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data Interoperability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1초

Automatic Extraction of Metadata Information for Library Collections

  • Yang, Gi-Chul;Park, Jeong-R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18
  • As evidenced through rapidly growing digital repositories and web resources, automatic metadata generation is becoming ever more critical, especially considering the costly and complex operation of manual metadata creation. Also, automatic metadata generation is apt to consistent metadata application. In this sense, metadata quality and interoperability can be enhanced by utilizing a mechanism for automatic metadata generation. In this article, a mechanism of automatic metadata extraction called ExMETA is introduced in order to alleviate issues dealing with inconsistent metadata application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across ever-growing digital collections. Conceptual graph, one of formal languages that represent the meanings of natural language sentences, is utilized for ExMETA as a mediation mechanism that enhances the metadata quality by disambiguating semantic ambiguities caused by isolation of a metadata element and its corresponding definition from the relevant context. Hence, automatic metadata generation by using ExMETA can be a good way of enhancing metadata quality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디지털 도서관의 의미적 상호운용성(Semantic Interoperability) 향상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와 활용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Metadata Elements and Content Designation for Improv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3-211
    • /
    • 2008
  • 이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에 실제로 사용된 메타데이터의 요소와 활용을 분석하여 의미적 상호운용성 향상 요인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린스톤 기반의 78종의 디지털 도서관에서 실제로 사용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동질 정보 커뮤니티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동질 정보 커뮤니티내 디지털 도서관에서 사용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크로스워킹하고. 각 요소들의 활용 및 활용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 정보 커뮤니티 내에서 중복되는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는 25%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들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는 요소 명칭과 활용에 있어서 불일치하는 문제점이 고찰되었으며, 메타데이터 요소 활용의 수준에 있어서도 무결점과 완결성 면에서 상이한 측면이 밝혀졌다.

의미 호환을 위한 메타데이터 매핑 연구 (A Study on Metadata Mapping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 고영만;서태설;임태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23-23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메타데이터간의 의미적 호환성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론을 분석하고 크로스워크를 이용한 메타데이터간의 의미 호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검토한 후 메타데이터간의 의미 호환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미적 메타데이터 매핑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 프로세스는 대상 메타데이터 스킴확인, 공통 데이터요소개념(DEC) 발견, 데이터요소개념에 따른 속성 그룹화, 매핑 테이블 작성 등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국내에서 개발된 단체표준 수준의 두 인력정보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매핑 테이블 작성 과정을 보였다.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패싯 프레임워크 구축 (Faceted Framework for Metadata Interoperability)

  • 이성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5-94
    • /
    • 2010
  •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은 정보를 관리하고 조직하는 데 있어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현재의 방법들은 메타데이터 요소의 의미를 고려하지 않은 피상적인 매핑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패싯분석을 적용하여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메타데이터 요소들의 의미와 기능적인 유사성에 따라 요소들을 분석하여, 기본패싯, 개념패싯, 관계패싯의 세 가지 유형의 패싯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의미적, 구문적, 구조적 상호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패싯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을 위한 프레임워크 (A study on Framework for Sharable Metadata Interoperability)

  • 최오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49-1452
    • /
    • 2004
  •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syntax, structure and semantic heterogeneity for sharing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are XML and Metadata. XML has been used to represent the syntax and structure, and metadata has been used to represent the semantic meaning of information resources. However, various metadata sets in one or more domain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each independent organizations without any standards or guidelines, make it difficult to share their information resour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operability framework (FSMI, Framework for Sharable Metadata Interoperability) on MDR (Metadata Registry) to increase the interoperability of XML encoded information resources between systems using different metadata sets.

  • PDF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통합 프레임워크 구축 (Construction of Framework for Metadata Integration Using Master Data Approach)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01-225
    • /
    • 2013
  • 메타데이터 요소들 사이의 매핑에 기반한 현재의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접근방식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접근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메타데이터 요소가 아닌 요소의 값을 기준으로 동일한 값을 지니는 요소를 마스터 요소를 중심으로 통합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마스터 요소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계층적인 형태로 의미적으로 통합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레코드 사이의 상호연결을 확보함으로써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Handling Semantic Ambiguity for Metadata Generation

  • Yang, Gi-Chul;Park, Jeong-R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1-6
    • /
    • 2018
  •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xamined in this paper. What hinders quality metadata generation and metadata interoperability? What kind of semantic representation technique can be utilized in order to enhance metadata quality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This paper suggests a way of handling semantic ambiguity for metadata generation. The conceptual graph is utilized to disambiguate semantic ambiguities caused by isolation of a metadata element and its corresponding definition from the relevant context. The mechanism introduced in this paper has the potential to alleviate issues dealing with inconsistent metadata application and interoperability across digital collections.

메타데이터간 상호운용성을 위한 비교 연구 - MARC, Dublin Core, ONIX 메타데이터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adata Interoperability among MARC 21, Dublin Core and ONIX Metadata Elements)

  • 윤세진;오경묵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77-302
    • /
    • 2002
  • 본 연구는 효율적인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운용 방안마련을 위하여 주요 원칙들을 선정하고 이 원칙들을 기준으로 디지털자원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실질적인 비교테이블을 제안하였다. NISO의 백서(White Paper)에서 제안한 상호연동(crosswalking)의 주요 항목들을 바탕으로 원칙들을 선정하고 이 원칙들을 기준으로 INDES 메타데이터 구조(framework)를 바탕으로 개발된 ONIX와 기존의 MARC과 Dublin Core와 비교하였다. 이들 메타데이터 요소들의 실질적인 비교를 통하여 상이한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어의, 구문 및 구조에 대한 공통적인 규칙을 지원하는 구문을 개발하고, 실제로 메타데이터간의 변환 시스템을 구현하는 도서관 관련 시스템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필수적인 기반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 PDF

디지털 방송을 위한 Set-Top Box기반 TV-Anytime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TV-Anytime Meta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for Digital Broadcasting)

  • 박종현;강지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1-78
    • /
    • 2008
  • 디지털 방송은 양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새로운 방송환경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분산되어있는 환경에서 여러 소비자와 공급자간의 상호운용성의 유지에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방송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표준이 제안되었고, TV-Anytime 메타데이터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차세대 방송 표준 메타데이터의 하나이다. 한편, 사용자 측면에서 다양한 방송 서비스 및 부가 서비스를 원활히 활용하기 위해서 방송사용자단말(Set-Top Box: STB) 환경에서 메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TV-Anytime 메타데이터를 저 비용, 저 사양의 STB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STB 기반 관리시스템은 메타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저장엔진과 검색을 위한 XQuery엔진으로 구성되며, 효율적인 저장과 검색을 위해서 인덱싱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XML 검색을 위한 표준 질의어인 XQuery를 방송용 메타데이터 검색을 위한 질의어로 사용하는 우리의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향후 다양한 방송 응용들 사이에서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의 확장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 PDF

MADS를 기반으로 한 전거데이터 상호운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data Authority Description Schema for the Interoperability of Authority Data)

  • 이혜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전거제어 현황을 살펴보고 도서관 전거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 전거기술 스키마(Metadata Authority Description Schema: MADS)를 소개하였다. 또한 에이전트(사람, 조직), 사건, 용어(토픽, 장르, 지리 등)에 관한 전거데이터 XML 스키마인 MADS의 특성과 그 활용방안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MADS를 기반으로 한 전거데이터 상호운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