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USN환경에서 최대 슬립타임을 유지함으로써 센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아파트 단지의 전력감시반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lectric Supervisory in Apartment Complex)

  • 홍규장;김채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1-54
    • /
    • 1993
  •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e the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in Apartment complex. The proposed SCADA system make use of the computer CRT(Cathod RAy Tube), which automatically observe the Electrical Facility, Elvator Facility, Fire Alarm Facility and process in the real-time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hardware performan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 the SCADA system composed of master-slave topology and decentralized the supervisory Facility. This system is expected the retrenchment of construction expenditure and the level-up of supervisory execution.

  • PDF

WPAN에서 통신 노드간 홉 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스캐터넷 형성 및 관리 알고리즘 (Bluetooth Scatternet Formation And Management Algorithm For Reducing Hop Count In WPAN)

  • 이정우;한재성;박성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9호
    • /
    • pp.57-64
    • /
    • 2005
  • 블루투스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에 피코넷을 구성하며, 피코넷 네부에서는 시분할 방법으로 통신을 하며 이러한 피코넷이 모여 스캐터넷을 구성한다. 블루투스의 통신은 주파수 홉핑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피코넷이 존재하거나 많은 수의 장치가 연결될 경우에는 스캐터넷이 필요하다. 블루투스 기술규격에는 스캐터넷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고있다. 기존에 제안되고 있는 스캐터넷 형성알고리즘은 스캐터넷의 토폴로지가 트리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그렇지만 기존의 방법은 트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캐터넷 통신의 기본단위가 피코넷이라는 블루투스 통신의 특성을 간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캐터넷을 이루고 있는 피코넷에서 효율적인 전송률을 보장할 수 있는 형태로 트리를 구성함으로써, 스캐터넷 전체의 평균 전송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An Effective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in Ad-Hoc Networks Based on Bluetooth)

  • 김병국;홍성화;허경;엄두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3B호
    • /
    • pp.112-122
    • /
    • 2008
  • 블루투스 시스템은 피코넷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나의 피코넷에는 하나의 마스터 장치와 최대 일곱 개의 슬레이브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폴링기법을 사용한 피코넷의 마스터 장치는 잡 스케줄러를 수행하여 피코넷의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데이터 전송 기회를 제공한다.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두개의 블루투스 장치로 이뤄진 피코넷에서 ACL 링크의 DH5형태의 패킷을 사용할 경우이다(최대 데이터 전송률: 723.2 kb/s). 그러나, 한 개의 마스터 장치와 두 개의 슬레이브 장치로 구성된 피코넷의 경우, 마스터 장치는 접속된 모든 슬레이브 장치에게 동등한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해줘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률은 절반(361.6 kb/s)으로 줄어든다. 그리고, 스캐터넷에서의 데이터 전송률은 더욱 낮아(최대 전송률: 302.2 kb/s) 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개의 피코넷으로 이루어진 스캐터넷에서의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블피코(DoublePico)"라 불리는 새로운 애드혹 네트워크 형태를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더블피코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최대 전송률: 457.57 kb/s)을 제공한다.

이동에이전트 기반의 P-그리드 환경에서 서비스 에이전트의 효율적인 이주기법 (Efficient Migration of Service Agent in P-Grid Environments based-on Mobile Agent)

  • 국윤규;엄영현;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31-13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이동에이전트 기반으로 구축된 P-그리드 환경에서, 그리드 서비스 에이전트가 각 피어에게 효율적으로 이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에이전트를 전달하기 위한 이주방법은 피어의 논리적인 네트워크 위상에 기반한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위상은 스타형 위상, 링형 위상, 트리형 위상으로 구성되어, 마스터/슬레이브 방식과 직렬 및 병렬 전송방식으로 에이전트를 이주시킨다. 요청된 서비스의 수행범위 및 특성에 따라 서비스 에이전트의 이주방식을 선택한다. 또한 네트워크 위상을 구성하는 피어의 성능과 에이전트 이주 순서에 의해 서비스 전체 수행시간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피어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히스토리를 분석 및 학습하여 에이전트의 이주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서비스 에이전트의 이주방식의 결정과 이주하려는 피어의 우선순위 결정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서비스 수행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 PDF

Wearable Personal Network Based on Fabric Serial Bus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 Lee, Hyung-Sun;Park, Choong-Bum;Noh, Kyoung-Ju;SunWoo, John;Choi, Hoon;Cho, Il-Yeon
    • ETRI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713-721
    • /
    • 2010
  • E-textile technology has earne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many fields; however, existing wearable network protocols are not optimized for use with conductive yarn. In this paper, some of the basic properties of conductive textiles and requirements on wearable personal area networks (PANs) are reviewed. Then, we present a wearable personal network (WPN), which is a four-layered wearable PAN using bus topology. We have designed the WPN to be a lightweight protocol to work with a variety of microcontrollers. The profile layer is provided to make the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easy. The data link layer exchanges frames in a master-slave manner in either the reliable or best-effort mode. The lower part of the data link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of WPN are made of a fabric serial-bus interface which is capable of measuring bus signal properties and adapting to medium variation. After a formal verification of operation and performances of WPN, we implemented WPN communication modules (WCMs) on small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behavior of our WPN on a textile, we designed a WPN tutorial shirt prototype using implemented WCMs and conductive yarn.

A Novel Topology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of High-Voltage Converter for High-Input-Voltage Applications

  • Song, Chun-Wei;Zhao, Rong-Xiang;Zhang, Hao
    • Journal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79-84
    • /
    • 2012
  • In this paper, a three-phase high-voltage converter (HVC), in which the main structure of each phase is composed of a cascaded PWM rectifier (CPR) and cascaded inverter (CI), is studied. A high-voltage grid is the input of the HVC. In order to ensure proper operation of the HVC, the control method should achieve output voltage sharing (OVS) among the rectifiers in the CPR, OVS among the inverters in the CI, and high power factor. Master-slave direct-current control (MDCC) is used to control the CPR. The ability of the control system to prevent interference is strong when using MDCC. The CI is controlled by three-loop control, which is composed of an outer common-output-voltage loop, inner current loops and voltage sharing loops. Simulation results show low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in the HVC input currents and good OVS in both the CPR and CI.

Direct Torque Control of Five-leg Dual-PMSM Drive Systems for Fault-tolerant Purposes

  • Wang, Wei;Zhang, Jinghao;Cheng, Ming;Cao, Ruiwu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7권1호
    • /
    • pp.161-171
    • /
    • 2017
  •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wo-motor drive systems,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direct torque control (DTC) scheme (P-DTC) for five-leg dual-PMSM drive systems. First, the topology of a five-leg dual-PMSM drive system is illustrated. To clarify the analysis of the P-DTC, the standard DTC scheme for three-phase drive systems is presented. The operation of a five-leg dual-PMSM drive system is classified into three situations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of the switching-vector unions. Compared with the existing DTC scheme (R-DTC), the P-DTC can minimize the replacement of active switching-vectors to zero switching-vectors. When this replacement cannot be avoided, the P-DTC uses a proposed master-slave selection principle to minimize the system error. Comparing with the R-DTC, the P-DTC has lower torque ripples, a wider speed range and a faster torque increasing response.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coupling and independent mod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DTC is verified by the obtained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