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3D Content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41초

MPEG-4 BIFS 기반 모바일 방송 환경에서 3D 객체 및 GUI 표현 기술 연구 (A Study on 3D Object and GUI Representation Based on MPEG-4 BIFS for Mobile TV)

  • 임현정;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77-687
    • /
    • 2009
  • 모바일 환경은 데이터 콘텐츠 이용에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PEG-4 BIFS 기반 환경에서는 진보된 데이터 콘텐츠 구현이 쉽지 않다. BIFS는 VRML을 모태로 하여 방송 콘텐츠와는 타켓 콘텐츠 및 콘텐츠 개발 어프로치가 다르며, 모바일 방송환경에서 이용하기에는 표준이 너무 복잡하여 구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대화형 3D 객체 및 GUI를 제공하는 진보된 모바일 TV 콘텐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실제 DMB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모바일 방송 콘텐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바일 방송 콘텐츠에서의 3D 객체 표현을 위해 MPEG-4 BIFS 3D 노드를 분석하여 VRML 프로파일의 서브셋을 구성하였으며, GUI 표현을 위한 노드틀을 새로 정의하여 콘벤츠 개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모바일 데이터 콘텐츠 구성 시 3D 그래픽스와 인터랙션 표현이 쉬워진다면,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을 증대되어 모바일 방송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3D 해양 캐릭터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설계 (A System Design for Mobile Service of a 3D Marine Characters)

  • 강경헌;김병훈;윤재홍;김은석;허기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6-540
    • /
    • 2006
  • 모바일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술의 발달과 3D 게임전용 폰의 등장은 3D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그러나 유선환경에 비해 낮은 대역폭과 연결 시간에 따른 데이터 요금의 부담을 갖는 모바일 환경에서, 대용량 콘텐츠인 모바일 3D 콘텐츠의 효율적인 서비스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3D 해양 캐릭터들을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모바일 기기로 다운로드하기 위한 효과적인 캐슁 정책을 이용하여, DB로 구축되어 유선 인터넷으로 서비스되는 사이버 아쿠아리움의 해양객체 정보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는 3D 해양 캐릭터의 모바일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GPS-based 3D View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mart Mobile Devices

  • Vo, Phuc;Choi, Chang 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1호
    • /
    • pp.18-25
    • /
    • 2013
  • Recently, augmented reality has been proved immensely useful on a day to day basis when tied with location-based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on mobile devices. We add 3D models on the view of the camera and use location-based services, motion sensors to calculate the transformation of models. Instead of remaining at a fixed position on camera view while moving around a 3D model, the model rotates on display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the user is walking. We also design client as a ubiquitous client to reduce constraints on disk space and memory capacity on mobile devices. Implementation results show effective use in creating GPS-based 3D view augmented reality contents for Smart Mobile Devices.

Mobile Device를 위한 3D GUI Tool Frame 개발 및 적용 (The Application and Developement of 3D GUI Tool Frame for the Mobile Devices)

  • 송영한;이경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5-6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휴대형 단말기기의 플랫폼 친화적이며 컨텐츠 개발의 신속성, 확장성 및 용이성이 고려된 3D 컨텐츠 플랫폼 엔진과 Application Frame 기술을 Convergence하였으며, Mobile Device에 탑재 가능한 3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시제품을 제작 및 응용하고, Mobile Game 등 컨텐츠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는데 필요한 3D GUI 객체(widget) 및 툴킷을 포함하는 Frame을 표준화 하는데 기본이 되는 연구를 하였다.

  • PDF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Developing a Mobile Tutorial Tools Using 3D Modeling Technology on Tooth Carving for Dentistry)

  • 박종태;박사범;이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46-557
    • /
    • 2016
  • 치의학 분야에 입문한 학습자가 치아 형태를 이해하고 임상의 기반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치아카빙 실습이 필요하다. 치아카빙 실습은 단계별 모델을 필요할 때마다 관찰할 수 있을 때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카빙 실습모형을 제안하고, 카빙 단계에 대한 3D모델링 정보를 제공하는 튜토리얼 방식의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치아카빙 실습 모형은 치아형태학 강의 및 실습을 포함하는 강의실 활동과 학습자의 실습과 일상적 학습을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로 연계하는 모바일 심리스 러닝 형태로 도출하였다.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는 치아형태학 사전, 치아카빙 실습 튜토리얼, 3D 치아 모델링으로 구현되었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내용 및 기능이 타당하게 설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내용 타당도: 5.0, 인터페이스 타당도: 4.53). 따라서 개발된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도구는 치아카빙 실습의 모바일 심리스 러닝을 지원하는 데 적합한 학습도구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치의학 분야에 ICT를 활용하는 수업모형과 지원도구인 모바일 콘텐츠 개발 연구가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모바일 환경을 위한 큐빅형 텐저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Cubic Tangible User Interface Development for Mobile Environment)

  • 옥수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32-39
    • /
    • 2009
  • Most mobile devices provide limited input interfaces in order to maximize the mobility and the portability. In this paper, the author proposes a small cubic-shaped tangible input interface which tracks the location, the direction, and the velocity using MEMS sensor technology to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poor input devices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As the preliminary phase for implementing the proposed tangible input interface, the prototyp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s are described in this paper. Various experiments such as menu manipulation, 3-dimensional contents control, and sensor data visualization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interface. The proposed tangible device enables direct and intuitive manipula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bile computing will be more widespread and various kinds of new contents will emerge in near future. The proposed interface can be successfully employed for the new contents services that cannot be easily implemente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current input devices. It is also obvious that this kind of interface will be a critical component for futur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e proposed tangible interface will be further improved to be applied to various contents manipulation including 2D/3D games.

모션캡처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3D 댄스 콘텐츠 제작 연구 (Research of Mobile 3D Dance Contents Construction Using Motion Capture System)

  • 김남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98-107
    • /
    • 2006
  • 모바일 기기의 성능(3D 엔진, 3D가속 칩 등)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의 실감 있는 콘텐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의 성능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의 제약으로 빠른 시간에 모바일용 실감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애니메이션 되는 캐릭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문 애니메이터가 수작업에 의해 키 프레임 방식으로 모션을 생성한다. 이는 모션 생성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모션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광학식 모션캡처 시스템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정확한 모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모바일 3D 댄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아울러 대용량 모션캡처 데이터를 적은 리소스를 요구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키 단순화, 프레임 수 조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구현실험 결과를 통해 3D 댄스 콘텐츠 제작에 있어, 광학식 모션캡처 시스템 활용은 기존 일반적인 제작 공정에 비해 제작 시간 단축과 실감 있는 캐릭터 모션을 생성해냄으로써 실감형 콘텐츠 제작과 사용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Optimizing Mobile 3D Game Engine using JSR-184

  • Cho, Jong-Keun;Lee, Shin-Jun;Choo, Moon-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3권4호
    • /
    • pp.8-14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modeling mobile 3D game engine and suggesting modified skinned-mesh schema based on JSR-184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 terms of memory consumption and time complexity. Most of the 3D games have used OpenGL-ES low-level APls, which may limit portability and fast developing time. Hence, the 3D mobile game engine providing high-level APls which works on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hones on J2ME, is proposed here in order to optimize the performance for Java environment abiding JSR-184 standard. To prove performance enhancement, skinned-mesh schema on JSR-184 engine is modified and teste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3D Mobile Game에서의 Animation 활용사례연구 -Game [Fly to The Music]을 중심으로- (A Study Animation on 3D Mobile Game -With Game [Fly to The Music]-)

  • 김현;이남국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2-309
    • /
    • 2006
  • 우리는 게임과 애니메이션을 구분한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의 정의는 [움직이는 이미지]로서 게임 역시 조작 가능한 애니메이션의 또 다른 형태일 뿐이다. 실제 게임제작에서 애니메이션의 여러 원리 원칙 들이 더 적용되고, 더욱이 최근 많이 활성화 되고 있는 모바일 게임에서는 그 화면 크기 등 모바일의 특성으로 인해 더욱 더 애니메이션의 원리, 원칙이 강조되어 제작되고 있다. 이에 논자는 2006년 후반기 SKT에서 실제 서비스 예정인 모바일 3D 게임 [플라이 투더 뮤직]의 제작 과정을 위해 월트디즈니 스튜디오에서 나온 애니메이션 12 원칙의 적용에 대해 연구하고, 3D 모바일 게임 애니메이션 제작에서의 개발에 대해 일반 애니메이션과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 PDF

3D 모바일 게임용 저용량 3D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Low Storage Capacity of Character Animation for 3D Mobile Games)

  • 이지원;김태열;경병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07-114
    • /
    • 2005
  • 모바일 게임 환경은 하드웨어 폰(Phone)CPU처리 속도 향상, 3D 엔진 탑재, 가용량 메모리 확대 등으로 인하여 차세대 3D 모바일 게임 시장이 활발하게 떠오르고 있다. 최근 이러한 동향에 발맞추어 PS2(PlayStation2)나 온라인(Online)에서 인기를 얻은 3D 게임이 모바일 게임용으로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은 PC, 콘솔(Console)등의 다른 플랫폼에 비해 하드웨어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PC기반의 3D 게임을 작은 휴대폰으로 옮기는 것은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디스플레이 크기의 한계, 게임 콘텐츠 용량, 다른UI(User Interface)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 차원에서의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많은 제약 중에서 특히 게임 컨텐츠를 축소하여 저용량화 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3D 모바일 게임은 3D 캐릭터가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사실적이며 자유로운 애니메이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3D 모바일 게임에 적합하도록 저용량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제작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