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Ki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and Keyword Analysis of Meal-kit Using Big Data

  • Jung, Sunmi;Ryu, Gihwan;Lim, Jeongsook;Kim, Hee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2호
    • /
    • pp.206-211
    • /
    • 2022
  • As the level of consumption is improved and cultural life is pursued, the consumer's consciousness structure is rapidly changing, and the demand for product selection level, variety, and quality is becoming more diverse. The restaurant economy is falling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the economic recession, income decline,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lifestyle, but the Meal- kit market is growing rapid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sumer perception of Meal-kit, which is rapidly growing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meals in the fields of dining out, food, and distrib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ocial environment using big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in the order of Meal-kit, Cooking, Product, Launching, and Market and were divided into 8 groups through the CONCOR analysis. We want to identify consumer trends related to the key keywords of Meal-kit, present effective data related to Meal-kit demand for Meal-kit specialized compani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밀키트(Meal Kit) 제품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A Study on Meal Kit User Experience Design)

  • 박서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73-378
    • /
    • 2021
  • 본 연구는 밀키트(Meal Kit) 제품 정보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로서 구매자에게 필요한 제품 정보와 사용 편의성을 위한 필요사항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밀키트 제품을 구매할 때 영양 섭취에 관한 정보 표기와 패키지 디자인, 환경에 관한 문제를 국내 밀키트 브랜드 피코크와 프레시지 2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밀키트 제품 구매 요인 7가지 요소를 도출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2차로 30대 1인 가구 남녀 4명씩, 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구매자에게 만족을 주는 요인으로는 조리 과정, 음식, 맛/영양, 패키지, 편리성, 가격, 정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과대포장 또한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밀키트 제품의 개선사항 도출과 발전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향후 1인 가구의 식생활개선과 밀키트 제품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식생활스타일이 밀키트 구매의사 및 지불의사금액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Food-related Style for Purchase and Willingness-to-Pay of the Meal-kit)

  • 이유진;양성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34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willingness to pay for meal kit products of Millefeuille Nabe and Gambas al-Ahiyo, and willingness to pay and purchase intentions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to suggest a meal kit marketing strategy that reflected consumer preference. It was found that the price of meal kits is higher than the price of individual ingredients and lower than the price of meal kits in the current market. The willingness to pay for Millefeuille Nabe is higher in the group that pursues quality and taste, and the more satisfied with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pay for both Millefeuille Nabe and Gambas al-Ahiyo.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pleasure, taste, and price of the meal kit,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future. Therefore,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pay and purchases intentions in the future, the quality of meal kit ingredients must be carefully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various products are developed and reflected in the marketing strategy.

충남 일부지역 젊은 성인의 밀키트 구매행태 및 영양지수와의 관련성 (Meal kit purchasing behavior and relationship with the nutrition quotient of young adults in Chungnam)

  • 이은영;김유미;최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5호
    • /
    • pp.534-546
    • /
    • 2021
  • 밀키트 수요와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소비자의 밀키트 구매의도를 파악하고 식품 산업 및 소비자의 올바른 제품 선택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충남 일부지역의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2021년 2월부터 3월까지 밀키트 구매 경험과 만족도, 인식도, 구매 의도를 분석하고 밀키트 구매 경험과 영양지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 404명 중 남자는 153명 (37.9%)이었으며, 20-24세 181명 (44.8%), 25-29세 109명 (27.0%), 30-39세 114명 (28.2%)이었고,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94명 (48.0%)이었다. 밀키트 구매 경험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밀키트 구매 금액은 1회 10,000-20,000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1달에 1회 미만과 식사용으로 구매하는 비율이 높았다. 밀키트 구매 장소는 대형할인마트가 가장 높았고, 조리의 편리성이 밀키트 섭취의 주된 이유로 나타났으며, 저녁에, 가족과 함께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밀키트의 구매 경험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남녀 각각 3.6점, 3.7점이었으며, 재료의 신선함, 포장디자인, 적당한 양에서 여자의 만족도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밀키트 구매 경험자의 밀키트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남녀 각각 3.5점, 3.7점이었다. 밀키트 구매 의도는 5점 만점에 구매 경험자와 비경험자가 각각 3.8점과 3.2점이었으며 (p < 0.001), 남녀 각각 3.3점, 3.6점이었다 (p < 0.001). 성인 영양지수는 여자의 경우 식행동 항목에서 밀키트 구매 경험자 (45.7점)가 비경험자 (40.7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성별과 연령 분포가 고르지 못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HMR 유형의 밀키트의 구매행태를 살펴보고 밀키트 구매 경험이 여성의 식행동 영양지수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소비자의 밀키트 구매 행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궁극적으로 건강지향적인 밀키트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채식 밀키트 개발을 위한 소비자 인식 및 중요도-수행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Vegetarian Meal-Kit Development)

  • 이유나;장혜정;최영우;최윤솔;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24-335
    • /
    • 2021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언택트'가 주된 트렌드 키워드로 대두되면서 집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가정 내 취식이 편한 간편식, 특히 밀키트의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국내에서도 채식 인구는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 채식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았고 채식인들의 경우 채식 식당과 메뉴 다양성의 한계로 식당 이용보다 대부분 직접 조리하거나 간편식을 혼합하여 사용 중이다. 확대되는 밀키트 시장과 채식 인구로 인해 간편식으로 채식 밀키트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밀키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중요도-수행도를 파악하고자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들은 밀키트에 대한 경험이 확대되면서 밀키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긍정적 인식과 채식 밀키트에 대한 판매 필요성은 채식 밀키트의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채식 밀키트 개발의 방향과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아직 성장 단계에 있는 채식 및 밀키트 시장의 상품 개발 및 시장 확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MZ세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밀키트 구매 행태 연구 (A study on the buying behavior of meal kits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the MZ generation)

  • 안도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67-373
    • /
    • 2022
  • 본 연구는 밀키트를 구매하는 20대에서 30대의 밀키트 구매 요인을 도출하고,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에서 어떤 요인에서 밀키트를 구매하길 원하는지 구매 행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1차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밀키트 구매 요인을 7가지로 설정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2차로 구매 기준이 명확한 설문 참여자 남녀 각각 3명, 총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법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20-30대 밀키트 구매자는 설문 조사에서 밀키트 구매 시 평균적으로 품질, 편리, 맛 순서로 구매 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였고, 심층 인터뷰에서는 절반 이상의 피험자가 최소한 신선도가 충족되면 밀키트 사용 경험에 만족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MZ세대 밀키트 소비자는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밀키트 구매 속성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생활양식 유형의 구매 행태를 알아보는 데에 가치가 있다.

외식업체 밀키트(Meal Kit)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연구 (Subjectivity Type Analysis Study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Meal Kit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 김찬우;이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06-4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으로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따라 외식기업이 개발 및 출시하는 밀 키트(Meal Kit) 상품이 주요 수요층인 1인 가구에 대해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 구조를 분석하여 유형별로 추출이 가능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함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은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6) : 외형평가 구매 유형(Appearance Assessment Purchase Type), 제 2유형(N=6) : 가격비교 구매 유형(Price Comparison Purchase Type), 제 3유형(N=10) : 브랜드 신뢰 구매 유형(Brand Trust Purchase Type), 제 4유형(N=2) : 간편조리 구매 유형(Easy Cooking Purchase Type) 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밀키트 제품이 주요 수요층인 1인 가구에 대해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 구조를 분석하여 유형별 분석을 통해 추후 외식업체의 1인가구를 위한 외식상품개발 및 출시에 대한 방향성과 그 개선책에 대해 제안하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20-30대 성인의 밀키트 소비 실태와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Study on the consumption practice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meal-kit selection attributes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 김세은;배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3호
    • /
    • pp.315-329
    • /
    • 2023
  • 전국의 20-30대 성인남녀 249명을 대상으로 밀키트 소비 실태와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85.5%가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었고, 밀키트 구매 경험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p < 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5), 직장인이 직장이 없는 경우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많았다. 밀키트는 주로 대형할인마트 (44.6%), 온라인 쇼핑몰 (33.3%)에서 식사용 (60.6%), 여행용 (18.3%), 야식용 (13.1%)으로 구매하였다. 밀키트 구매 이유는 재료 손질 및 조리가 간편해서 (89.2%), 여러 식재료를 한 번에 구매할 수 있어서 (60.1%), 요리를 잘 못해서 (27.7%)의 순이었고, 밀키트를 혼자 먹는 경우는 전체의 31.0%였으며 전체적인 만족도 (5점 척도)는 평균 4.11점이었다. 밀키트 중 구매 비율이 높은 제품은 한식 국물요리 (69.5%), 한식 주찬류 (47.4%), 분식류 (46.9%) 순이었고, 여자가 남자에 비해 분식류 (p < 0.01), 샐러드류 (p < 0.05), 동남아 음식 (p < 0.05)의 구매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서양식 육류요리의 구매 비율은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p < 0.05), 혼자 섭취하는 경우가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높았고, 밀키트를 식사용으로 구매하는 경우는 20대가 30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밀키트 선택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식품의 품질', '포장과 다양성', '밀키트의 품질', '편리성과 가격'으로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밀키트의 품질'과 '편리성과 가격'은 중요도 평가 점수 평균이 4점 이상이었고 '식품의 품질'요인의 중요도는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포장과 다양성'요인의 중요도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p < 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5),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p < 0.05), 30-39세가 20-24세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높았다. '밀키트의 품질'요인의 중요도는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01),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p < 0.001), 30-39세와 25-29세가 20-24세에 비해 (p < 0.01) 유의적으로 높았다.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ISA 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된 항목은 '가격'이었다. 밀키트 이용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가성비가 좋은 다양한 용도의 밀키트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밀키트(Meal Kit)상품의 선택속성이 구매행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al Ki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 정현채;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81-391
    • /
    • 2020
  • 본 연구는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구매행동,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표본추출은 최근 외식기업에서 출시 된 밀키트 상품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2월1일부터 1달간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28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인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설 1의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과 구매행동 간의 전체설명력(R2)은 42.9%로 분석되었으며, 다양성(β=.026)과 품질(β=.927)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과 만족도 간의 전체설명력(R2)은 34.9%이며, 편의성(β=.503)과 가격(β=.121)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의 구매행동에서 만족도에 대한 전체설명력(R2)은 31.5%이며, 구매행동(β=.561)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밀키트 상품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며, 외식기업에서의 상품 개발에 대한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HMR 밀키트 상품의 선택속성이 소비자만족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MR Meal Ki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Other Recommendation Intention)

  • 김동수;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58-267
    • /
    • 2021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의 외식 트랜드에 따라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밀키트 상품에 대해 실증분석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HMR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소비자만족, 타인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외식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에서 출시 된 밀키트 상품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7월 01일 부터 약 1달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1의 가격(β=.241), 편리성(β=.317), 다양성(β=.191)은 소비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가격(β=.482)과 편리성(β=.133), 다양성(β=.342)은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3의 소비자만족(β=.443)이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밀키트 상품 관련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하고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의 밀키트 상품개발에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의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