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base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6초

M&S를 활용한 두 개의 군 부대간 네트워크 트래픽 용량 분석 (Network Traffic Analysis between Two Military Bases Using Modeling and Simulation)

  • 박명환;유승훈;설현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5-432
    • /
    • 2019
  • Modeling and Simulation(M&S) has widely been used in various areas such as industry, academy and military. Especially, military have used the technology for acquisition, training, and combat assessment. In this paper, we introduce our experience using M&S technique to analyze the network traffic amount and packet delay time between two military bases. For this, we modeled the current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military bases and simulated the model with NS-3 tool. The result provided us for an insight regarding the required network performance between two bases.

군사시설보호법에 의한 국방부 보유 부동산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Protection of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in the real estate assets hel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 신광식;김동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81-186
    • /
    • 2012
  • 본 연구는 군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군사보호구역 설정으로 수시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중심으로 군 부동산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계획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동산전문가를 양성하여 자문단을 구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군 부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의 관리 및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방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생하는 군 부동산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Department of Defense and the local government's property management on ways to mutual research)

  • 신광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73-580
    • /
    • 2011
  • 본 연구는 군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군사보호구역 설정으로 수시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중심으로 상생할 수 있는 군 부동산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계획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동산전문가를 양성하여 자문단을 구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군부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의 관리 및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군부대 유휴부지를 활용한 탄소 순 배출량 제로 달성을 위한 태양광 패널 및 수소 연료 저장시설의 설치 규모 예측 (A Study on Predicting Installation Scale of Photovoltaic Panels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ies to Achieve Net Zero Carbon Emissions Exploiting Idle Sites of Military Bases)

  • 문동학;허지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4
    • /
    • 2024
  • In this study, the scale of renewable photovoltaic(PV) panels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ies required to achieve "net zero carbon emissions" in military facilities were predicted based on actual electricity consumption. It was set up to expect the appropriate installation size of PV panel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y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limited to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public sector, including national defense a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in Yeongche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are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First,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factors were considered to predict solar power generation in the Yeongcheon area, and solar power generation was estima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Second, the size of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hydrogen storage facilities in military bases was estimated with the amount of solar power generation and electricity consump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calculated that a site of 155.76×104 m2 for PV panels was needed and a facility capable of storing 27,657 kg of hydrogen gas was required. Through these results, it is meaningful to demonstrated the prospect that military units can lead the achievement of "carbon net zero 2050" by using PV panels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ies on idle sites of military bases.

주한미군의 미시적 지정학 - 미군기지로 인한 지역사회의 범죄 및 환경 문제의 발생과 해결방안 - (Micro-Geopolitics against the U.S. Forces in S. Korea: Local Problems Caused by the U.S. Military Bases and Strategies for their Resolution)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7-313
    • /
    • 2003
  • 그 동안 미군기지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미시적 문제는 거시-지정학적 관점에서 국가안보와 동북아 평화를 이유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통치체제가 민주화되고 시민사회의 정치적 담론이 활성화되면서, 이 문제들은 지역사회 나아가 전국적으로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미군 문제들에 접근하기 위하여 미시 지정학적 관점이 주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미군 주둔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사회적 범죄와 환경오염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사회의 문제와 이에 대한 대책을 미시-지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최근 정치지리학에서 지역사회에서 유발되는 문제와 생활정치 등에 초점을 두는 미시-비판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미관 기지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주요 문제 유형으로서 범죄와 환경오염의 실태를 살펴보면, 대구시 남구의 미군기지 주변 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주민의적을 분석하였으며, 끝으로 미군 주둔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주요 대책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민군간 공용 시설유형 및 고려요소 판단 연구 (Research to define facility type, project consideration and restriction when conceiving civil-military sharing facilities, by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 공금록;강한승;안진호;박영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2호
    • /
    • pp.57-66
    • /
    • 2018
  • When developing projects to build facilities to be shared by both military bases and surrounding communities, strategies are needed to achieve two objectives: 1) minimize missteps and opposition from local communiti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uch projects, and 2) promote cost-benefit optimization and user-satisfaction. With aim of promoting co-ope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military bases and adjust communities, this research proposes esthet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in conceiving civil-military sharing facilities. It seeks experts' opinions on the development of civil-military sharing facilities, and examines critical factors (economic feasibility, security, and satisfaction, etc.) for project development as well as building types suitable for shared-use between military bases and local residents. It then establishes a method to prioritize facility-type and narrow down design factors (considerations and restrictions) in project development by applying quantitative analysi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research employs the Delphi survey method to quantitatively analyze qualitative information drawn from experts' opinions. At the first round of the survey, facility types, items for consideration and restrictions are drawn, and then at the second round of the survey, criticality of each item is analyzed. Finally, it reaches a conclusion on suitability of facility types for civil-military sharing facilities, and selects project considerations and restrictions when developing this kind of project.

한국군 군사기지의 민수전환 전략 (A Strategy of ROK's Military Base Conversion into the Civil Use)

  • 이필중;장현주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92
    • /
    • 2007
  • 세계적으로 각 국가들은 군 현대화를 위해 재정자원의 배분, 연구개발 방향의 재설정, 군수산업의 재구조화, 군부대의 해체, 군사기지의 폐쇄 및 재개발, 잉여무기의 폐기 등 군사부문의 민수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 또한 반복되는 국방개혁을 통해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장차 주한미군 이전사업, 국방개혁 2020 추진에 따른 부대 통 폐합으로 군사기지의 민수전환 소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군사기지 민수전환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의 민수전환 사례를 분석하여 군사지기 민수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의 문제점과 한국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전시 군수물자의 효율적 분배와 수송을 위한 TC 위치선정 방법론 연구 (Method of Location Decision far a Transfer Center Distributing a Necessary Resource Item whil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Wartime)

  • 정병호;김익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4
    • /
    • 2009
  • 전시 공군은 각 지역에 거점부대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에서 동원되는 품목별 물자를 인수하고, 물자가 부족한 지역의 거점부대에 잉여물자를 분배하여 전체 부대가 일정한 군수지원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또한, 지역 거점부대는 해당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군소 운영부대들에 대한 DC(Distribution Center)의 역할도 담당하여 지역에서 동원되는 물자들과 타 지역 거점부대로부터 인수한 해당 지역 부족물자들을 군소운영부대에 분배한다. 하지만, 전시 동원물자 수송은 물자가 많이 동원되는 지역의 거점부대가 물자가 적게 동원되는 부대로의 분배 및 수송을 책임지기 때문에 동원물자들의 생산특성에 따라 지역 거점부대별 수송부담의 불균형과 다빈도 수송으로 인한 수송 자산(병력, 수송수단)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공군본부나 군수사령부와 같은 상급부대는 전체적인 동원물자의 분배와 수송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조정 통제하는데 대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지역에 TC(Transfer Center)를 설치하여 물자를 분배하고 수송하는 방법론을 제시고자 한다.

군기지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mediation Methods of Contaminated Soils at Former Military Bases)

  • 양혁수;김임순;강선홍;장윤영;박세규;고재욱;김연정;박철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647-651
    • /
    • 2014
  • 대량의 유류 취급과 사격, 폭파훈련으로 인한 피탄지에 중금속 물질의 발생, 많은 인원이 사용 후 발생되는 폐기물, 노후화된 시설물(구조물 포함) 등으로 인해 군부대는 환경오염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5개의 반환미군기지를 대상으로 오염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BTEX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과 지하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기지 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하여 토양증기추출법, 슬러핑공법, 토양경작법 및 토양세척법이 적용되었으며, 적용된 5개의 부지 모두 법적 기준에 적합하도록 정화되었다.

군사시설 이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Implications of a Case Analysis of a Public Park Project at a Former Military Facility Site)

  • 박준영;이은엽;송선영;엽정식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25-234
    • /
    • 2014
  • 군사시설 이전부지는 근본적으로 공공 시설적 성격을 띄고 있어 공공 복리를 위한 활용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원으로 조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군사시설 이전부지에 대한 공원조성 사례를 분석한 결과 몇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공원조성의 목표는 도시재생의 개념 및 지역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전부지를 전면 개조하는 방식보다는 기존 시설들을 최대한 재활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동시에 지역정체성과 역사성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공원의 규모가 대형화 되고 있어 단일시설 및 프로그램 보다는 복합공간으로 조성해 줄 필요가 있으며, 공원조성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단계적으로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군사시설이 지니고 있는 특수한 상황으로 공원조성 과정에서 현장조사가 미흡하여 설계변경 또는 오염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사전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간사업자에게 일부 부지에 대해 개발권을 위임하고 개발이익으로 공원조성과 운영관리비를 충당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군사시설 이전기지는 다양한 이해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사업추진과정에서 민관협치의 의사결정기구를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재원조달과 수익사업 확대, 봉사 및 후원 활성화, 트러스트 및 비영리 단체의 공원운영 관리 참여 확대 등을 위해서는 도시공원 관련제도의 보완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