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 Pollution Index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생물지수를 이용한 북한강 수계에서의 생물학적 수질 평가 (biotic Indices as Assessment tools of Water Quality in the Han River System, Korea)

  • 정평림;정영헌;어성준;김재진;최선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59-770
    • /
    • 1998
  • biotic indices scoring with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assessed as pollution monitoring tools in the north branch of the Han River system, Korea.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at unpolluted, moderately polluted and heavily polluted sites using several biotic indices and assessed appropriate biological monitoring indices for lotic systems in Korea. The following biotic and chemical indices were employed in order to compare their applicability to the lotic systems : Trent Biotic Index (TBI), Chandler's Biotic Index-Average Score per Taxon (CBI-ASPT), Modified Biological Monitoring Working Party Score System-Average Score per Taxon (BMWP-ASPT), Hilsenhoff's biotic Index (BI) and Family-level Biotic Index (FBI) models for biotic analyses and 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s Water Quality Index (NSFWQI) and comprehensive Chemical Pollution Index (Pb/n) for chemical analyses of water quality. Index and score valu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with 24 water chemistry parameters. All biotic indices were significantly auto-correlated (p<0.001) and BI and FBI/ROK among them were highly correlated (r=0.84). BI and BMWP-ASPT models were also highly correlated with NSFWQI, while TBI value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Pb/n. The BI and BMWP-ASP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most water chemistry parameters. We conclude that the BI model, which includes indicator species and abundance of taxa, is best suited for the bioassessment of lotic systems in Korea. For rapid field-based assessments, FBI/ROK and BMWP-ASPT models are also appropriate.

  • PDF

Modelling CO2 and NOx on signalized roundabout using modified adaptive neural fuzzy inference system model

  • Sulaiman, Ghassan;Younes, Mohammad K.;Al-Dulaimi, Ghassan A.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07-113
    • /
    • 2018
  • Air quality and pollution have recently become a major concern; vehicle emissions significantly pollute the air, especially in large and crowded cities.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vehicle emissions;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CO_2$ and $NO_x$ emissions using Adaptive Neural Fuzzy Inference System (ANFIS) as well as a systematic approach. The modified ANFIS (MANFIS) was developed to enhance modelling and Root Mean Square Error was used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percentages of $CO_2$ from trucks represent the best input combination to model. While for $NO_x$ modelling, the best pair combination is the vehicle delay and percentage of heavy trucks. However, the final MANFIS structure involves two inputs, three membership functions and nine rules. For $CO_2$ modelling the triangular membership function is the best, while for $NO_x$ the membership function is two-sided Gaussian.

오염원 인근 토양 중 베릴륨(Be), 코발트(Co), 탈륨(Tl), 바나듐(V)의 농도분포 및 오염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the Contamination Influences for Beryllium, Cobalt, Thallium and Vanadium in Soil Around the Contaminated Sources)

  • 이홍길;노회정;윤정기;임종환;임가희;김현구;김지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4호
    • /
    • pp.48-59
    • /
    • 2018
  • Beryllium (Be), cobalt (Co), thallium (Tl) and vanadium (V) are candidates of 21 priority soil pollutants in Korea. The distribution of their concentration in soils from three contamination sources including industrial, roadside and mining areas was investigated. Concentrations of the metals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using pollution indices and the fractionation of metals was conducted using modified SM&T (Standards Measurements and Testing programme) sequential extraction. Concentrations of the metals for all samples from industrial and roadside soils were within the range of natural background levels, while some of Be in soils from abandoned mines exceeded that the range. Enrichment Factor (EF) and Nemerow Integrated Pollution Index (NIPI) for Be, Co, Tl and V showed that there are effects or possibilities of anthropogenic activities. Pollution Load Index (PLI) analyses indicated all investigated sites needed further monitoring. The results of sequential extractions indicated mobile fractions (F1+F2) of Be, Tl and V were below 30% except some of Co in soil, which implies their low mobility to neighboring environment media. Variable tools like sequential extraction, comparison with background/actual concentration and pollution indices, as well as aqua regia extrac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Be, Co, Tl, V in soil.

농촌지역 지하수의 오염 예측 방법 개선방안 연구: 충남 금산 지역에의 적용 (A Study of Improvement for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Pollution in Rural Area: Application in Keumsan, Korea)

  • 정범근;채기탁;고동찬;고경석;구민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4호
    • /
    • pp.40-53
    • /
    • 2008
  • 지하수의 오염 예측 기법의 개선을 위하여 미국 환경청(U.S. EPA)에서 개발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방법인 DRASTIC 모델(Aller et al., 1987), Panagopoulos et al.(2006)가 제안한 M-DRASTIC, Rupert(1999)가 제안한 LSDG 방법을 충남 금산 지역에 적용하였다. 충남 금산 지역은 농업을 비롯한 다양한 토지이용 특성과 아울러 다양한 지질, 지형, 토양 분포를 나타내어 지하수 오염예측 기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DRASTIC 평가를 위하여 149개의 충적층 관정에 대한 수질 및 수리지질 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지하수의 질산염 이온의 농도와 각 예측 방법으로부터 도출된 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예측방법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EPA DRASTIC은 지하수 심도, 순 충진량, 대수층 매질, 토양 매질, 지형 경사, 비포화대 매질, 수리전도도 등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지하수의 잠재오염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지하수 오염을 예측하는데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 결과, 관정 주변 150 m 영역의 DRASTIC 지수와 해당 관정의 질산염 이온 농도의 상관관계는 0.058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M-DRASTIC의 경우 DRASTIC과 사용하는 인자는 같으나 등급과 가중치를 실제 질산염 이온 농도의 비율로부터 산출한다. 등급만을 수정하였을 경우 0.245, 등급과 가중치를 모두 수정하였을 경우 질산염 이온 농도와의 상관관계는 0.400로 지하수 오염 예측율이 개선되었다. LSDG 방법은 토지이용(Land use), 토양 배수(Soil drainage), 지하수면 심도(Depth to water), 지질(Geology)를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고 해당 지역의 질산염 이온 농도 평균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등급을 산정하는 기법으로, 금산 지역에 적용한 결과 질산염 이온 농도와의 상관관계가 0.415로 개선되었다. 결과적으로 LSDG를 적용하였을 경우 EPA DRASTIC 보다 질산염 이온 농도와의 상관관계가 0.357만큼 개선되었다. M-DRASTIC과 LSDG의 예측율이 증가하는 것은, 이 방법들의 등급과 가중치에는 현재의 오염현황이 반영되기 때문으로 질산염 이온 오염 가능성을 귀납적으로 예측하기 때문이다. LSDG의 예측율이 가장 높은 이유는 LSDG에는 잠재오염원으로 분류되는 토지이용이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연안역 저서동물의 종조성을 이용한 환경평가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Macroinfaunal Compositions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 이재학;고병설;박흥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71-781
    • /
    • 1997
  • 연안역의 환경을 오염이란 관점에서 가장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평가 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인천연안역을 대상으로 저서동물군집을 이용한 환경평가 방법인 종-개체수-생물량곡선 (SAB), 순위-빈도 곡선 (RFD), 개체수-생물량 비교법 (ABC), 대수-정규 분포 곡선 (LND), 내서 동물 식성지수를 응용한 저서 오염 지수 (BPI)에 적용하여 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래프를 이용한 평가방법은 환경상태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충분한 생물자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또는 세부적으로 비교${\cdot}$분석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저서오염지수에 의하면 정점간의 비교가 가능하였으며, 집괴분석의 결과에서 얻을 수 없는 출현종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오염의 정도나 경로까지 추적할 수 있었다. 여러 환경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천연안역은 외해역 보다는 영종도 북동쪽 해역이 다소 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인천항이 오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자원의 수질과 오염에 대한 기반암의 영향 연구 : 통계학적 접근 (The Effects of Bed-rock Formations on 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 Statistical Approaches)

  • 이병선;우남칠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15-429
    • /
    • 2003
  • 이 연구는 충북 미원면 일대 옥천대 흑색셰일 분포지의 상부 화전리층과 구룡산층 지역에서 기반암의 종류에 따른 수질과 오염특성의 변화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배경수질은 상부 화전리층 지역 시료에서는 주로 (Ca, Mg)-$HCO_3$ 유형이, 구룡산층 지역 시료에서는 $SO_4$의 상대적인 부화로 인하여, 주로 (Ca, Mg)-$SO_4$, (Ca, Mg)-$HCO_3$ 유형이 나타났다. 지하수 시료의 경우, 상부 화전리층 시료에서는 탄산염 및 규산염 광물의 풍화가, 구룡산층 시료에서는 규산염 광물의 풍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천수 시료의 경우도 대부분 물-암석 반응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의 결과, 지하수 시료는 크게 3그룹으로, 하천수 시료는 크게 4그룹으로 분류된다. 요인분석의 결과, 물 시료내의 각각의 화학원소의 함량은 주로 자연적인 풍화의 요인과 일부 인위적인 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형된 오염지수(M.R.I.)를 사용하여 연구지역의 수질오염을 살펴본 결과 -0.08∼0.18 사이로 나타나며, 주로 구룡산층 채석장 지역 시료에서 0이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도입된 변형된 오염지수는 앞으로 수질 오염 예측 및 관리자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시화호 환경평가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Shihwa Lake by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

  • 이재학;박자양;이형곤;박흥식;김동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83-200
    • /
    • 2003
  • 저서생물의 유기물 오염에 대한 반응 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주는 저서오염지수(Benthic Pollution Index)를 근거로 시화지구 폐쇄해역의 환경오염 및 생태계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동일시기의 저서생물 군집의 평균서식밀도 및 출현종 변화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효율성을 타진함으로써, BPI 산출비교 방식을 향후 환경감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염도 감식방법으로의 하나로 제안하였다. 시화 부근해역의 폐쇄 이전인 1980년 외해수화의 접촉이 원활하던 시기와, 1994년 초 시화방조제의 마지막 물막이 공사 이후 해역이 완전 폐쇄되었던 시기, 그리고 1997년 7월부터 1999년 하반기까지 방류량의 연차별 차등을 두고 정기적으로 외해수의 유통이 재개된 시기 등 세 시기별 생태계 변화추이를 동일지점에서 수행된 저서 생태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정점별 BPI등급을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1994년 2월의 시화방조제 완공이후 육지에서 가까운 좁은 내만 지역으로부터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한 폐쇄해역의 생태환경은, 1995년에는 시화호의 중심부만을 제외한 폐쇄해역 주변부를 따라 오염이 진행되었고, 1996년으로 접어들자 폐쇄해역의 전역에 걸쳐 매우 낮은 BPI지수가 나타남으로써 심각한 오염 확산이 확인되었다. 배수갑문의 시험개방 직후인 1997년에는 여전히 매우 높은 오염도를 보였고, 증가된 방류량과 더불어 상시개방이 시행된 시기 이후인 1998년에 들어 방조제 부근으로부터 BPI지수에 점진적인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999년으로 접어들면서 내만 깊숙한 지역을 제외하고 방조제 가까운 방향의 폐쇄해역에서 BPI등급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외해수 유출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각 시기의 저서생물 군집분석결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저서오염지수(BPI) 산출방식과 유의한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환경평가 방법의 하나로 저서오염지수(BPI)산출방식의 효율성을 뒷받침 해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도시주거지역 도로교통소음 평가에 있어서 청감실험의 이용에 관한 연구 (The Use of Psycho-Acoustic Method on the Evaluation of the Road Traffic Noise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 국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3-48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ic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laboratory setting psycho-acoustic experiment compared with the field and to delineate the appropriate indices in evaluating the Noisiness of road traffic noise by means of psycho-acoustic method. Reviewing the typical patterns of traffic noises depending upon the shapes ad conditions of the road, the road traffic noises in several representative points in the major residential areas in Kwangju city were recorded and reproduced with the noise levels modified in various steps. With these 20 sound sources, psycho-acoustic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were performed on 11 volunteer subjects. And then, psycho-acoustic experiments in the real field were performed on 10 volunteer subject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elicited the data well matching with those obtained in the field, resulting in even higher corelation levels. This indicates that the field assessement of responses to the noise can be replaced by the evaluatioin in the laboratory settings which render many variables easily controlled and that the responses of the residents to the noise can be easily predicted in the laboratory by applying this method. 2. Also among the complex indices, such as Noise Pollution Level or Annoyance Index high correlations were detected. On the other hand, low corelations were noted among Traffic Noise Index. 3.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direct indices such as Leq, L\sub 10\, On the other hand, low correlations were detected among L\sub 50\.

  • PDF

Dissolved Organic Matters Characteristics in Freshwater

  • Park, Je-Chul;Oh, Young-Taek;Bae, Sang-Deuk;Ryu, Dong-Kyeong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26-2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mc matters based on their origins. The dissolved organic carbon(DOC) represents an index for dissolved organic matter and basically regarded as a source of organic pollution. The monthly variations and vertical profiles of dissolved organic carbon(DOC) in Kumoh reservoir were surveyed from May 2001 to April 2002. In addition, other areas such as river, reservoir,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were also surveyed in summer 2001. Kumoh reservoir was divided with depth into three layers .: epilimnion, metalimnion and hypolimnion. The proportion of total DOC(T-DOC) was classified by labile DOC(L-DOC) and refractory DOC(R-DOC) on the basis of long-term incubation. DOC of freshwater and Kumoh reservoir was ranged to be 1.6~4.1 mgC/L and 2.1~4.0 mgC/L, respectively. L-DOC accounted for 3~30% of DOC from watershed. Therefore,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R-DOC) was major component of DOC in the watershed. The decomposition rate(k) ranged from 0.008 $d^{-1}$ to 0.083 $d^{-1}$ in Kumoh reservoir. The highest decomposition rate(k) was observed at River Hoein III freshwater. Therefore, modified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is needed to be appli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issolved organic matter.

  • PDF

개선된 DRASTIC 기법을 이용한 터널굴착 예정지역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 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evaluation technique by improving DRASTIC Index for a tunnel excavation area)

  • 박준경;박영진;위용곤;최영태;이한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71-88
    • /
    • 2003
  • 지하수 오염에 대한 광역적인 취약성 평가를 위한 DRASTIC 시스템은 미국 EPA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지하수위, 충진률, 대수층매체, 토양매체, 지형경사, 비포화대매체, 수리전도도등 수리지질학적 요소들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법을 활용하여 기본 DRASTIC 모델에 구조선 밀도, 토지이용, 터널굴착으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의 영향을 추가한 변형된 DRASTIC 모델을 개발하고 ${\bigcirc}{\bigcirc}$지역의 터널굴착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인자별 벡터 레이어를 격자레이어로 전환하고 각 인자별 상관계수, 3방향의 주성분분석에 의한 공분산, 고유치, 고유벡터 등을 구하여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DRASTIC 레이어와 구조선 밀도 레이어, 토지이용 레이어, 터널굴착영향 레이어간의 상관계수를 각각 구하고, 이를 각각의 가중치로 적용하여 최종적인 변형된 DRASTIC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변형된 DRASTIC 모델을 사용한 결과 일반적인 DRASTIC 모델에 비해 오염 가능지역이 많이 세분화되었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오염가능성이 높은 취약지역을 구체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