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CA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22초

$CaMoO_4$ 결정 형태의 전개 (Morphology evolution of $CaMoO_4$ crystals)

  • 최은지;허영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84-190
    • /
    • 2008
  • 단순 침전법으로 타원, 땅콩, 아령, 바디가 있는 구형 모양의 $CaMoO_4$ 결정을 합성하였다. $Ca^{2+}$ 이온과 $MoO_4^{2-}$ 이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CaMoO_4$의 형태는 차원형에서 땅콩 모양과 아령 모양을 거쳐서 마디가 있는 구형 모양으로 전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CaMoO_4$ 결정의 형태의 전개는 프랙탈 메커니즘에 기인한다. 타원형의 양 끝 부분에서부터 가지를 치면서 결정 성장이 시작된다. 1차와 2차 프랙탈 성장에 의해서 땅콩 모양과 아령 모양이 각각 형성되었다. 아령 모양에서 더 프랙탈 성장을 하여 최종적으로 마디가 있는 구형이 형성되었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 노인용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LOTCA-G)에 대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기능 검사(MoCA-K)의 타당도 연구 (Construction validity of the MoCA-K to MMSE-K, LOTCA-G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 고효은;김정운;김희동;장연식;정현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12-320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인지기능 검사인 LOTCA-G 및 MMSE-K와 MoCA-K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경도인지장애를 탐지하는 데 사용되는 MoCA-K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50명을 대상으로 한 각 평가도구들의 인지기능 점수는 MoCA-K가 30점 만점 중 $22.72{\pm}5.85$, LOTCA-G는 104점 만점 중에 $96.28{\pm}6.82$, MMSE-K는 30점 만점 중 $25.08{\pm}3.78$점이었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평가도구들의 점수를 알아본 결과, 세 개의 평가도구 모두 남녀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들의 치매 선별검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MMSE-K 및 LOTCA-G의 수행점수와 MoCA-K 수행점수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므로 MoCA-K는 노인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데 있어 타당한 인지검사도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ynthesis of scheelite-type nanocolloidal particles by pulsed laser ablation in liquid and their size distribution analysis

  • Lee, Jung-Il;Shim, Kwang Bo;Ryu, Jeong Ho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1-119
    • /
    • 2014
  • A novel pulsed laser ablation process in liquid was investigated to prepare scheelite-type ceramic [calcium tungstate ($CaWO_4$) and calcium molybdate ($CaMoO_4$)] nanocolloidal particles. The crystalline phase, particle morphology, particle size distribution, absorbance and optical band-gap were investigated. Stable colloidal suspensions consisting of well-dispersed $CaWO_4$ and $CaMoO_4$ nanoparticles with narrow size distribution could be obtained without any surfactant. Particle tracking analysis using optical microscope combined with image analysis was applied for a fast determin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prepared nanocolloidal suspensions. The mean nanoparticle size of $CaWO_4$ and $CaMoO_4$ colloidal nanoparticles were 16 nm and 30 nm, with the standard deviations of 2.1 and 5.2 nm, respectively. The optical absorption edges showed blue-shifted values about 60~70 nm than those of reported in bulk crystals. And also, the estimated optical energy band-gaps of $CaWO_4$ and $CaMoO_4$ colloidal particles were 5.2 and 4.7 eV. The observed band-gap widening and blue-shift of the optical absorbance could be ascribed to the quantum confinement effect due to the very small size of the $CaWO_4$ and $CaMoO_4$ nanocolloidal particles prepared by pulsed laser ablation in liquid.

뇌졸중 환자의 균형, 인지, 일상생활 평가의 상관성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the Balance,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강보라;정은송;김재희;하유나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2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BBS, MoCA-K, MBI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 평가에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에 소재하는 Y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기준은 첫째,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한 자,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MMSE-K 20점 이상인 자, 셋째, 편측무시가 없는 자, 넷째, 하위운동신경 병변이 없고 양하지 및 척추에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자, 다섯째, 시청각계 이상이 없고 운동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또는 수술을 받지 않은 자, 여섯째, 환자본인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평가는 재원 중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에 의해 BBS, MoCA-K, MBI를 측정하였으며 균형능력 평가 시 안전을 위하여 한명의 보조자가 동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BBS와 MoCA-K r=.459, BBS와 MBI r=.550, MoCA-K와 MBI r=.565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본 연구는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BBS, MoCA-K, MBI의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Design of Advanced Weathering Steel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for Structural Applications

  • Choi, B.K.;Jung, H.G.;Yoo, J.Y.;Kim, K.Y.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121-129
    • /
    • 2005
  • Basic design concept of the future steel structure requires environmental compatibility and maintenance free capability to minimize economic burdens. Recent trends in alloy design for advanced weathering steel include addition of various alloying elements which can enhance formation of stable and protective rust layer even in polluted urban and/or high $Cl^{-}$ environment. The effects of Ca, Ni, W, and Mo addition on the corrosion property of Ca-modified weathering steel were evaluated through a series of electrochemical tests (pH measurement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structural analysis on rust layer formed on the steel surface. Ca-containing inclusions of Ca-Al-Mn-O-S compound are formed if the amount of Ca addition is over 25 ppm. Steels with higher Ca content results in higher pH value for condensed water film formed on the steel surface, however, addition of Ni, W, and Mo does not affect pH value of the thin water film. The steels containing a high amount of Ca, Ni, W and Mo showed a dense and compact rust layer with enhanced amount of ${\alpha}-FeOOH$. Addition of Ni, W and Mo in Ca-modified weathering steel shows anion-selectivity and contributes to lower the permeability of $Cl^{-}$ ions. Effect of each alloying element on the formation of protective rust layer will be discussed in detail with respect to corrosion resistanc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dered Perovskite (CaLa) (MgMo) $_6$

  • Choy, Jin-Ho;Hong, Seung-Tae;Suh, Hyeong-M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6호
    • /
    • pp.345-349
    • /
    • 1988
  • The polycrystalline powder of (CaLa) (MgMo)$O_6$ has been prepared at $1350^{\circ}C$ in $H_2/H_2O$ and $N_2$ flowing atmosphere. The powder X-ray diffraction pattern indicates that (CaLa) (MgMo)$O_6$ has a monoclinic perovskite structure with the lattice constants $a_0=b_0=7.901(1){\AA}$, $c =7.875(1){\AA}\;and\;{\gamma}=89^{\circ}$16'(1'), which can be reduced to orthorhombic unit cell, a = 5.551(1) ${\AA}$, b = 5.622(1) ${\AA}$ and c = 7.875(1) ${\AA}$. The infrared spectrum shows two strong absorption bands with their maxima at 590($ν_3$) and 380($ν_4$) cm, which are attributed to $2T_{1u}$ mode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highly charged molybdenum octahedron $MoO_6$ in the crystal lattice. According to the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the compound follows the Curie-Weiss law below room temperature with the effective magnetic moment 1.83(1)$_{{\mu}B}$, which is well consistent with that of spin only value (1.73 $_{\mu}_B$) for $Mo^{5+}$ with $4d^1$-electronic configuration within the limit of experimental error. From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La) (MgMo)$O_6$ decomposes gradually into $CaMoO_4,\;MoO_3,\;MgO,\;La_2O_3$ and unidentified phases due to the oxidation of $Mo^{5+}$ to $Mo^{6+}$.

$CaSO_4$ 열형광체의 조성과 선량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and Dosimetry of the $CaSO_4$ Phosphors)

  • 이덕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1권1호
    • /
    • pp.59-64
    • /
    • 1998
  • [ $CaSO_4$ ] thermoluminescent phosphors was made by sintring the $CaSO_4$ after doping the transition elements Tm, Pd, Dy, V, Mo, Zr. The maximum Peaks are found in the measured $CaSO_4$(Tm, Pd, Dy, V, Mo, Zr) TL glow curve at $130^{\circ}C,\;110^{\circ}C,\;140^{\circ}C,\;100^{\circ}C$, and $120^{\circ}C$ when the heating rate is $5^{\circ}C/sec$.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main peak has been estimated by the peak shape method. The estimated activation energies are 1.02eV, 1.32eV, 1.12eV, 0.80eV, and 1.17eV, respectively. The thermoluminescence process in $CaSO_4$(Tm, Pd, Dy, V, Mo, Zr)are found to the 2nd order when the main peak of the glow curve is analyzed by peak shape method. The dose responses of $CaSO_4$(Tm, Pd, Dy, V, Mo, Zr) phosphors are linear within $4{\times}10^{-4}{\sim}1Gy$ of X-rays.

  • PDF

방사성요오드 치료전 갑상선유두암 환자의 인지기능 (Cognitive Function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Patients Before Radioiodine Therapy)

  • 김현석;전진숙;김민수;최영식;오병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2호
    • /
    • pp.132-139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에서 인지장애의 발생 빈도와 이에 관계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갑상선암으로 진단받고 갑상선전절제술 받은 지 6~12개월 후,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을 받기 위해서 입원한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개인력, 병력조사와 우울지수 및 인지기능(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이하 MoCA-K)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 중 MoCA-K 총점이 22점 이하인 환자는 21명(50.0%)이었다. 2) 나이, 교육수준,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는 MoCA-K 총점 23점 이상군과 MoCA-K 총점 22점 이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MoCA-K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변인은 나이, 교육수준, 병행질환, 방사성 요오드 치료 전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 HDRS-17 총점이었다. 결 론 갑상선절제술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기 전 갑상선암 환자에서 인지장애는 50%에서 있었다. 추후, 치료과정의 갑상선암에서 인지장애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치료 과정의 환자에서 인지장애의 인식과 예방 대책이 요구된다.

  • PDF

Electron Crystallography of CaMoO4 Using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y

  • Kim, Jin-Gyu;Choi, Joo-Hyoung;Jeong, Jong-Man;Kim, Young-Min;Suh, Il-Hwan;Kim, Jong-Pil;Kim, Youn-Jo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391-396
    • /
    • 2007
  •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n inorganic crystal, CaMoO4 (space group I 41/a, a = 5.198(69) A and c = 11.458(41) A), was determined by electron crystallography utilizing a 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e. An initial structure of CaMoO4 was determined with 3-D electron diffraction patterns. This structure was refined by crystallographic image processing of high resolution TEM images. X-ray crystallography of the same material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TEM structure determination. The cell parameters of CaMoO4 determined by electron crystallography coincide with the X-ray crystallography result to within 0.033-0.040 A, while the atomic coordinates were determined to within 0.072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