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fertilizar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5초

Aspergillus Ochraceus Group이 함유된 미생물제제(微生物製劑) 시용(施用)에 따른 토양미생물상 변화와 오이의 생장반응(生長反應) 및 수량(收量)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Included Aspergillus Ochraceus Group on Density of Soil Microorganism and Growth Responses and Yield of Cucumber)

  • 송범헌;이철원;정봉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5-411
    • /
    • 1999
  • 본 시험은 농가관행 재배방법에 퇴비 및 토양미생물제인 "활력토" 입제를 이용하여 오이의 생장반응, 수량성, 토양미생물의 변이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은성백다다기 오이 품종을 공시하며 충북 청원군 소재 농가 비닐하우스에서 시험한 결과이다. 정식후 20일까지의 초장은 NPK구에 퇴비와 활력토를 추가 시용한 시험구에서 다른 시험구들에서보다 높았다. 건전한 꽃수 역시 생육초기에는 화학비료와 퇴비 및 활력토를 추가 시용 한 시험구에서 유의성있게 많았으나 정식후 25일이후에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활력토와 화학비료에 활력토를 추가 시용한 시험구들의 정식후 60일째의 선충방제가는 각각 39%와 61.6%였다. 오이 정식후 재배 토양의 토양미생물의 밀도는 방선균, 세균, 진균 순이었으며, 시험처리구별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오이의 상품성이 인정되는 과실수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처리구들에서 약 40%에서 60%까지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화학비료에 활력토와 퇴비를 시용한 시험구들의 수량이 다른 시험구들의 수량에 비교해 높은 수량을 보여 화학비료, 퇴비 및 활력토를 단일시용하는 것보다 혼용해서 이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