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Multi-cultural Peopl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주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Perception of Local Residences o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 오해연;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5-145
    • /
    • 2014
  • 우리나라가 점점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러 정부 부처는 다양한 다문화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공공도서관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다양성의 증진을 다문화 서비스의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문헌정보학계의 다문화서비스연구는 다문화인의 적응/동화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방안에 집중되어 있으며, 문화다양성 및 지역주민의 다문화서비스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다문화서비스의 사회적응과 사회문제의 예방 및 대비 등에 가치를 두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민들에게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교육기관으로 간주되고, 이를 기반으로 다문화 관련 문제에 기여할 수 있다는 공통적인 인식을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적응 및 동화뿐만 아니라 문화다양성 등에 기반한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당위성을 지역주민에게 인식시키고, 이를 위해 지역 내 다문화인과 비다문화인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Users on Multi-cultural Services)

  • 김기영;오해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7-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부의 다문화정책은 부처에 따라 크게 동화/적응, 사회통합, 그리고 문화다양성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를 바라보는 인식은 크게 사회통합과 동화의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홍보 및 참여와 같은 마케팅활동이 다문화서비스의 인식 및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1) 다양한 다문화정책 지향점, 2) 지역의 다문화 관련기관과의 관계, 그리고 3) 지역주민의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Library Policy for the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 이정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39
    • /
    • 2011
  • 본 연구는 지난 5년간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조직의 업무와 도서관현장을 위한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단기적인 사업성 위주의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작은도서관, 장애인정보누리터, 다문화도서관 등의 시설 건립 중심과 비전문적인 순회사서로 유지되는 운영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셋째, 정보소외계층 정책의 분산화와 민간 장애인도서관의 공공의 지원정책 미비로 인하여 협력체계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넷째, 대체자료 양적 확산 위주의 장애인서비스 정책이 이루어져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는 보다 전문적인 정책이 개입되어 각 영역별 통합조정과 전문성 개발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 별도의 문화복지 도서관정책부서 신설과 그 활동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