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th breath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대사성 산증, 기도저항 변화 및 미주신경 절단이 구호흡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ETABOLIC ACIDOSIS, AIRWAY RESISTANCE AND VAGOTOMY ON THE DEVELOPMENT OF MOUTH BREATHING)

  • 손우성;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9
    • /
    • 1990
  • Respi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which are carried out in stomatognathic system. When nasal orifice is obstructed or the resistance of upper airway is increased mouth breathing is initiated. Mouth breathing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tiologic factor of dentofacial anomalie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influences of metabolic acidosis, tracheal resistance and vagotomy on mouth breathing. After rabbits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a pair of wire electrode was inserted into mylohyoid muscle,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and dilator naris muscle to record EMG activity. Femoral vein and artery were cannulated for infusion of 0.3N HCl and collection of blood sample to determine the blood pH, and tracheal intubation was done to control airway resistance. Mouth breathing was induced by metabolic acidosis. Increase of the airway resistance through tracheal cannula intensified the activity of dilator naris, mylohyoid and digastric muscle. The higher the resistance, the larger the EMG amplitude. After bilateral vagotomy, respiratory volume and inspiatory time were increased and the activities of dilator naris, mylohyoid and digastric muscle were strengthened. It was concluded that the muscle activity related to mouth breathing was induced by metabolic acidosis and increase of tracheal tube resistance.

  • PDF

구호흡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와 상기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Upper Airway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with Mouth Breathing)

  • 김도영;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8-47
    • /
    • 2019
  • 구호흡을 야기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상기도의 폐쇄이다. 구호흡은 수면호흡장애의 병인론적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는 성장장애와 행동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구호흡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와 상기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함에 있다. 초진 설문지에서 구호흡이 있다고 응답한 7 - 9세의 20명 남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편도평가, 구호흡 및 수면호흡장애와 관련된 설문지, 측모두부 방사선사진, 그리고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였다. 수면호흡장애에 대한 평가로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산소불포화 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ODI)와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통해 측정한 상기도 폭경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상기도 부위 중 후구개 거리와 후설 거리는 무호흡-저호흡 지수와 산소불포화 지수가 커질수록 좁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 = 0.002, p = 0.001). 또한, 편도의 크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아데노이드 비대율의 경우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비정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아데노이드가 비대하였다(p = 0.008). 이 연구결과를 통해 구호흡이 상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수면호흡장애까지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호흡이 안모골격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UTH BREATHING ON FACIAL SKELETAL MORPHOLOGY)

  • 이민정;김재곤;양연미;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9-347
    • /
    • 2012
  • 이 연구는 장기간의 호흡 양상이 성장기의 안모골격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 중,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자들을 비호흡자와 구호흡자로 각각 20명씩 나누어 총 120명을 선택하였다.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으로 기도공간과 안모골격 형태를 분석하여 연령별로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에서 비호흡자와 구호흡자를 비교한 결과, 안모골격 형태를 분석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 > 0.05). 그러나 12세 이상에서 골격성 I급 부정교합의 비호흡자가 구호흡자에 비해 Ad-S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H-Pc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비호흡자는 구호흡자에 비해 Ar-Go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ML-NSL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구호흡자가 비호흡자에 비해 SNA, SNB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골격성 I, II, III급 부정교합에 따른 호흡 양상과 안모골격 형태는 큰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구호흡을 하는 12세 이상의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지의 길이 성장이 저해되고, 전안면 고경이 증가하였으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상악골 성장 저해 및 하악의 시계방향 회전 경향이 유의성을 보이므로, 장기간 구호흡이 지속되는 경우 안모골격 형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의 비강통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SAL RESPIRATORY PATENCY IN THE GROWING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 안순찬;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9-203
    • /
    • 199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nasal respiratory patency and its correlation with skeletal components in growing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The subjects consisted of 40 control patients, 24 nose breathers with anterior crossbite and 18 mouth breathers with anterior crossbite. The mean age was 11.4 years in the control group, 10.1 years in nose breathing group and 9.5 years in mouth breathing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nterior cross bite group, and nasal respiratory airflow rates (N.R.A.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regardless of nasal decongestants application. 2. The N.R.A.R. of mouth breathers with anterior crossbite in mal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outh breathers, but increased to the level of control group after nasal decongestants application. But in female group, the N.R.A.R. was significantly lower in mouth breathing group at both conditions. 3. Mouth breathing group showed smaller anterior vertical nasal cavity height (ANS-ANS'), lower upper anterior facial height ratios (N-sp'/N-Me) and higher maxillary occlusal plane ratios (OL-ML/ML-NL) than those of nose breathing group with anterior crossibte. 4. Items showing nasal height (ANS-ANS', PNS-PNS'), anterior upper facial height (N-sp') wa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N.R.A.R. at 150 pascal in inspiration. But item showing maxillary occlusal plane ratios (OL-ML/ML-N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R.A.R. at 150 pascal in inspiration. 5. There were forward tongue position in mouth breathing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R.A.R. at 150 pascal in inspiration.

  • PDF

구호흡 소아환자에서 흡인도관을 이용한 $N_2O-O_2$ 진정 ([ $N_2O-O_2$ ] INHALATION SEDATION WITH SUCTION CATHETER IN FULL MOUTH BREATHING PATIENTS)

  • 윤형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89-594
    • /
    • 1999
  • 소아치과 환자에서 협조가 안 되는 환자의 진료시 여러 가지 방법의 진정요법이나 다른 방법이 이용된다. 이 중에서도 최근의 경향은 약물을 이용하여 진정을 시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약물 투여방법 중에서도 흡입가스를 이용하여 진정을 유발하는 경우가 장점이 많아 최근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흡입가스를 이용한 경우 폐를 통해 약물이 흡수되므로 적절한 진정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호흡양상이 주 영향을 끼친다. 가스를 이용한 흡입진정 시에는 환자가 반드시 비호흡을 하여야 폐를 통해 흡수가 되므로 구호흡을 하는 경우는 정맥로를 이용한 진정이나 기관내삽관을 필요로 한다. 저자는 $N_2O-O_2$를 이용한 진정요법을 시행하는 중에 완전한 구호흡을 하는 환자를 기관내삽관을 하지 않고 끝 부분이 둥글고 유연한 흡인도관을 사용하여 아산화질소를 투여함으로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 한다.

  • PDF

소아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구호흡이 악안면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치과적 고려사항 (The effects of nasal breathing due to pediatric allergic rhinitis on dentofacial growth and its dental considerations)

  • 옹승환;유승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9호
    • /
    • pp.546-555
    • /
    • 2020
  • Allergic rhinitis is a specific IgE mediated inflammatory disease of the nasal mucosa, characterized by symptoms such as rhinorrhea, nasal congestion, nasal obstruction, nasal and eye itching, and sneezing.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varies according to country, age, and surveying methods, but it seems to increase worldwide, also in Korea. Prolonged mouth breathing caused by allergic rhinitis can produce muscular and postural alterations, causing alterations on the morphology, position, growth direction of the jaws, and malocclusion. Also, mouth breathing leads to dryness of the mouth, causing various oral diseases; gingivitis, halitosis, inflammation of tonsil, increased risk of dental caries and dental erosion. In dental clinic, using rapid maxillary expansion to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patients with narrow maxilla can enlarge maxillary dental arch and nasal cavity anatomy, improving nasal breathing and reducing nasal cavity resistance. However, it is desirable to use along with otolaryngologic treatment. Dentists should be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allergic rhinitis and its effects on patients, and consider when planning dental treatment.

  • PDF

소아치과 환자의 깊은 진정시 호기가스 제거 방법에 따른 호흡대역에서 Nitrous Oxide 농도 변화 (THE NITROUS OXIDE CONCENTRATION IN BREATHING ZONE ACCORDING TO SCAVENGING METHODS DURING DEEP SEDATION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 이충원;윤형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4-131
    • /
    • 2003
  • 최근 치과영역에서 아산화질소(Nitrous Oxide)를 이용한 의식하 진정과 필은 진정의 임상 적용이 증가함에 따라 수술실 또는 진료실 환경이 아산화질소로 오염될 수 있다. 비록 낮은 농도일지라도 장기간 아산화질소에 노출 시 자연유산의 증가, 기형아 출산 증가, 말초신경염 및 운동신경 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시 흡입 공기의 구성성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구강 입구로부터 반경 12 inch 이내 영역인 호흡대역(Breathing zone)에서 아산화질소 농도는 치료자에게 영향을 주게된다. 소아 환자에게 주로 적용되는 깊은 진정시는 환자의 구호흡양에 따라서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의 농도에 영향을 주게되므로, 깊은 진정시 구호흡의 증가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잉여가스 배출 방법을 달리하여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 농도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깊은 진정을 시행하는 경우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의 농도는 공급 가스량 증가에 의한 비기도 저항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 농도 증가는 구호흡 증가에 의한 것이며 구호흡은 비기도 저항과 관계가 있다 할 수 있다. 즉 비기도 저항 증가는 구호흡의 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음압을 사용한 호기가스 배출장치를 사용하여도 NIOSH에서 권장하는 허용치에는 미치지 못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팬이나 다른 제거 장치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2. 구강편도의 크기는 기도 저항이 적은 경우 즉 음압을 사용하여 호기가스 제거하는 경우 구호흡에 영향을 주었다.

  • PDF

수면호흡장애와 코막힘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Nasal Obstruction)

  • 정유삼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93-97
    • /
    • 2005
  • Nasal obstruction may cause or aggravate sleep disordered breathing but exact pathogenesis is not clear. The possible mechanism could be combination of alteration in upper airway aerodynaimcs, loss of nasal reflex or sensation, effect of mouth opening, and a genetic predisposition. Anatomical narrowing of nasal airway cause more rapid airflow and induce more negative inspiratory air pressure. So, it increases collapsibility of pharyngeal airway. Loss of nasal sensation to airflow block nasal reflex. Mouth opening decreases the activity of pharyngeal airway dilator muscles and narrowing the pharyngeal airway may occur. The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cause. The causes of nasal obstruction are various from problems of external nasal opening to nasopharynx. Relief of nasal obstruction may not cure sleep disordered breathing always. In some mil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only may cure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some severe sleep apnea patients,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may increase compliance of continous nasal positive airway pressure.

  • PDF

비호흡 장애가 치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안모 형태별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of Influence of Difficulties in Nasal Breathing on Dentition between Different Facial Types)

  • 이명진;이창곤;김종섭;박진호;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1993
  • 인두편도 증식으로 인한 비호흡 장애가 치열 및 핵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안모형태에 따라 비교 연구하기 위해 인두편도 증식으로 인두편도 절제술을 시행하기로 한 환자의 안모를 형태에 따라 mesofacial, brachyfacial, dolichofacial type으로 분류하여 각 type별로 20명의 환자를 설정하여 서로 비교 연구한 결과 1.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에 있어서 안모 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dolichofacial type의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가장 좁은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을 보였다. 2. 혀의 수직적 위치에 있어서 안모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dolichofacial type의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혀가 가장 하방에 위치함을 보였다.

  • PDF

Adenoids의 비인두폐쇄로 인한 구호흡이 Tongue, Mandible 및 Hyoid Bone의 위치에 미치는 형향 (The Effect of Mouth Breathing Due to Nasopharyngeal Obstruction by Adenoids on the Tongue, Mandible and Hyoid Bone Position)

  • 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71-77
    • /
    • 1988
  • Adenoids 비인두폐쇄로 인해 구호흡이 유발된 6~12세의 아동 50명과 동일 연령분포의 정상아동 50명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통해 Tongue, Mandible 및 Hyoid bone에 대한 수평, 수직 및 각도 계측에 대한 비교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ongue position은 실험 군에서 더 전하방 위치하는 것으로 관철되었다. 2. Mandibular position은 실험군에서 더 하방위치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Hyoid bone의 위치는 실험군에서 더 전하방위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