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hloramin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상수관망에서 Chlorite-Monochloramine 소독제를 이용한 질산화 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의 제어 (Combined Chlorite-Monochloramin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Nitrifying and Heterotrophic Bacteria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 박세근;김영관;최성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1-3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종속영양세균을 포함한 세균 생물막에 대한 chlorite ($0.66{\pm}0.01mg/L$)의 영향을 monochloramine ($1.77{\pm}0.03mg/L$)의 존재 유무에 따른 조건에서 알아보았다. Chlorite 단독 또는 monochloramine과 함께 적용한 경우에서 공히 생물막과 물 시료에 존재하는 암모니아 산화세균은 검출한계($0.6MPN/cm^2$ and 0.2 MPN/ml)에 근접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chlorite/monochloramine으로 함께 첨가했을 때의 저해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종속영양세균의 경우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달리 chlorite에 의한 저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chlorite/monochloramine으로 적용한 경우 생물막과 물 시료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 수는 대조군 대비 각각 3.1 log와 3.0 log 감소하는 상당한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관망에 형성된 생물막에 존재하는 질산화 세균과 종속영양세균에 대한 효과적 제어방법중의 하나로 chlorite와 monochloramine 혼합사용의 성공적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다양한 항목에 따른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비교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2-1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처리에서 모노클로라민을 주입 할 경우 살균 부산물로 NDMA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pH, 디메칠아민 및 모노클로라민 농도, 질소비율의 변화에 따른 NDMA 생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디메칠아민 농도를 0.01 mM또는 0.05 mM로 고정시킨 조건에서 모노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따라 NDMA 생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DMA 생성 농도는 일반적으로 pH와 모노클로라민에 존재하는 질소비율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나는 상관성을 보여 주었으며, pH 7과 8에서는 디메칠아민을 5배 증가시킨 결과 거의 모든 조건에서 NDMA 생성도 5배 이상 증가하였다. 수 처리장에서 염소살균 결과 모노클로라민이 존재 할 경우 NDMA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속성 응집제와 모노클로라민의 상호작용이 Polyamide계 RO막 성능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s of Metal Coagulants and Monochloramine on Polyamide RO Membrane Performance)

  • 김경화;홍승관;박찬혁;윤성로;홍성표;이종화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37-643
    • /
    • 2006
  • The bench-scale chlorine exposur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by free chlorine and monochloramine ($NH_2Cl$) on the performance of RO membranes made of polyamide (PA). Feed monochloramination at 2mg/L did not cause significant productivity loss compared to free chlorine. However, metal coagulants reacted with monochloramine, the PA membrane suffered from a gradual loss of membrane integrity by chlorine oxidation, which was characterized as a decrease in salt rejection. Especially, RO membranes exposed to alum coagulants with monochloramine revealed the salt rejection lower than those exposed to iron coagulants. XPS membrane surfac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hlorine uptake on the membrane surface increased and carbon peaks were shifted significantly when exposed to alum coagulants with monochloramine.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에서의 생물막의 CLPP (CLPP of Biofilm in Free Chlorine Residual and Monochloramine)

  • 이동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7-151
    • /
    • 2005
  • The disinfection effect of free residual chlorine and monochloramine on biofilm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by CLPP (community level physiology profile) using Biolog GN plates. Low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0.5\;mg/\iota$ free chlorine and $1.0\;mg/\iota$ monochloramine, stimulated the growth of bacteria rather than disinfection. Bacterial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at more than $1.0\;mg/\iota$ of disinfectants. CLPP was different with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and sampling time. Common and different carbon sources were actively used with similar bacterial concentration in free chlorine and monochloramine. This represents the differences of bacterial communities with tap water contact times and disinfectant.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한 염소 및 Monochloramine의 살균효과 (Disinfection Effects of Chlorine and Monochloramine on Campylobacter jejuni)

  • 윤만석;오학식;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9-544
    • /
    • 1989
  • 인체에 설사질환을 일으키는 Campylobacter jejuni에 대하여 염소 및 monochlorarmine의 살균효과를 측정하고 세포의 구조형태 및 단백질과 DNA에 대한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과 전기영동방법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0.5mg/l의 염소용액에서 15분간 처리했을 때에는 쉽게 6 log가 사멸되었다. 그리고 염소용액의 pH가 4.5에서 7.0, 10.0으로 높아짐에 따라 C. jejuni에 대한 염소의 살균효과는 점점 떨어졌다. 또한 monochloramine의 경우 0.5와 1.0mg/l에서 60분간 처리했을 경우 각각 2와 7 log의 세균이 사멸되었다. 살균제로 처리된 C. jejuni들은나선간균의 형태가 모두 구형으로 변하면서 세포표면의 파괴와 용균현상이 일어났고 서로 엉켜져 있는 예가 많았다. 그 효과는 사멸효과의 경우에서와 같이 monochloramine보다 염소처리군에서 더 심하였다. 살균제로 처리된 C. jejuni의 단백질과 DNA는 정상세포의 것에 비하여 전기영동상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260nm에서의 흡광도도 감소하였다. 특히 염소처리된 세포의 단백질과 DNA는 처리한 염소농도에 비례하여 큰 차이를 나타냈다.

  • PDF

모형 수도관에서 염소와 모노클로라민에 의한 생물막 제거 특성 비교 (Comparison of Biofilm Removal Characteristics by Chlorine and Monochloramine in Simulated Drinking Water Distribution Pipe)

  • 박세근;최성찬;김영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6-3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을 이용하여 생물막이 제거되는 특성을 알아보았다. 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을 0.5, 1.0, 2.0 mg/L의 농도로 잔류시킨 수돗물을 생물막이 형성되어 있는 모형 수도관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관 표면으로부터 부착성 HPC와 biomass를 측정하였다. 염소는 생물막을 구성하는 미생물의 비활성화와 표면으로부터 생물막 matrix를 제거하는데 높은 효과를 나타낸 반면에 모노클로라민은 생물막 matrix를 제거하는데 염소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나타냈다. 특히 모노클로라민을 이용한 소독 처리에서는 세균과 EPS가 결합된 생물막 matrix가 관 표면으로부터 대부분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였다. 비록 2.0 mg/L의 잔류염소가 생물막 제거에 높은 효과를 보였지만, 관 표면에는 여전히 낮은 수준(<10 $CFU/cm^2$ as 부착성 HPC, <5 ${\mu}g/cm^2$ as biomass)의 생물막이 잔류하고 있었다. 생물막의 제거 특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biomass의 측정이 효과적인 수단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노클로라민과 디메틸아민 농도가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chloramine and Dimethylamine Concentrations on the NDMA Formation)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55-759
    • /
    • 2008
  • 모노클로라민과 디메틸아민 농도와 관련 있는 염소, 질소, 탄소 비율에 따라서 소독부산물인 NDMA 생성을 여러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디메틸아민/모노클로라민 비율이 1에 근접 할 경우에 NDMA 생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주 작거나 너무 클 경우 생성은 급속하게 감소하였다. 염소/질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NDMA 생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염소 성분이 생성에 중요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접촉시간에 따른 NDMA 생성 영향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72시간에서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pH는 NDMA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조사되었다.

상하수에서 N-Nitrosodimethylamine (NDMA) 발생 및 처리법 비교 분석 (Formation and Treatment Methods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Water and Wastewater)

  • 김종오;이우범;박수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5-101
    • /
    • 2014
  • Overall studies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nd treatment method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occurrence in several countries and emerging treatment technologies of NDMA were generally reviewed. The NDMA formation was dependent on pH, contact time, and molar ratio (monochloramine/dimethylamine). The formation was rapidly increased when the molar ratio was greater than 1. It was likely that monochloramine could be related to stimulate NDMA formation. NDMA concentrations in water supply and wastewater plants after disinfection were approximately 10 ng/L and 100 ng/L, respectively. UV oxid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are regarded as effective technologies for the NDMA removal. It is suggested that the UV oxidation with proper lamps is applied in water supply system.

NH2Cl 사용으로 인한 RO 막의 성능 향상 (Effect of Feed Monochloramination on Performance of RO Membranes)

  • 홍승관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2-317
    • /
    • 2005
  • The 15 month pilo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by monochloramine ($NH_2Cl$) on the performance of RO membranes made of cellulose acetate (CA) and polyamide (PA). Both RO membranes experienced severe biological fouling without any pretreatment during the treatment of highly organic surface water in Florida, USA. Feed monochloramination at 5 mg/L significantly minimized productivity loss by effective control of biofouling. The CA membrane did not show any structural damages by monochloramine, while the PA membrane suffered from a gradual loss of membrane integrity by chlorine oxidation, which was characterized as an increase in productivity and a decrease in selectivity. The degradation of PA membrane increased with increasing monochloramine dose.

천연유기물과 모노클로라민의 반응시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 (Formation of Organic Chloramines during Monochloramina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s)

  • 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04-608
    • /
    • 2014
  • 천연유기물질(NOM)과 모노클로라민이 반응할 때 NOM내 용존유기질소(DON)가 유기성 클로라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16가지 NOM의 용존유기탄소(DOC)에 대한 DON의 비(DOC/DON)는 7~47 mg-C/mg-N이었다. NOM 용액의 모노클로라민 반응시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 농도는 24시간 후에 최대치(평균값 $0.16mg-Cl_2/mg-N$)로 염소반응에 비하여 유기성 클로라민의 생성량은 적었으나, 분해되어 감소되는 속도는 낮아 반응 120시간 후에 최대치 대비 평균 56% 감소되었다. NOM내 DON의 함유비가 높은 경우(DOC/DON 비가 낮은 경우)에 유기성 클로라민의 생성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소수성, 친수성, 중간성, 콜로이드성 등 NOM의 특성에 따른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량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모노클로라민의 주입량을 증가시킬수록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R^2=0.91$), 주입된 모노클로라민 중 6%가 유기성 클로라민으로 전환되어 모노클로라민 소독시 유기성 클로라민 형성에 의한 소독능 저하는 크게 우려할 바는 아닐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