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Chiak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개미의 분포에 관한 연구 (20) -치악산의 개미상-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 (Formicidae) in Korea(20) -Ants fauna in Chiaksan-)

  • 최병문;박은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8-62
    • /
    • 1998
  • 치악산의 개미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7년부터 1998년까지 2년간 3개의 코스에서 746 colony를 채집하였다. 해부현미경하에서 관찰 동점한 결과 4아과 23속 45종이 확인되엇으며, 이들 중 10종은 강원도의 미기록 종이었으며, 특히 Myrmica sp.6은 한국의 미기록종으로 추가된다. 이로 인해 강원도에 분포하는 개미종은 4아과 28속 73종이 된다.

  • PDF

치악산도립공원에서의 양영행위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ing Recreation on Natural Environment in Mt. Chiak National Park)

  • 권영선;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8
    • /
    • 1987
  • This study was executed to measure the user\`s impact natural environment in National Park Campsite. Therefore, we choose Mt. Chiak National Park and the campsite in the district of Temple Ku-Ryong as a model of analysis, which is made by ecological approach, the number of the user has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near the campsite.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more the number of users becomes, the more Na, Ca, Mg ion concentration and pH in the soil increase and the less K ion becomes. 2. Litter and humus depth, litter coverage, herb coverage, soil hardness, the surface of the ground layer and tree species numbers, density and coverage of lower layer shows a sensitive reaction to the number of the users. 3. The research shows that the tolerant trees against campsite impact are Lespedeza maximowiczii, Zanthoxylum schinifolium Staphylea bumalda, Smilax sieboldii, Quercus aliena, Euonymus oxyphyllus, Weigela subsessilis and Securinega suffruticosa, and the sensitive trees are Stephanandra incisa, Rubus trichocarpa, Rubus crataegifolius, Rhododendron mucronulatum, Styrax obassia, Acer palmatum,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suhlippenbachii, Rhus japonica and Callicarpa japonica. 4. The high density of the users made the simplication of a vegetation structure. So, as the number of the user increase the species showed severe heterogeniety between the heavy-use and nonuse site. 5. As conside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bout campsite and surrounding area on the way of analysis of national landscape aspect and succession sere according to ecological aspect, it may be desirable that Pinus densiflora forest be conserved as Pinus densiflora landscape and mixed forest produce natural scenery with succession sere.

  • PDF

한반도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se Thomas(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의 변이 (Variation of Mitochondrial DNA in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Mammalia, Rodentia), from the Korean Penisula)

  • 고흥선;유상규;김상복;유병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171-179
    • /
    • 1993
  • 한반도의 8개 지역에서 채집한 39마리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8가지의 제한효소로 digestion시켰으며, 이들 mtDNA 절단단편들을 분석하였다. 전부 31개의 절단단편들이 나타났고, 7개의 mtDNA clone이 밝혀졌으며, 전체 8개 지역의 39마리 중에서 8개 지역의 32마리(속초, 1중에 1; 치악산, 5중에 4; 월악산, 3중에 3; 속리산, 2중에 2; 덕유산, 2중에 2; 지리산, 4중에 3; 해남, 4중에 2; 청주, 18중에 15)가 동일한 한 clone에 속했다. 또한 이들 7개 mtDNA clone들 간의 nucleotide-sequence divergence (p)의 범위는 0.2%-2.3%였으며, 이들 clone들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subgroup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한반도산 등줄쥐는, mtDNA genotype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으로 나뉘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일 아종인 Apodemus agrarius coreae임을 확인하게되었다.

  • PDF

돌콩 종자 함유 Galactomannan 조성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al Variation of Galactomannan Composition in the Seeds of Glycine soja)

  • 김창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57-161
    • /
    • 2005
  • 한반도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돌콩(Glycine soja) 종자의 galactomannan조성과 관련한 지리적 변이를 추적하기 위하여, 북위 $34^{\circ}50'00"\sim38^{\circ}12'00"$ 사이에 위치한 8개 지역(속초, 원주, 치악산, 청주, 안동, 대구, 울산, 사천)을 선정하여 채종한 종자를 재료로 mannose와 galactose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지역별 mannose의 함량은 최저 55.23 mg/g(사천)에서 최고 460.00 mg/g(안동)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Galactose의 지역별 함량 역시, 최고 387.50(울산)에서 최저 67.17(사천)에 이르는 다양한 수치를 보였다. 환경적응과 관련한 생태지표로서 종자의 경실도(硬實度, seed hardness)를 의미하는 mannose/galactose 함량비를 산출한 결과, 지역에 따라 $0.41\sim1.73$의 값을 나타내었고, 대체로 중북부형(원주, 치악산, 청주), 중남부 내륙형(안동, 대구) 및 해안형(속초, 울산, 사천) 의 3개 유형이 구분되었다. mannose/galactose 함량비의 전반적인 경향은 중남부 내륙형에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고, 중북부형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치악산버섯의 분포상 (Fungal Flora of Mt. Chiak (1) -Agaric Fungi-)

  • 김양섭;석순자;박용환;차동열;민경희;유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0-420
    • /
    • 1994
  • 치악산지역에 발생하는 버섯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8년 9월부터 1990년 8월까지 6회 채집하였다. 주름버섯류를 수집하여, 최근 분류체계에 준하여 종을 분류 동정한 결과, 15과 43속 93종을 분류동정하였으며, 그중 한국미기록 6종, 남빛밤버섯 Calocybe ionides(Bull.: Fr.) Donk.; 치악송이 Tricholoma psammopus(Kalchbr.) Quel.; 흰무리애기버섯 Collybia cirrhata(Per.) Quel.; 황소낙엽버섯 Marasmius aurantioferrugineus Hongo; 양파광대버섯 Amanita abrupta Peck in Bull.; 흰오뚜기광대버섯 Amanita castanopsidis Hongo이 확인되었다. 수목과 공생하며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버섯류는 9과 18속 54종이었으며, 그중 광대버섯속, 젖버섯속, 무당버섯속이 우점종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못버섯속, 마개버섯속, 땀버섯속, 껄껄이그물버섯속, 분말그물버섯속, 외대버섯속, 귀신그물버섯속, 쓴맛그물버섯속과 산그물버섯속은 드물게 발생하고 있었다. 치악송이는 일본잎갈나무에서만 발견된 기주특이성 종이었고, 남빛밤버섯도 같은 장소에서만 발견되었고, 못버섯속과 마개버섯속은 소나무림내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Miller(1972)의 관찰과 일치하였으며, Trappe(1962)는 그의 연구에서 마개버섯속은 소나무과에서만 발견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사물기생균은 8과 25속 39종이 발견되었으며, 외생균근 버섯류에 비해 속은 다양하나 종은 대단히 적었다. 이 지역의 버섯류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종다양성, 분포상, 희귀촌, 우접종등에 의한 기초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치악산 버섯추출물로부터 Fibrin 분해활성의 검색 (The Screening of Fibrinoly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ushrooms in Mt. Chiak)

  • 김준호;이호용;유관희;김양선;석순자;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89-593
    • /
    • 1998
  • 치악산에 자생하는 야생버섯 65종에서 fibrin 분해활성을 검색하였으며, 그 결과 9종의 버섯이 활성을 나타냈다. Agrocybe sp.와 Stropharia rugosoannulata는 작은 활성률을 보였으며, Lepiota sp.와 Coprinus comatus는 plasmin 1.5 unit의 $56%{\sim}58%$의 fibrin 분해활성을 보인 반면 Collybia maculata는 plasmin 1.5 unit와 거의 같은 활성을 보였고 Armillariella mellea와 Calocybe sp.와 Lepista nuda와 Trichaptum abietinum은 plasmin 1.5 unit의 약 2배의 fibrin 분해활성을 나타냈다.

  • PDF

원주.횡성 지역의 식물상 (Flora of Wonju-Hoengseong Area)

  • 고성철;손동찬;김현종;황희숙;신영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5-380
    • /
    • 2009
  • 강원도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원주시와 횡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치악산(1,288 m), 태기산(1,261.4 m), 오봉산(1,126.2 m), 응봉산(1,094.9 m), 어답산(789.4 m), 덕고산(521.2 m), 덕가산(700.5 m), 성지봉(791 m)의 관속식물상을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조사하였고, 이전 조사에서 증거표본이 제시되어 있는 발교산(998.4 m), 오음산(930.4 m), 백운산(1,037.1 m), 치악산(1,288 m)의 자료를 전체 소산식물목록에 포함시켰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의 총 분류군 수는 97과 383속 680종 1아종 111변종 12품종으로 총 804분류군이었으며, 문헌상 증거표본이 있는 경우의 자료를 추가하면 총 105과 418속 818종 1아종 138변종 16품종으로 총 973분류군으로 한반도 전체관속식물종의 21.14%에 해당된다. 조사지 전반의 식생은 소나무와 낙엽활엽수의 혼효림이며, 식생이 비교적 우수한 지역은 치악산의 구룡사로 부터 세렴폭포를 거쳐 비로봉에 이르는 계곡, 및 태기산의 큰성골계곡과 태기분교터에서 낙수대에 이르는 능선의 동사면 지역이다. 비교적 많은 분류군이 채집된 10개 과는 국화과, 벼과, 장미과, 미나리아재비과, 콩과, 사초과, 백합과, 범의귀과, 산형과, 꿀풀과의 순이며 전체 생육분류군의 49.12%이다. 조사지에서 생육이 확인된 특산식물은 금강초롱꽃, 모데미풀,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Uyeki(금강산돌배)를 포함하는 38분류군이고,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금강초롱꽃, 왕제비꽃, Viola diamantica Nakai(금강제비꽃), 금마타리를 포함하는 24분류군이며,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총 88분류군으로서 Ⅴ등급에 속하는 식물은 좀가물고사리, 금강초롱꽃, 물쇠뜨기, 노랑붓꽃, 솔나리, 큰연영초, 목련(식재), 천마, 좀미역고사리, 승마, 모데미풀, 왕제비꽃의 12분류군이다. 또한 귀화식물은 47분류군으로서 전체식물의 4.83%, 유용식물은 총 609분류군으로서 식용식물 334분류군, 약용식물 269분류군, 관상용식물 127분류군, 사료식물 332분류군, 산업용식물 3분류군, 목재용식물 31분류군, 섬유용식물 13분류군으로 각각 구분되고, 이는 전체식물의 13.23%에 해당한다.

개발나물속 1신종(미나리과), 세잎개발나물 (Sium ternifolium (Ap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 이병윤;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0-134
    • /
    • 2009
  • 한국의 강원도 치악산의 산림에서 발견된 개발나물속 1 신종인 세잎개발나물 (Sium ternifolium B.Y. Lee & S.C. Ko)을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세잎개발나물은 긴 점첨두의 엽선, 연약한 3-6개의 소산경과 같은 공유 형질을 가지고 있어 일본에 자생하는 S. serra (Fr. & Sav.) Kitag.와 유사하나 키가 작고, 총포가 없으며 모든 잎이 3개로 갈라지는 특징에 의해 쉽게 구별된다.

치악산 계류에 서식하는 둑중개(Cottus poecilopus Heckel)의 식성 (Feeding habit of the River Sculpin, Cottus poecilopus from the Streams at Mt. Chiak, Korea)

  • 변화근;심하식;최재석;손영목;최준길;전상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0-170
    • /
    • 1995
  • 둑중개(C. poecilopus)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치악산 계류에서 1993년 4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월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위 내용물은 주로 수서곤충인 Ephemeroptera, Odonata, Plecoptera, Trichoptera, Coleoptera, Diptera이며 그 밖에 Nematoda, 치어, 어란, 육상곤충 등이 검출되었다. 육상곤충은 주로 가을에 섭취하였고, 여름에 Moroco oxycephalus 치어를 소량 포식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종의 먹이는 Ephemeroptera, Trichoptera, Diptera 등이 대부분이었다. Ephemeroptera는 여름에 양의 선택성을 나타내었고 가을과 겨울에는 음의 선택성을 나타낸 반면 Trichoptera와 Diptera는 가을과 겨울에 양의 선택성을 여름에 음의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컷이 수정란을 보호하고 있는 동안 먹이량이 부족하면 보호하고 있는 알을 먹는 습성이 있다(filial-cannibalism).

  • PDF

치악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 -구룡사-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Guryong Temple - Birobong Area -)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88
  • 치악산국립공원내 주 이용대상지인 구룡사-비로봉 일대 삼림군집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간 간섭의 정도 및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4개 조사지를 선정하고 총 45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인간의 간섭이 심한 저지대 계곡부의 경우 비교적 천이단계가 낮은 소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조사지 I ), 비교적 인간의 간섭이 심한 고지대 계곡부(조사지 II)와 근래에 입산금지가 된 계곡부(조사지 III )에서는 층층나무. 주등산로가 있는 고지대 능선부(조사지 IV)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종다양성은 조사지 III, II, I, IV의 순으로 높았는데, 이것은 능선부인 조사지 IV를 제외할 때, 인간 간섭의 정도와 역의 관계였다. 종상관성 분석결과 소나무는 타수종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가지는 경우는 비교적 많았으나 정의 상관을 인정할 수 있는 경우는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대체로 순림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치악산 구룡사 계곡의 DCA에 의한 ordination분석결과 표고 및 환경인자에 의해 3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stand ordination에 따라 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 소나무-갈참나무, 갈참나무-서어나무, 층층나무-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천이과정은 능선 및 중복부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및 참나무류, 팥배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로, 계곡저지대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참나무류$\longrightarrow$층층나무, 까치박달나무로 진행되는 과정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