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Tow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조선시대 장흥(長興)의 읍지(邑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epji(town chronicles) of Jangheung in the Chosun Dynasty)

  • 안현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29-446
    • /
    • 2013
  • 이 연구는 조선시대 전남지방의 읍지편찬활동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장흥(長興)의 읍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전남의 다른 지역의 읍지편찬 연구를 체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존하는 장흥의 읍지를 조사하여 체계화하였으며, 개별 읍지의 내용과 체재를 살펴서 장흥에서 편찬된 읍지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영조조부터 1910년까지 10종의 읍지가 현존하였고, 고종조에서 편찬한 읍지가 4종이었다. 읍지의 체제는 "신증동국여지(新增東國輿地) 승람(勝覽)"의 항목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항목을 더하여 기술하고 있다. 장흥읍지의 특성은 1) 각 방(坊)중심으로 기술한 읍지가 3종 있는데, 인물(人物)항목에서 그들의 공동체 의식과 성리학적 교화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2) 군사(軍事) 항목 중심의 읍지가 2종이 있는데, 당시 수군(水軍)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장흥의 군사적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관찬읍지(官撰邑誌)가 4종 있는데, 읍지의 내용과 체재가 영조조와 고종조의 시대상을 반영하였다. 또한 "함주지", "김해읍지"와 비교한 결과 "장흥읍지"는 지리적 요건 상 국방의 요충지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국방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생하는 군 부동산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Department of Defense and the local government's property management on ways to mutual research)

  • 신광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73-580
    • /
    • 2011
  • 본 연구는 군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군사보호구역 설정으로 수시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중심으로 상생할 수 있는 군 부동산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계획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동산전문가를 양성하여 자문단을 구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군부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의 관리 및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업설계론과 수업구조화 - 일본 고등학교 도시단원을 사례로 - (The theory of lesson plannig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ation : A case study for urban units in Japanese high school)

  • 심광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6-18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지리수업이 안고 있는 대학입시 지도와의 관련성, 기초개 념의 중복성, 수업시간의 제한 등 세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업을 구조화하여 고등 사고 기능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행동이론과 구조분석 을 통합한 지리수업 설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우선, 제 1 단계로서, 학습자는 경험적인 현상의 기술인 자료를 조사하고, 과학자의 시점에 따라서 객관 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가설-검증의 과정을 통하여 說明的 知識에 이른다, 제 2단계에 서는, 추론적인 진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槪念的 知 識을 이론적으로 설명한다. 제 3단계에서는, 지역주민의 행위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을 파악 하기 위해 자료를 비판적으로 다시 검토하여 사회 제도 간의 관계까지 實踐的 解釋에 이른 다. 제4단계로서는,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事例地域 學習에 대해 주체적으로 참여한다. 따라서, 행동이론과 구조분석의 통합을 통한 지리수업의 설계에서 본다면, 수업이 구조화되고 실증론에 대한 인식론적 입장에서 전개될 것이다.

  • PDF

『제스처 라이프』에 나타난 '차별'과 '차이'의 징후적 읽기 (A Symptomatic Reading of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 in A Gesture Life)

  • 이석구
    • 영어영문학
    • /
    • 제56권5호
    • /
    • pp.907-930
    • /
    • 2010
  • Most previous studies on A Gesture Life focused on illuminating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Kkutaeh, the Korean comfort woman, whom Hata runs across at a military camp in the Burmese jungle. For instance, Carroll Hamilton argues that the return of Kkutaeh as a traumatic subject disrupts Hata's nationalist narrative, causing the protagonist's eventual failure at national enfranchisement.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Hata's relationship with Bedley Run, the sleepy suburban white town, in which the protagonist settles down right after immigration to the US. The racial/racist nature of Bedley Run has not received due critical attention, although a few studies on the novel saw Hata's gestures as a survival tactic deployed against the hostile environment of his new host society. This paper, resorting to Pierre Macherey's thesis on symptomatic reading, exposes what Hata, the narrator/protagonist, hides from his readers concerning his status in his muchbeloved town; and it also explores the subversive significance of Hata's ethnic memo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after all, to map both the subversiv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Hata's immigrant narrative as a bildungsroman.

원산거류지(元山居留地)의 도시공간(都市空間)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Urban Form in Wonsan Concession)

  • 양상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권2호
    • /
    • pp.91-110
    • /
    • 1994
  • This paper is one of Korean towns in the period of Korean-Modern,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present cities of Korea. In the concrete, this study deals with the urban form of the Japanese Concession at Womsan where is the second Open Port in Korea. By the way, both of the Open Port and the Concession were the town that not exist before the period of Korean-Modern, and the town that symbolize the historical characters of the period of Korean-Modern. O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establishment, the process of the urban form, and the meanings of Concession, from 1880 to 1910, the period when had been kept up the nature of the Concession mainly. The Japanese Concession at Wonsan was urged it's establishment by Japan Government that is conscious of the purpose of foreign trade and military importance. But, it was slow in progress of developing town because of the distance from the capital 'Han Yang', today we called it Seoul, and lack of the background towns. However, after both the wars of 1895 and 1904, Japanese residents were incresed and urban aspects were advanced. The urban form of Japanese Concession was devided two territories by the natural circumstances, so that was made a difference on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And finally, it had double axis on the form of district. Furthermore, by increasing of residence, it was occured that new Japanese resident arwa was occupied and expanded illegally between the road which is toward the existing Korean village 'Womsan-Jin(元山津)'. This indeed is the illegal extension of the Japanese Concession at Wonsan. Conclusively, Concession fumed out the primary factor that Korean towns are altered with the heterogeneous ones in the period of Korean-Modern.

  • PDF

DMZ의 축소된 공간 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ed Spatial Extent of DMZ)

  • 정규석;신현탁;김상준;안종빈;윤정원;권영한;허태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5-363
    • /
    • 2015
  • 정전협정으로 설치된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일대는 정치적 군사적 위상과 더불어 역사적 생태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오늘날 국 내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DMZ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나, 정작 연구의 대상이 되는 DMZ 공간의 실제 범위에 대한 고민과 논의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쪽의 임진강 하구에서 동쪽의 고성군 명호리에 이르는 DMZ의 정확한 범위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를 진행한 결과 DMZ의 면적은 약 $570km^2$로 기존에 알려진 $992km^2$에서 현재 43%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55마일로 대변되는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길이의 경우 현 상황에서의 정확한 실측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정조.순조연간 관영공사에서 별간역(別看役) 정우태(丁遇泰)의 조영활동 (Special Technician Jeong Woo-tae's Activity and Role in the Governmental Construction Works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King Sun-jo of the Joseon Dynasty)

  •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5-131
    • /
    • 2007
  • Jeong Woo-tae(?-1809) was a military official who had worked as Byeol-Gan-Yeok in the governmental construction works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e early 19th century. Byel-Gan-Yeok, literally a special technician, was an official post in the governmental construction works that carries specific technical tasks from the mid 18th century. Over 30 years, Jeong Woo-tae had devoted himself in the construction of various royal tombs, city walls, and palace buildings. He showed superb and various techniques in the works of stone carving and architectural details. After finishing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of King Jeong-jo's father successfully, he was appointed as a governor of a rural town. Being on duty of the governor, he used t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works as a technician. He also made a couple of innovative device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like a carrying apparatus, Byel-Nok-No. His works secured the setting up of the post of Byel-Gan-Yeok in the governmental construction system in the 19th century. But his technical achievement remained as his own private works rather than developing to the universal growth of the craftsmen's skill. This might be a limitation of the Byel-gan-Yeok's role, whose position was remained in the midway between official and craftsman.

  • PDF

조전후기 상주읍치(尙州邑治)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ial Structure of Sangju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 정명섭;곽동엽;조영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1호
    • /
    • pp.47-64
    • /
    • 2008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lanning principles of Sangju which has an old histor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 1. Sangju placed on the plains in the castle, it is established in Korea Dynasty 2. The formation of Sangju is infruenced Feng-shui. They plants Chestnuts against centipede mountain 3. Sangju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nother city in Feng-shui and elements of Component. But, many buildings(jin-Young(Military site), Choong-Ui-Dan, Choong-Yeol-Sa) are associated with the war in Sangju. 4. The City hall is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hotel(Kaek-Sa). It is located on Wang-San which is a place where citizens with symbolism. So, the City hall is higher than Kaek-Sa 5. The cruciform style road which connected with 4 gates was formed in the castle.

  • PDF

사천만 연안에 축성된 성(城)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A Historical Geography of the Castles in the Sacheon Bay Region)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68
    • /
    • 2000
  • 사천만은 남해안으로부터 경남 서부지역으로 들어오는 관문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였다. 사천만 연안에 많은 성(城) 혹은 성지(城地)가 산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사천만 연안이 군사적 요충지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것이다. 필자는 사천만 연안에서 사천읍성, 곤양읍성, 성황당산성, 이구산성, 성방리산성, 신벽동산성, 덕곡리산성, 백천동산성, 각산산성, 선진리성, 사등산성지, 금성리 토성, 월성리 토성지, 각산봉수대성지, 안점봉수대성, 침지봉수대성지, 우산봉수대성, 통양창성지, 가산창성지, 장암창성지 등 20여개의 성 혹은 성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적인 기능과 군사적인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축조된 성을 읍성이라고 분류하였고, 주로 군사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성을 유사시용성이 라고 명명하였다. 사천만 연안에서는 창성이나 봉수대성과 같이 전형적인 읍성이나 유사시용성에 속하지 않는 성도 발견되었다. 성은 축조 재료에 따라 토축성, 석축성, 목책성, 전측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위치에 따라 평지성, 산성(산정식 포곡식), 평산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류 기준으로 볼 때, 사천만 연안에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성이 발견되었다. 사천만 연안에 산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성 혹은 성지는 지역의 문화재 발굴 보존이라는 점에서도 연구의의가 있고, 또한 관광자원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이다.

  • PDF

그라피티(Graffiti)를 활용한 도시 문화콘텐츠 융합 디자인 방안 (A Plan of Graffiti Utilization as Convergence Design on Urban Cultural Contents)

  • 임병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97-402
    • /
    • 2016
  • 본 연구는 그라피티(Graffiti)를 동두천 구시가지에 적용하여 도시를 재생시키고, 더 나아가 그것을 도시의 정체성으로 연결시키는 도시 문화콘텐츠 융합 디자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동두천의 정체성 배경과 문화자산을 조사해보고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장소를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관내 대학을 다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도시 정체성 강화 방안으로서 그라피티 활용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동두천에 미군이 주둔하면서 만들어진 이국적 이미지는 도시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락 페스티벌은 미군 주둔에 따른 문화적 영향으로 자리를 잡게 된 동두천의 대표적인 문화자산으로서 도시 정체성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화자산과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도시 정체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요소로서 그라피티라는 시각문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동두천시의 정체성 변화와 도시재생 효과, 그리고 무공해 문화 창조의 도시 이미지 부각 효과를 기대하면서 그라피티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