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coupling

검색결과 779건 처리시간 0.031초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 안테나 타입에 따른 디지털 노이즈와 안테나의 결합 분석 (Analysis of Coupling Between Digital Noise and Portable Smart Terminal Antenna According to Antenna Types)

  • 김준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873-87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휴대단말기 안테나의 대표적 형태인 역 F 안테나(Inverted F Antenna, IFA)와 루프(Loop) 안테나에 따른 디지털 노이즈의 결합(coupling) 정도를 특성모드(characteristic mode)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우선, 안테나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특성모드 전류와 디지털 신호라인의 방향에 따른 결합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휴대단말기의 WiFi 안테나와 전방 카메라(front camera)의 결합에 대해서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서 카메라 모듈의 FPCB의 디지털 신호선과 그라운드 선을 PCB 그라운드의 특성 모드를 여기(excitation) 시키는 루프형 피더(feeder)로 모델링 했고, 안테나 타입(type)에 따른 노이즈 결합 변화에 대해서 분석을 했다.

Graded Index 광섬유의 Mode Coupling Coefficient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Mode Coupling Coefficient in Graded-Index Optical Fiber)

  • 이호준;김병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49-159
    • /
    • 1988
  • 本 論文에서는 모우드 파우어에 대한 結合 微分方程式 구하기 위하여 Fourier Transform이 使用되었고, phasor型態의 試圖解를 使用하여 세 개의 모우드 結合係數 方程式을 誘導하였다. 이 모우드 結合係數 理論은 다른著者들에 의해 제안된 理論을 包含한다. 또한 光源이 正弦函數에 의하여 變調되는 경우에도 이 式이 잘 適用됨을 알 수 있었다. 實驗에서 多 모우드 언덕型 屈折率 光纖維의 모우드 結合係數는 正弦函數로 變調된 光源을 使用함에 의하여 決定되었다.

  • PDF

Vibration-Rotation Coupling in a Quasilinear Symmetric Triatomic Molecule

  • Lee, Jae-Sh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3호
    • /
    • pp.228-236
    • /
    • 1994
  • The effect of the vibration mode coupling induced by the vibration-rotation interaction on total energy was investigated for the states with zero total angular momentum(J=0) in a quasilinear symmetric triatomic molecule of $AB_2$ type using a model potential function with a slight potential barrier to linearity. It is found that the coupling energy becomes larger for the levels of bend and asymmetric stretch modes and smaller for symmetric stretch mode as the excitation of the vibrational modes occurs. The results for the real molecule of $CH_2^+$, which is quasilinear, generally agree with the results for the model potential function in that common mode selective dependence of coupling energy is exhibited in both cas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for the model and real potential function in H-C-H system are analyzed and explained in terms of heavy mixing of the symmetric stretch and bend mode in excited vibrational states of the real molecule of $CH_2^+$. It is shown that the vibrational mode coupling in the potential energy function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broken nodal structure and chaotic behavior in highly excited levels of $CH_2^+$ for J= 0.

Polarization Mode Coupling Constants in Solid-State Lasers

  • 박종대;조창호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1-37
    • /
    • 2006
  • We have found that the polarization mode coupling between the orthogonally linearly polarized dual mode laser results from the anisotropy of dipole moments. Rate equ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igh anisotropy in dipole moment components can give rise to law intrinsic mode coupling constants while isotropic dipole moment components give high intrinsic mode coupling constant. The populations at active ion sites are shown to self-organize the populations such that laser mode gain is constant adove threshold while the gain contributions from the each site adjust themselves with pump power.

  • PDF

Quenched Fano effect due to one Majorana zero mode coupled to the Fano interferometer

  • Wang, Qi;Zhu, Yu-Lian
    • Current Applied Physics
    • /
    • 제18권11호
    • /
    • pp.1275-1279
    • /
    • 2018
  • We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Fano effect by considering one Majorana zero mode to couple laterally to the single-dot Fano interferometer. It is found that the Majorana zero mode quenches the Fano effect thoroughly and causes the conductance to be independent of the dot level, the dot-lead coupling, and the increase of the Majorana-dot coupling. As a result, the linear conductance becomes only related to the interlead coupling and the magnetic-flux phase factor. These results can be helpful for the detection of Majorana zero mode.

최적의 모드 결합을 얻기 위해 수정된 결합 영역을 갖는 전기광학 폴리머 디지탈 광스위치의 해석 (Analysis of electro-optic polymer digital optical switch with a coupling region modified for optimum mode coupling)

  • 이상신;신상영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4D권4호
    • /
    • pp.87-93
    • /
    • 1997
  • An electro-optic polymer digital optical switch with a coupling region modified for optimum mode coupling is proposed, and it is analyzed by using the beam propagation method combined with the effective index method. Its modified coupling region is adiabatically introduced along the propagation direction from the branching point of the two waveguides. The structure of the modified coupling region and its refractive index profiles are designed to optimize the mode coupling in the Y-branch waveguide. Therefor, the switching performance of the device may be enhanced with a fixed device length. It is confirmed from the numerical calculation that the drive voltage is reduced by more than 30 percents and te crosstalk is improved by about 8dB.

  • PDF

낮은 삽입손실을 갖는 소형 이중모드 공진기와 스위치 기능을 가진 여파기로의 응용 (Compact and Low Insertion Loss Dual-Mode Resonator and Its Applications for Switchable Filters)

  • 성영제;김보연;이건준;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01-31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공진기에 엇갈린 슬롯과 한 쌍의 spur-line을 삽입한 소형 이중모드(dual-mode)여파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여파기는 급전선과 공진기 사이에 존재하는 급전 갭(coupling gap)을 없앰으로써 삽입손실의 특성이 향상되었다. 엇갈린 슬롯만 가진 기존의 이중모드 여파기와 비교할 때, 엇갈린 슬롯과 spur-line을 동시에 갖는 이중모드 여파기는 이중모드 특성을 나타내는 섭동의 범위가 상당히 넓기 때문에 이중 모드 여파기의 설계가 용이해졌다. 또한, 제안된 구조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spur-line에 2개의 PIN다이오드를 삽입하여 개폐기 특성을 갖는 여파기로의 응용도 가능하였다. 또한 제안한 구조는 공진기에 삽입된 슬롯과 spur-line에 의해 전기적인 길이가 길어지므로 기존의 구조에 비해 34.7 %의 크기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부구조물 합성법을 이용한 슬라이딩 모드 해석 (Sliding Mode Analysis Using Substructure Synthesis Method)

  • 김대관;이민수;한재흥;고태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366-1371
    • /
    • 2006
  • A structural coupling method is developed for the dynamic analysis of a nonlinear structure with concentrated nonlinear hinge joints or sliding lines. Component mode synthesis method is extended to couple substructures and the nonlinear models. In order to verify the improved coupling method, a numerical plate model consisting of two substructures and torsional springs, is synthesized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its model parameters are compared with analysis data. Then the coupling method is applied to a three-substructure-model with the nonlinearity of sliding lines between the substructures. The coupled structural model is verified from its dynamic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d coupling method is adequate for the structural nonlinear analyses with the nonlinear hinge and sliding mode condition.

  • PDF

구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H-Plane 상호결합 (H-Plane Coupling Between Rectangular Microstrip antennas)

  • 고지환;조영기;손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6-52
    • /
    • 1985
  • 본 논문은 구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H-plane 상호결합에 관한 연구이다. 두 안테나의 상호결합을 계산하기 위해서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의 교사저항을 구하였으며 결합된 전송선로를 even mode와 add mode로 분발하여 각 mode의 특성저항와 실효 유전률을 계산하였다. 이로부터 자계적으로 결합된 안테나를 S-band 주파수에서 S-parameter를 구한 결과 이론치와 실험치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자계 결합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결합 계수 추출 방법 (Extraction Solution for the Coupling Coefficient at the Magnetically Coupl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김건영;이범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073-107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손실을 고려한 등가 회로 분석을 통하여 자계 결합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결합 계수 추출식을 유도하였다. 부하 저항을 고려한 유도된 추출식을 이용하여 결합 모드 이론을 이용한 기존의 추출식을 일반화시켰다. 따라서 우수/기수 모드 해석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측정 과정에서 쉽게 결합 계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EM 시뮬레이션에서 두 루프를 통과하는 자속의 비를 이용하여 구한 결합 계수와 유도된 추출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합 계수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자계 결합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정확한 결합 계수를 추출한다면, 시스템을 분석하고 최적화시키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