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Inscribed Circl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Vision 기반 손동작 인식을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제어 시스템 (Presentation Control System using Vision Based Hand-Gesture Recognition)

  • 임경진;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1-284
    • /
    • 2010
  • 본 논문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컬러 영상에서 손동작을 인식하여 실제 컴퓨팅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입력받은 영상을 YCbCr 색상모델을 기반으로 영상을 이진화하여 레이블링 한 후 각각의 레이블 영역 내에서 Voronoi Diagram을 활용한 최대 내접원(Maximum Inscribed Circle)을 탐색하여 손의 중심점을 찾는다. 이때 탐색된 최대 내접원과 인접한 타원 성분을 분석하여 손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찾아진 최대 내접원과 타원 성분을 손동작 인식의 특징점으로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프리젠테이션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다양한 환경에서 손을 인식할 때 문제가 되는 배경에서의 유사한 색상을 가진 물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환경 변화에 강인한 구조 기반 손 영역 탐지 (Robust Hand-Region Detecting Based On The Structure)

  • 임경진;전미연;홍록기;서성원;신미혜;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9-39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웹캠으로 입력받은 컬러 영상에서 손의 구조정보를 활용하여 위치를 탐지하고 손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피부색을 기반으로 영상을 이진화하고, 라벨링한다. 각각의 라벨링된 영역 내에서 Voronoi Diagram을 활용한 최대 내접원(Maximum Inscribed Circle)을 탐색하여 손의 중심점을 찾고 최대 내접원과 연결된 타원 성분을 분석하여 손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찾아진 최대 내접원과 타원 성분을 손동작 인식의 특징점으로 사용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한 환경에서 손을 인식할 때 문제가 되는 배경에서의 유사한 색상을 가진 물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GIS기반의 수질모델링 지원을 위한 정확도 높은 하천중심선의 자동 추출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GIS based Automatic Delineation Method of Accurate Stream Centerline for Water Quality Modeling)

  • 박용길;김계현;이철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3-22
    • /
    • 2010
  • 수질오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오염총량관리제(TMDL)의 적용에는 하천 수질모델링이 우선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델링은 하천중심선의 추출이 필수이다. 반면, 현재는 수질모델링을 수행하는 기관들이 제각기 다른 기준으로 하천중심선을 제작하여 정확도가 높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수질모델링의 수행기관에 따라 통일 유역임에도 수질모델링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하천중심선 추출방법의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대내접원을 활용한 중심선 추출방법을 GIS 기술과 결합하여 자동화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방법의 하천중심선 추출보다 개발된 모듈을 이용한 하천중심선의 추출이 하천형상의 변화를 보다 세부적으로 표출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정확도 역시 향상되었다. 또한, 기존 방법의 한계점이었던 섬을 포함한 하천의 중심선 추출도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수질모델링의 지원이 가능하였다.

Size Estimation for Shrimp Using Deep Learning Method

  • Heng Zhou;Sung-Hoon Kim;Sang-Cheol Kim;Cheol-Won Kim;Seung-Won Kang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3호
    • /
    • pp.112-119
    • /
    • 2023
  • Shrimp farming has been becoming a new source of income for fishermen in South Korea. It is often necessary for fishers to measure the size of the shrimp for the purpose to understand the growth rate of the shrimp and to determine the amount of food put into the breeding pond. Traditional methods rely on humans, which has huge time and labor costs.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calculating the size of shrimps automatically. Firstly, we use fine-tuning techniques to update the Mask RCNN model with our farm data, enabling it to segment shrimps and generate shrimp masks. We then use skeletonizing method and maximum inscribed circle to calculate the length and width of shrimp, respectively. Our method is simple yet effective, and most importantly, it requires a small hardware resource and is easy to deploy to shrimp farms.

Evaluation of Dimensions of Kambin's Triangle to Calculate Maximum Permissible Cannula Diameter for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 A 3-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Based Study

  • Pairaiturkar, Pradyumna Purushottam;Sudame, Onkar Shekhar;Pophale, Chetan Shashikant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4호
    • /
    • pp.414-421
    • /
    • 2019
  • Objective : To evaluate 3-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Kambin's safe zone to calculate maximum cannula diameter permissible for safe 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Methods : Fifty 3D MRIs of 19 males and 31 females (mean, 47 years) were analysed. Oblique, axial and sagittal views were used for image analysis. Three authors calculated the inscribed circle (cannula diameter) individually, within the neural (original) and bony Kambin's triangle in oblique views, disc heights on sagittal views and root to facet distances at upper and lower end plate levels on axial views and their averages were taken. Results : The mean root to facet distances at upper end plate level measured on axial sections increased from $3.42{\pm}3.01mm$ at L12 level to $4.57{\pm}2.49mm$ at L5S1 level. The mean root to facet distances at lower end plate level measured on axial sections also increased from $6.07{\pm}1.13mm$ at L12 level to $12.9{\pm}2.83mm$ at L5S1 level. Mean maximum cannula diameter permissible through the neural Kambin's triangle increased from $5.67{\pm}1.38mm$ at L12 level to $9.7{\pm}3.82mm$ at L5S1 level. The mean maximum cannula diameter permissible through the bony Kambin's triangle also increased from $4.03{\pm}1.08mm$ at L12 level to $6.11{\pm}1mm$ at L5S1 level. Only 2% of the 427 bony Kambin's triangles could accommodate a cannula diameter of 8mm. The base of the bony Kambin's triangle taken in oblique view (3D MR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oot to facet distance at lower end plate level taken in axial view. Conclusion : The largest mean diameter of endoscopic cannula passable through "bony" Kambin's triangle was distinctively smaller than the largest mean diameter of endoscopic cannula passable through "neural" Kambin's triangle at all levels. Although proximity of exiting root to the facet joint is always taken into consideration before PELD procedure, our 3D MRI based anatomical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actual maximum cannula dimensions permissible in this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