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2초

En-masse 견인에 의한 발치공간 폐쇄 후 상악치열의 이동양상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 비교 (Spatial changes of the upper dentition following en-masse space closure: A comparison between first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

  • 김희정;전윤식;정상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71-380
    • /
    • 2005
  •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발치 후 발치공간 폐쇄 시 치아이동의 양상 즉, 치아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상악 우측 인공 치조골부에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를 제외한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까지 실험용 치아들을 식립하고 bull loop이 형성된 반쪽 호선에 15도의 gable bend를 부여한 후 전치부를 후방견인하여 발츠공간을 폐쇄시켰다. 실험 전후에 교합면 방사선사진과 시상면 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인공치조골부 하단에 식립된 기준표지점에 중첩하여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제2소구치 발치군의 전치부후방이동량이 제1소구치 발치군에 비해 더 적었으며 구치부의 고정원 소실 및 고정원의 근심설측회전량은 제2소구치 발치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이신재;홍성준;김영호;백승학;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III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발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 명)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 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 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in a Middle-Aged Patient with Missing Maxillary Left First Premolar: A Case Report

  • Kwon, Sun-Mi;Baik, Hyoung-Seon;Choi, Sung-Hwa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32-41
    • /
    • 2018
  • As the adult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orthodontic treatment for adult patients is becoming more common. This case report describes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of a middle-aged patient with closure of the extraction space without prosthetic restoration. A 55-year-old woman with her maxillary left first premolar extracted because of a periodontal problem, wanted to close the space with orthodontic treatment. Since she had generalized crowding and mild skeletal discrepancy, we planned comprehensive orthodontic treatment, including closure of the extraction space by protraction of the left maxillary molars using miniscrews and aesthetic alignment of anterior teeth. The total treatment period was 28 months. As a result of these treatments, the extraction space was successfully closed, good tooth alignment and satisfactory occlusion were achiev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incisor displacement during en-masse retraction according to orthodontic mini-implant position

  • Song, Jae-Won;Lim, Joong-Ki;Lee, Kee-Joon;Sung, Sang-Jin;Chun, Youn-Sic;Mo, Sung-Se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42-252
    • /
    • 2016
  • Objective: Orthodontic mini-implants (OMI) generate various horizontal and vertical force vectors and moments according to their insertion positions. This study aimed to help select ideal biomechanics during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by varying the length in the anterior retraction hook (ARH) and OMI position. Methods: Two extraction models were constructed to analyze the three-dimentional finite element: a first premolar extraction model (Model 1, M1) and a residual 1-mm space post-extraction model (Model 2, M2). The OMI position was set at a height of 8 mm from the arch wire between the second maxillary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low OMI traction) or at a 12-mm height in the mesial second maxillary premolar (high OMI traction). Retraction force vectors of 200 g from the ARH (-1, +1, +3, and +6 mm) at low or high OMI traction were resolved into X-, Y-, and Z-axis components. Results: In M1 (low and high OMI traction) and M2 (low OMI traction), the maxillary incisor tip was extruded, but the apex was intruded, and the occlusal plane was rotated clockwise. Significant intrus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in the occlusal plane were observed under high OMI traction and -1 mm ARH in M2. Conclusions: This study observed orthodontic tooth movement according to the OMI position and ARH height, and M2 under high OMI traction with short ARH showed retraction with maxillary incisor intrusion.

상악 제 2대구치 발치를 동반한 II급 부정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S WITH UPPER SECOND MOLAR EXTRACTION)

  • 문성철;장영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3-13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esent the successful improvement of occlusal relationship and facial esthetics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severe labioversion of upper anterior teeth and severe overjet, and in class II malocclusion with infraversion of bilateral maxillary canines by MEAW mechanics, which enables us to get effective distal on mass movement of maxillary dentition, with upper second molar extraction. After treatment, there were natural contact points at canine and premolar regions, normal occlusal relation-ship and treatment results, satisfied the gnathologic concept, in this 2 cases. Compared with the routine treatment with premolar extraction, the treatment time and patients' discomfort were reduced. And the MEAW mechanics, which enables us to get effective distal on mass movement of maxillary dentition, resulted in reduction of the treatment time and getting the good treatment results. Consequently, the majot concerns in orthodontic treatment are appropri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so, the application of second molar extraction with appropriate case analysis and diagnosis is very helpful to orthodontic treatment.

  • PDF

다양한 치료법을 사용한 상악 견치 전위의 치료 (Treatment of Transposition of the Maxillary Canine Using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 김효선;김유준;장기택;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4-63
    • /
    • 2014
  • 치아 전위는 치아 이소 맹출의 극단적인 형태로, 인접한 두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상태로 발육하고 맹출하는 치아 위치 이상이다. 상악 견치와 제1소구치의 전위가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데, 이는 다음의 세 가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치아를 전위된 상태로 배열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전위된 두 치아 중 한 치아를 발치하고 교정 치료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전위된 치아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배열하는 방법이다. 치료 방법을 결정할 때에는 기능, 심미, 지지 치주 조직의 손상 가능성, 치료 기간, 환자의 협조도,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견치와 제1소구치 간의 전위가 일어난 환자 세 명의 교정 치료에 관한 것으로, 각기 다른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제1 및 제2소구치의 발치공간 폐쇄기전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closing patterns between first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 spaces)

  • 고신애;임원희;박선형;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7-420
    • /
    • 2007
  • 교정 치료에서 발치공간 폐쇄는 치열을 이루는 모든 치아의 연속적인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전은 복잡하다. 특히 전치부 치축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구치부 고정원을 조절하는 과정은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입체적 분석을 통한 치아이동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유한요소 분석은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하여 치아 이동양상을 예측해 보는데 그쳤지만 이러한 양상만으로 정확한 치아이동 결과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시 전치부와 구치부의 입체적인 이동 양상을 단계별로 비교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연치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상악 치아들과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치조골부를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스캐닝한 후 사면체 요소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0.017"{\times}0.025"$ 스테인레스 강 호선에 제작된 bull 루프 후방에 $10^{\circ}$ gable bend를 부여하고 한 번에 2 mm씩 12회 활성화시켜 발치공간을 폐쇄시켰다. 그 결과 제1소구치를 발치한 경우 제2소구치 발치에 비해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이 많았으며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전치부에서는 제f, 2소구치 발치 모두 비슷한 미약한 정출을 동반하였고 치축의 변화량은 제1소구치 발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제2소구치 발치 시 고정원의 협측 이동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상악동 점막 천공부위로의 치아이식 (Autotransplantation of tooth into the oroantral fistula site after extraction)

  • 김영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1권7호통권410호
    • /
    • pp.504-508
    • /
    • 2003
  • This report demonstrates a case of tooth autotransplantation into the oroantral fistula site after extraction. Oroantral fistula can be developed when maxillary molar or premolar is extracted in case the root of tooth closed to or inside maxillary sinus. In most of cases, this would heal spontaneously without any interventions. Sometimes, many procedures including flap closure would be used judging from perforating size and previous inflammation. Although fistula size of this case is not that large, closure with tooth autotransplanted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So this report will discuss about several clinical aspects.

  • PDF

Compomer와 Ketac Silver로 성견 상악 이개부 병소 충전시 조직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tissue reaction using compomer & Ketac Silver in the maxillary furcation in the beagle dogs)

  • 유제윤;임성빈;정진형;이종헌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705-715
    • /
    • 2003
  • Procedures for treatment of molar furcation invasion defects range from open flap debridement, apically repositioned flap surgery, hemisection, tunneling or extraction, to regenerative therapies using bone grafting or guided tissue regenerative therapy, or a combination of both. Several clinical evaluations using regenerative techniques have reported the potential for osseous repair of treated furcation invasions. Regenerative treatment of maxillary molars are more difficult due to the multiple root anatomy and multiple furcation entrance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histologically compomer and Ketac Silver as a barrier in the treatment of a bi-furcated maxillary premolar. Five adult beagle dog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With intrasulcular and crestal incision, mucoperiostcal flap was elevated. Following decortication with 1/2 high speed round bur, furcation defect was made on maxillary premolar. 2 month later one premolar was filled with compomer and the other premolar was filled with Ketac Silver. After 4, 8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vascular perfusion. Tissue block was excised including the tooth and prepared for light microscope with H-E stain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omer & Ketac Silver restoration were encapsulated fine connective tissue. 2. In 4 weeks, compomer & Ketac Silver restoration slightly infiltrated inflammatory cells but not disturb the new bone or new cementum formation. 3. In 8 weeks, compomer & Ketac Silver restoration were less infiltrated iflammatory cell and encapsulated fine connective tissue. 4. Therefore, compomer & Ketac Silver filling to the grade III maxillary furcations with multiple root anatomy and multiple furcation entrances is possible clinical method and this technique is useful method for maxillary furcation involvement but it is thought that periodic maintenance should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