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coccus roseu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방사선 저항세균 Micrococcus roseus의 광펄스 살균 효과 (Effect of Sterilization by Intense Pulsed Light on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Micrococcus roseus)

  • 김보라;김애진;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48-251
    • /
    • 2013
  • 김에 존재하는 M. roseus는 비병원성 세균이나 사람이 면역력이 떨어지게되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균주로서 열처리를 통해서도 쉽게 사멸되지 않고 특히 10 kGy의 감마선 조사에서도 1 log, 40 kGy의 조사선량에서 1 log CFU/mL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방사선 저항 세균이다. 이러한 방사선 저항 세균인 M. roseus를 광펄스 살균을 통해 살균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M. roseus는 빛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사멸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1,000 V의 빛의 세기에서 3분 처리 후에 6.4 log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tailing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빛의 세기와 처리시간을 같이 한 조건에서는 단위 시간동안 펄스 수가 높을수록 살균율이 높아졌으며, 10 pps에서는 2분의 처리로 모든 균이 사멸하였다. 또한 광원과 시료사이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사멸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광펄스 살균이 향후 김의 위생적 처리의 방법의 하나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활성슬러지 공정에 의한 Acetaldehyde 제조 공장 폐수의 처리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cetaldehyde Plant by Activated Sludge Process)

  • 서승교;김정호;김영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9-265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cetaldehyde manufacturing plant by activated sludge process with Micrococcus roseus AW-6, Micrococcus roseus AW-22, Microbacterium lacticum AW-38 and Mlcrobacterium nae- vaniformans AW-41. The $COD_{Mn}$ and $BOD_5$ of the wastewater were 5, 260mg/L and 6, 452mg/L, respectively. pH was 1.85. The main organic component in the wastewater was acetic acrid which was contained 67, 600mg/L. Optimum dilution time for activated sludge process was shown 10 times. The specific substrate removal rate(BL) was 1.95day-1 and the nonbiodegradable matters(Sn) were 23.2mg/L. Saturation constant (Ks) and mainmum specific growth rate(qmax) were 1, 640mg/L and 2.33day-1, respectively. Sludge yield coefficient(Y) and endogenous respiration coefficient(kd) were 0.28mg MLVSS/mgCOD and 0.02day-1, respectively. $COD_{cr}$ removal efficiency was 91% for 1.95day of hydraulic retention time.

  • PDF

아세트 알데히드(특수산업) 공장폐수의 성분과 이용균주의 분리 (Analysis of Waste Water and Isolation of Strains Assimilation Waste Water from Acetaldehyde Plant)

  • 정기택;서승교;송형익;박임동;방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8-332
    • /
    • 1987
  • 아세트알데히드 페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목적으로 폐수의 성상을 조사하였으며, 아세트알데히드 폐수에서 잘 생육하는 53개 균주를 분리 고정하고 그 중 가장 COD 제거율이 우수한 4개 균주 AW-6, AW-22, AW-38, AW-41을 선별하고 이들을 동정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폐수의 성상은 CODmn 5,260ppm, BODs 6,452ppm, pH 1.85였으며 유기성분의 주체는 초산으로 6.76%를 함유하였다. 균의 동정 결과, AW-6은 Micrococcus 갠뎐, AW-22는 Micrococcus luteus, AW-38은 Microbacterium lacticum, AW-41은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또는 그 우연균으로 동정되었다.

  • PDF

아세트 알데히드(특수산업)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Studies o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from Acetaldehyde Plant)

  • 정기택;서승교;송형익;박임동;방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38
    • /
    • 1987
  • 아세트알데히드 공장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중화제 및 응집제의 효과를 검토하고, 4개 균주 Micrococcus roseus AW-6. Micrococcus luteus, AW -22. Microbacterium lacticum AW-38. Microbacterium laevaniformans AW-41을 혼합 배양하여 미생물의 영양요구량 및 성장에 미치는 환경인자 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세트알데히드 폐수를 잘 자화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는 $30^{\circ}C$였고 pH는 7.0이였으며 96시간째에 COD 제거율이 최대에 달하였다. 폐수처리를 위한 중화제로서는 NaOH가 가장 좋았고 응집제의 처리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폐수처리를 위한 최적 희석배수는 10배 정도로 나타났다. 균 생육을 위한 영양원으로서는 $NH_{2}NO_{3}$ 200ppm, $KH_{2}PO_{4}$, 50ppm, $CaCl_{2}$ 15ppm. $MgSO_{4} \cdot 7H_{2}O $ ppm을 보충하였을 때 COD 제거율이 향상되었다. 회분배양 실험결과 속도계수 Kl은 4. 5X 10-6이었으며, BOD 제거융을 85%로 하기 위한 체류시간은 45시간 이었다. 연속배양 결과 COD 제거율은 85%로 나타났으며 처리수의 수질은 COD 60ppm. BOD 40ppm, pH7.0 정도로서 환경기준치 이하였다.

  • PDF

김으로부터 분리한 방사선 저항성 세균 (Identification of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Isolated from Dried Laver (Porphyra tenera))

  • 안현주;육홍선;김동호;김성;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195
    • /
    • 2001
  • A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was isolated from gamma irradiated dried laver (Porphyra tenera) and it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resistance test to gamma irradiation, the isolate was survived $10^{3}$ CFU/mL even at 30 kGy and significant shoulder line zone was shown until 20 kGy. The $D_{10}$ value was 11.27 kGy. The isolate was gram-positive, non-motile coccus and catalase-positive. n culture, the red-pigmented smooth colony was observed. The biochemical test in API (analytical profile index) system showed that the isolate fermented glucose and fructose as the carbon source. Therefore, a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isolated from laver was potentially identified as Micrococcus roseus s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