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sion statemen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병원의 설립이념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gnition of Mission Statement of Hospitals on the Job Satisfaction)

  • 류황건;장효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1-120
    • /
    • 2003
  • The purpose of study is to research employees cognizing their hospital mission statement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employees as samples, totaling 400 samples from four of religious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usan, Gyeongsang Namdo and Gyeongsang Bukdo. The survey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ummary of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gnizance of mission stat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education, religion, job categories and experience of employees. Seco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of employees. Finally, significan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employees' cognition of mission state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 PDF

한국과 일본병원의 미션선언문 비교연구 - 한국의 상급종합병원과 일본의 특정기능병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Mission statements for strategic management - Focusing on the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and special functioning hospitals in Japan-)

  • 당지연;최윤수;김영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0-87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f mission statements for Strategic Management of hospitals in Korea and Japan. For the study, 44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which were accredi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selected. And 83 special functioning hospitals in Japan, which were approved by the Minister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were includ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by classifying 5 components of the mission statement; market, service, philosophy, image, contribu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hospitals in Korea emphasized image(93.2%) and philosophy(81.8%) components in their mission statements, whereas hospitals in Japan highlighted components of service(89.2%) and market(72.3%). In detail, mission statements of Korean tertiary care hospitals describe the components of hospital's image (93.2%), philosophy(81.8%), contribution(56.8%), market(22.7%) and service (18.2%) in order. On the other hand, mission statements of Japanese special functioning hospitals describe hospital's service(89.2%), market(72.3%), contribution(61.4%), image (49.4%) and philosophy(34.9%), respectively. Second, as results of Content analysi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ission statements of hospitals between two countries, and it is mainly from the divergences of standards for recognition of medical institutions, environmental factors, and different ways of mission statement description. For strategic hospital management, carrying out innovative restructuring organization or promoting of research and training for medical development is considered as a desirable approach. However, clear description of mission statement is more important and it is required for effective control and managing organization. And then the mission should be communicated within an organization so all internal members understand it and put their efforts to achieve the mission of organization.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a leader and senior managers should re-evaluate its mission statement whether i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In addition, a mission statement should be created or improved based on critical decision, as well as it should be clearly shared within an organization in order to become a future oriented organizations.

  • PDF

자동차 CALS-ANX를 중심으로

  • 오우진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9년도 학술대회지 vol.1
    • /
    • pp.301-311
    • /
    • 1999
  • ANX Mission Statement "To provide the automotive industry with a robust, global network infrastructure that enables an emerging se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ervices′

  • PDF

전문대학의 정체성 연구 (Identity of College in Korea)

  • 주광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3권
    • /
    • pp.189-219
    • /
    • 2003
  • Colleges are faced with crises. The nature of colleges lies in those of college's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college's identity and then to establish college's identity. An organizational identity reflects its central and distinguishing attributes, including core values, mission. The role & function, values and mission can be used to clarify college's identity. Colleges need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s follows. 1. Solidifing core forces 2. Making mission statement 3. Creating vision 4. Creating cultic culture 5. Appointing CEO who was grown up inner

  • PDF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velopment Plans and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Overseas)

  • 이용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61-6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과 선진국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을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주요 대학의 도서관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을 수집하여 비교하고 루브릭 평가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은 당면 과제와 개별 업무 위주로 작성되는 경향이 짙고 사명과 비전의 제시가 미흡한 반면, 선진국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은 사명과 비전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그러한 틀에서 목적과 목표 및 세부업무를 설정함으로써 도서관의 장기적 발전을 견인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결론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사명과 비전의 천명, 사서 중심의 태스크포스 결성, 사명과 비전과 세부 계획의 연계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할 때 기초적인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로 전략적 계획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국내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연구, 국립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에서의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의 비교연구 등이 필요하다.

국가도서관의 전략적 계획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trategic Plans of National Libraries)

  • 이용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71-7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의 발전계획과 서구 및 중국, 일본의 국가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을 비교하여 국립중앙도서관 발전계획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국가도서관 발전계획과 전략적 계획을 수집하고 루브릭 평가를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국립중앙도서관의 계획은 현황 분석 및 실무위주 계획으로 작성되고 사명 및 역할의 천명이 미흡한 반면, 외국 국가도서관의 계획은 사명과 비전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그러한 틀에서 목적과 목표 및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대내외에 천명하여, 도서관의 장기적 발전을 견인하는 이정표로 기능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결론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명과 비전의 정립 및 천명, 사명 비전 목적 목표 실행계획의 연계, 지속적인 도서관마케팅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전략적 개념을 활용하여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문헌정보학 정체성에 대한 연구: 비평적 담론분석 기반 미국 문헌정보학 강령분석을 중심으로 (Revisi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ission Statem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 in United States)

  • 박옥남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9-109
    • /
    • 2013
  • 본 연구는 미국 문헌정보학과 홈페이지에 나타난 강령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담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평적 담론분석을 사용하였으며, 1) 문헌정보학 강령구조의 접근성, 제목, 구조를 조사하였으며, 2) 정체성 분석을 위해 의무적 용법, 어휘분석, 행위분석을 실시하였다. 3) 문헌정보학의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담론분석을 문헌정보학 분야와 연계하여 정체성을 밝히는 연구의 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 분석 (Analysis of Mission Statement of Social Welfare Centers)

  • 권순애;김선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25-432
    • /
    • 2017
  • 전국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직의 정체성과 가치에 대해 실제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조직 사명문에 나타난 사회복지관의 표적성, 방향 및 전략, 이미지에 대해서 분석하기 위해서 전국 385곳의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을 수집하였다. 분석은 NVivo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전체 수집된 단어수는 1,401개였으며, 조직의 표적성에 해당되는 대상 448개(32.0%)의 단어, 문제 51개(3.6%)의 단어, 방향성에 해당되는 단어 118개(8.4%), 전략에 해당되는 단어 545개(38.9%), 이미지에 해당되는 단어 239개(17.1%)였다. 구체적으로 표적성에 해당되는 대상은 지역주민, 지역사회, 공동체가 높게 나타났고, 문제는 지역문제, 빈곤, 소외였다. 전략성에 해당되는 방향성은 복지공동체/마을, 사회복지, 역량강화가 높게 나타났고, 전략은 형성/구축, 나눔/섬김, 개선(발)/발전/향상이었다. 조직사명문에 나타난 이미지는 복지관, 우리, 전문기관, 이웃 순이었다. 이번 사회복지관의 조직 사명문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관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설립된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표적으로 삼은 문제와 대상, 방향성 모두 지역사회와 관련한 단어들의 분포가 단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조직사명문의 구성요소 및 특성만을 분석하였는데, 조직 사명문이 조직의 성과와 실제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실시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은 추후 연구에서 발전되기를 제안한다.

국내수목원 조성 및 운영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Operating Trend of Arboreta in Korea)

  • 김종익;강철기;신현탁;성정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7-51
    • /
    • 2011
  •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plant species for the nation arboretum, collection and securing of the plant species for both public and private arboreta and education for the arboreta which is affiliated to the university are overall management goal of the arboreta in Korea. Most of the arboreta in Korea run the programs and events for guide and interpretation of forest, but the programs and events are not well specified by the arboreta. Regarding the reasonable level of entrance fee should be discussed further as the lack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But the specified entrance fee between public and private arboreta should be considered. An eighty three percent of arboreta in Korea has been properly managed the species information. The reasonable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unusual management of collected plant genetic resources. Although the overall impending difficulties for the management of arboreta in Korea is the lack of trained or qualified staffs, securing tasks independently for the public arboreta and relatively low salary for the private arboreta are main difficulties. Most of the difficulties are derived from the lack of its mission of the arboreta. The management of arboreta by the mission statement is one of the core targets including the characters such as climate or region should be considered. The securing qualified or trained staff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arboreta in Korea including the modific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or law.

우리나라 약학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고찰한 교육이념 (Educational Goals Extracted from Homepages of Pharmacy Schools in Korea)

  • 임유철;지은희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1-297
    • /
    • 2016
  • Background: The current educational goals and missions of pharmacy schools in Kore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urrent orien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pharmaceutical education. Methods: Educational mission statements were obtained from the homepages of 35 pharmacy schools and subjected to convert into codes. Themes and categories were induced using qualitative content-analysis from the codes and compared according to location of school (capital area versus province), public versus private, and date of initial enrollment (before versus in 2011). The themes and categories were compared with "the eight-star pharmacist" suggest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Federation (FIP). Results: Twelve themes, 44 categories, and 496 codes were identified. Themes included pharmaceutical expertise, professionalism, contribution to society, basic educational ideology, sphere of activity, leadership, research, dealing with future change, problem-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cooperation, and respect for life. Mission statements of schools that initially enrolled in 2011 cited humankind level contribution (p=0.011), patient-centered care (p=0.026), and globalization (p=0.018) more frequently than those enrolled before 2011. Most schools mentioned about care-giver, researcher, and decision-maker which were stated in "the eight-star pharmacist". Conclusion: To meet the growing social requirements of a pharmacist's roles, wide-ranging active discussion on establishing educational goals should b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