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물달개비의 생물학적 방제인자 물달개비바구미의 생활사 및 기주특이성 (Life Cycle and Host Specificity of Tanysphyrus (Tanysphyroides) major Roelofs (Coleoptera : Curculionidae), a Possible Candidate Agen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 박진영;박재읍;이인용;권오석;박종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3-111
    • /
    • 2011
  • 물달개비는 한국의 논에서 문제되는 난방제 잡초중의 하나이다. 물달개비의 생물학적 방제 인자로 물달개비바구미를 선발하였다.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하기 위해 2006년과 2007년 계대사육을 실시하여 형태적, 생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 종은 1년에 한세대만 경과하며 성충으로 월동하고, 성충은 6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한다. 물달개비바구미는 알에서 성충까지 $22{\pm}0.7$일이 소요된다. 주요 농작물과 수생식물 60종을 대상으로 기주특이성을 조사 결과 물달개비의 생물학적 방제 곤충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휴경논이 식생유형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Vegetation Types and Soil Environment as Affected by Fallow Paddy)

  • 오영주;이병모;손수인;이용기;남홍식;이상범;강충길;지형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5-411
    • /
    • 2010
  • 휴경논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2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휴경논 식생조사 결과 1아군집, 5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고마리군집(Polygonetum thunbergii Lohm. et Miyawaki 1962)의 고마리전형아군집, 골풀군락, 갈대군락, 물달개비군락, 사마귀풀군락, 부들군락. 요인분석에서 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마귀풀군락과 물달개비군락은 토양 전질소와 음의 상관관계, 갈대군락과 고마리아군집은 토양 pH가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규 수도용 제초제 Metazosulfuron입제의 생물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 Paddy Field Herbicide Metazosulfuron Granule for Paddy Wee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이창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8-312
    • /
    • 2011
  • 메타조설퓨론(metazosulfuron)은 기계이앙벼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방제약제로서 이앙 후 15일에 ha당 30kg 사용토록 농약품목등록 예정이다. 예비시험 결과, 방제가능 일년생잡초로는 피, 가막사리, 여뀌바늘, 물달개비 등 7초종, 다년생잡초로는 너도방동사니, 벗풀,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등 4초종이다.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잡초인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및 올 챙이고랭이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처리적기 폭이 넓어 제초제 살포시기를 살포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벼 품종에 대한 약해도 없었다.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충남 미호천 일대 약용식물의 생태적 분포 (Ecolog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in Miho Stream, Korea)

  • 송홍선;서정석;남윤규;안영섭;박충범;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07-413
    • /
    • 2011
  • This study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to evaluate ecolog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in Miho Stream of Korea. Totality 463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appeared in lower part of Miho Stream. Medicinal plants were distributed 253 taxa, which were 54.6%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appeared. Medicinal plants of official drug compendium(Korean pharmacopoeia) were 85 taxa. Medicinal plants were distributed most of the forest area, and followed field surrounding, stream surrounding and paddy surrounding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life form hemicryptophyte was the most frequent. Plant community of appearing area of medicinal plants was classified into Salix koreensis, Phragmites japonica, Echinochloa crusgalli, Artemisia seleng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Setaria faberii, Panicum dichotomiflorum, Bidens frondosa, Humulus japonicus,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Eleocharis kuroguwai, Erigeron acris,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Quercus acutissima, Quercus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nd Castanea crenata community. Medicinal plants in plant communities that occur frequently were Humulus japonicus, Corylus heterophylla and Liriope spicata.

전주 오송제, 오공제, 신용제, 어두제 소류지의 관속식물상과 훼손실태 (Vascular Plants and Deterioration Status of Osongjae, Ogongjae, Shinyongjae and Eodujae Reservoir in Jeonju)

  • 변무섭;오현경;김재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35
    • /
    • 2006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was listed 384 taxa of 90 families, 234 genera, 331 species, 1 subspecies, 45 varieties and 7 forms. The flora of each reservoir, 285 taxa of 83 families, 190 genera, 247 species, 1 subspecies, 30 varieties, 7 forms in Osongjae, 117 taxa of 39 families, 87 genera, 100 species, 17 varieties in Ogongjae, 83 taxa of 30 families, 67 genera, 73 species, 8 varieties, 2 forms in Shinyongjae and 86 taxa of 33families, 70 genera, 75 species, 1 subspecies, 10 varieties in Eodujae.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Magnolia kobus (Preservation priority order : No. 187), Penthorum chinense (No. 144), Prunus yedoensis (No. 110)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were recorded; Populus tomentiglandulosa, Clematis trichotoma, Prunus yedoensis, Paulownia corean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5 taxa; Prunus yedoensis in class V, 2 taxa (Carex idzuroei, Magnolia kobus) in class IV, 2 taxa (Monochoria korsakowi, Poncirus trifoliata ) in class III, 10 taxa (Sagittaria aginashi, Salix glandulosa, Clematis brachyura, Nymphoides peltat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29 genera, 43 species, 1 varieties, 4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1.5% and based on the list of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 Paspalum distichum,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The hydrophytes was listed 31 taxa of 15 families, 20 genera, 29 species, 2 varieties and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Penthorum chinense, Soirodela polyrhiza were recorded in Osongjae, Sagittaria aginashi, Eleocharis kuroguwai, Scirpus juncoides, Scirpus triqueter, Monochoria korsakowi,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were recorded in Ogongjae. Besides, Scirpus fluviatilis, Trapa pseudoincisa were recorded in Shinyongjae and Scirpus triangulatus, Nymphoides peltata, Myriophyllum verticillatum were recorded in Eodujae. This site is located in the urban area and ecosystem-disturbing wild animal and plant has been imported here, therefore ecosystem has been disturbed more and more. The wetland here rapidly has changed into upland, so it needs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경북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 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12
    • /
    • 2014
  •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의 논잡초 조사결과, 27개과(family) 51초종(species)이었고 과별로는 벼과(family) 9초종, 사초과(family) 5초종, 마디풀과(family) 4초종, 국화과(family) 4초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지역별 및 농업기후지대별 논잡초 발생상황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by Regions and Agro-Climatic Zonal in Paddy Fields of Korea)

  • 이인용;오영주;박중수;최준근;김은정;박기웅;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김창석;이정란;서현아;김환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1-20
    • /
    • 2017
  • 우리나라 논에는 28과 90종의 논잡초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을 8개 지역별, 19개 농업기후지대별로 구분하여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경기지역에는 20과 52종, 강원지역은 17과 37종. 충북지역은 15과 41종, 충남지역은 12과 21종, 전북지역은 13과 24종, 전남지역은 21과 54종, 경북지역은 20과 36종, 경남지역은 16과 32종이 발생하였다. 과별로 보면, 화본과 > 방동사니과 > 국화과 등으로 순이었고, 지역간에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피속류,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 등이 우점하였다. 태백준고냉지대에서 14과 31종부터 동해안남부지대의 16과 25종까지 18개(태백고냉지대 제외) 기후지대별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피속류,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순으로 발생되었다. 과별로는 방동사니과 > 화본과 > 국화과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지역별 및 기후지대별 잡초발생 상황의 차이는 지역적인 개념보다 여러 가지 기상요건에 의한 것이 크게 좌우되었고, 거기에 수반되는 재배양식 변화 그리고 제초제 사용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검정법에 의한 전남지역 논잡초 발생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분포 (Occurrence Patterns of Paddy Weeds and Distribution of Resistant Weeds to an ALS Inhibiting Herbicide in Jeonnam by a Soil Assay Method)

  • 정장용;윤영범;장세지;현규환;신동영;이정란;권오도;국용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191-199
    • /
    • 2018
  • 본 연구는 토양검정법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잡초발생 양상과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여부 검증 및 저항성 잡초 발생 논면적을 예측하고자 수행하였다. 2017년 전남지역 358 필지에서 채취한 토양에 발생한 잡초의 경우 생활사별로 분류한 경우 일년생 96.1%와 다년생 3.9% 발생하였고, 형태적으로 분류한 경우 광엽잡초 59.0%, 사초과 28.3%, 화본과 12.7% 순으로 발생하였다. 비록 전남에서도 시 군별 논잡초 발생 초종수와 초종별 발생율에 차이가 있으나 미국외풀, 물달개비, 여뀌바늘,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논피, 물피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남지역에서는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미국외풀, 여뀌바늘, 물피, 논피 7초종이 발생하였다. 비록 전남 시 군별 ALS 저해제 제초제 저항성 잡초 초종수와 발생율은 다르나 이중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는 광주광역시를 비롯한 전남 23개 시 군에서 발생하였다. 전남지역의 ALS 저해제 저항성 발생율(51.5%)에 기초한 저항성 논잡초 발생 논면적는 91,543 ha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효율적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