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contrac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수량유연성계약이 육군 의약품 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The Effect of Quantity Flexibility Contract on the Military Medicine Inventory Using Dynamic Simulation)

  • 최영수;문성암;김동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급계약(supply contact)방식의 전환을 통해 군재고의 효율적인 관리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 육군공급계약 시스템과 수량유연성계약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모델링하고, 4가지 불확실한 수요패턴에 대한 육군 의약품의 재고수준과 재고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동적으로 연구한다. 다양한 수요패턴에 대해 수량유연성계약이 군재고 수준과 재고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함으로써 군의 공급계약방식의 새로운 변화를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작업을 군 재고 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 과정은 일반 기업 등에서도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무기체계류 계약형태 및 계약종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the Improvement for the Contract Types and Contract Category of the Weapon Systems)

  • 김기택;박홍래;조용건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2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위력개선사업으로 획득하는 국내 무기체계류중 대형 장기사업에 대한 사업추진단계별 계약형태 및 계약종류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계약체결 요구시 계약관은 반복적으로 일괄계약, 분리계약 등을 검토한 후 계약형태 및 계약종류를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델 구성을 위해 선행 연구논문, 방위사업청 및 한국국방연구원 등에서 발행한 보고서, 계약에 관한 법령 및 각종자료를 활용하였고, 구)조달본부와 방위사업청에서 체결한 계약현황 분석 및 방산업체 의견을 수렴하였다.

군대조직의 경력거래모형에 관한 연구: 군 장교를 대상으로 (A study of the career deal model for military officers)

  • 우웅기;이진규;권상순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7-176
    • /
    • 2009
  • 본 논문은 360명의 군 장교들을 대상으로 비영리조직이면서 동시에 전통 관료제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군대조직의 경력거래모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개인의 적극적인 경력관리활동이 조직의 경력관리도움을 유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 경력관리활동, 조직의 경력관리도움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심리적 계약의 틀 안에서 설명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의 경력관리 활동이 조직몰입의 선행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군 조직의 경력관리활동이 장교들의 정서적 몰입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영리조직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경력관리활동의 유형 별 효과가 군 조직에서도 가능함을 밝혔다. 이런 분석결과들로 볼 때, 군은 장교들의 자기 주도적 경력계획을 적극 유도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차별화된 경력관리도움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핵심인력을 확보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군수품 계약업무 분석 : 공군 군수사 계약업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Munitions Contract Work Using Process Mining)

  • 주용선;김수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41-59
    • /
    • 2022
  • 군수물자의 적기 조달은 군의 작전능력 유지를 위해서 필수적이며, 계약업무는 적기 조달을 위한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한 계약체결은 수요자의 여유로운 납기설정을 가능케 하며, 예산 집행의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예산의 조기집행과 이·불용 방지를 위해서도 계약 프로세스 개선이 필수적이다.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빅데이터를 이용한 프로세스 분석 및 개선 기법인 프로세스 마이닝 역시 민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군 내 계약업무에 대한 분석은 업무 담당자의 경험과 단편적인 정보를 활용한 이·불용 문제사례별 원인 파악 및 대응적 모색과 같은 개별적 분석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계약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공군 군수사령부 재정처가 2019년 11월부터 약 1년간 직접 계약한 총 560건의 계약업무에 관한 데이터를 가지고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산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프로세스 맵을 도출하고, 프로세스의 흐름, 수행시간 분석, 병목 분석 및 추가 세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다수 계약 건에서 의뢰 후 재검토/수정이 반복 발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복적인 재검토/수정은 원가계산 완료까지의 소요일수 지연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병목 지점 시각화를 통해서도 명확하게 드러났다. 재검토/수정은 계약의뢰가 많은 상위 5개 부서에서 60% 이상 발생하고, 의뢰가 집중되는 상반기에 주로 발생하는데 이는 소요부서의 계약의뢰 전 면밀한 사전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재정처의 계약업무는 법령에 따른 절차대로 수행되고 있었으나, 일부 업무의 순서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군 내 계약업무 분석에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첫 사례이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마이닝을 군대 내 다양한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수행된다면, 각종 업무의 효율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정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방산물자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ing Factors of estimation cost: Focused on Defense Goods)

  • 송영일;김동욱;심숙화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9-118
    • /
    • 2011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계약담당공무원이 예정가격을 결정할 때는 거래 실례가격, 원가계산에 의한 가격, 감정가격 등을 기준으로 계약수량, 계약이행 기간, 수급상황, 계약이행의 난이도, 계약 조건 및 기타 제반여건을 참작하여 부당하게 감액하거나 과잉 계산되지 않도록 하여야 있다. 그러나 예정가격 제도가 계약담당공무원의 감사대비용으로 사용되는 등 국가계약법상의 목적과 다르게 결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정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식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바람직한 예정가격 제도의 정착을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군사시설 건설사업의 설계변경 요인분석 및 개선방향 (Causes of Change Orders in the Military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이경한;최종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3-271
    • /
    • 2013
  • Change orders have been widespread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construction secto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2B (Government to Business) contracts, adjustment of contract price and/or schedule extension is a frequent occurrence due to change orders. To uncover the causes of change orders and suggest an appropriate strategy, this study analyzed 296 cases of change orders in military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from 2008 to 2010.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 causes of change orders are users' additional requirements (28.38%), a change of finishing materials (23.99%), and change of footing type (17.57%), in that order. Building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authors suggest plans for practical improvements. Specific recommendations include 1) reflect user requirements at the early stage, 2) minimize the use of additional budget due to change orders, and 3) reduce the process and time for contract amendment, among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ose involved in military construction projects, particularly project owners (i.e., the Ministry of Defense) and contractors.

항공장비 외주정비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ircraft Contract Maintenance System)

  • 서성철;박승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6-107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ulcorner$Requirement Decision Model for Repair Parts supplied by the Government$\lrcorner$ which is to reduce Aircraft Contract Maintenance Cost. It aims to find solutions to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Aircraft Contract Maintenance System. Under the current Aircraft Contract Maintenance System, it is hard to forecast the exact demand of repair parts, so support rate of Repair Parts supplied by the Government is restricted under 50 percent. It is inevitable to purchase Repair Parts from the firm with much higher price than those of Government source. However, absence of fixed demand pattern makes it difficult to improve accuracy of demand forecast.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is model prevents a cost increase due to the unit price difference between Repair Parts supplied by the Government and Repair Parts purchased by the Firm. It also reflects dem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pair part, and prevents continual stock increase by setting an upper limit on the amount of Repair Parts supplied by the Government.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is verified by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latest raw data. By applying this model to real situation, we expect to reduce about 4 billion won every year.

상사의 비인격적 행위가 부하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계약위반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Self-control)

  • 박성진;김오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3-134
    • /
    • 2010
  • 본 연구는 파괴적 리더십 중에서도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위가 부하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사의 비인격적 행위와 부하의 이직의도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직의 심리적 계약 위반과 부하의 자기통제력이 조절하는지를 검증 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양산단계 군수품에 대한 정부품질보증활동 실효성 향상 방안 (Suggestions o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for Military Supplies in Production Stage)

  • 신병철;황우열;안남수;김덕환;이계림;장봉기;변재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3-166
    • /
    • 2016
  • Purpose: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QA) activities in Korea, which is carried out by th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is not effective due to 1) the obscureness of the QA implementation method, 2) the gap between QA activities of provisions and those conducted in the fields, and 3) the variation in subjective judgement among the QA personn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some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QA activities for military supplies in the production stage. Methods: QA activities for military supplies are investigated and problematic aspects are deduced for the production stage.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QA activities,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 of the United Sates is benchmarked and five improvement methods are presented. Results: Five improvement aspects are 1) reflecting special terms and conditions of government mandatory inspection in contract, 2) classifying QA personnel, 3) making use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emplate compulsory, 4) providing checklist for process review, and 5) establishing guidelines for sampling plans for product examination. Conclusion: Suggestions of this paper can lead to consistency and balance in government QA activities, reducing military suppliers' complaints an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QA effort, and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military supplies.

다차원 유인부 계약의 운영구조 -성과유인의 구조화를 중심으로- (The Operating Structure of Multiple Incentive Contracts : Emphasis on Structuring with the Performance Incentives)

  • 김정본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9-92
    • /
    • 1980
  • In cost-only incentive contract the emphasis is the attainment of efficient and effective cost control. In contrast multiple incentives contract correlates contractor's profit motives with the generalized government objective function, the decision variables of which are performance or quality (technical progress), time or schedule (timely development and delivery) and the cost (efficient and effective cost control) Under multiple incentive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formulate the trade-off curves between cost and performance, which are called iso-fee curves. Trade-off curves depict the combination of cost and performance achievement for which the contractor will be rewarded with the same fee. The basic function of trade-off curves is to show he the contractor will be motivated by incentive arragement to trade off or sacrifice the achievement in one incentive element for the acnievment in an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