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es of OCB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별 수행동기 비교 (Motiv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comparison between OCBO & OCBI)

  • 김경석;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99-713
    • /
    • 2013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OCBI에 비해 OCBO의 수행동기는 보다 복잡 미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조직을 표적으로 한 OCBO의 경우가 동료들을 표적으로 한 OCBI에 비해 훨씬 다양한 수행동기들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OCBO와 OCBI는 서로 유사한 동시에 서로 상이한 수행동기들을 지니고 있다. 즉 사회심리기반 및 회피기반의 유사한 수행동기들이 발견되는 반면 OCBO의 의무기반 및 가치기반 대 OCBI의 기질기반이라는 상이한 수행동기들도 발견된다. 셋째, 기존의 수단기반형은 OCBO 및 OCBI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한다 해도 본 연구에선 반복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넷째, P표본 간 일치진술문들에 있어서도 전반OCB를 고려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진술문들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전반OCB가 아닌 OCB의 하위차원들을 각기 고려할 때 좀 더 적확한 수행동기유형들을 도출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각 하위차원들이 서로 구별되는 독특한 본질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이는 OCBO 및 OCBI 양자 간의 차이점을 일관성 있게 지적해 온 기존연구들의 주장에 부합하는 연구결과라 할 것이며, Q방법론은 이러한 OCB 각 하위차원들간의 독특성을 확인해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론이 된다 할 것이다.

조직시민행동(OCB)의 수행동기: Q방법론의 적용 (Motive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Application of Q-methodology)

  • 김경석;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00-4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들이 OCB의 선행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해 오고 있음에도, 환원주의적 회귀모형 혹은 이변량적 접근에 치중함으로써, 그 수행동기를 충분히 설명해 내지는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착안하고 있다. OCB는 본질적으로 지극히 주관적이고, 가변적인 속성을 띠기에, 구성원들이 자신의 관점과 입장에서 OCB를 어떻게 인식 및 해석하고 또 수행하는 지를 탐구할 필요가 제기되는 바, 그 속성상 이에 매우 부합하는 특성을 지닌 Q방법론을 적용하며, 두 가지 연구과제, 즉, 첫째, OCB의 수행동기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유형을 파악하고, 둘째, 파악된 인식유형별로 그 구체적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17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4가지 유형의 OCB수행의 주관적 동기가 도출되고 있는 바, 각기 그 특징에 부합하도록 규범기반형, 수단기반형, 기질기반형, 그리고 회피기반형이라는 명칭들을 부여하였다. 이 유형들은 대부분 기존연구들에서 이론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OCB의 수행동기들에 부합하는 특징 들을 드러냄과 동시에, 서로 분명하게 구분되는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어 매우 흥미롭다. 한편 본 연구에서 회피기반형이라 명명된 마지막 유형의 경우에는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전혀 논의된 바 없는 OCB의 새로운 수행동기유형으로서, 차후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것인데, 이는 가설생성적인 Q방법론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