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level Interaction Mode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1초

요추 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일일진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선형회귀와 다수준 선형회귀 모델의 비교 (Factors Affecting the Daily Charges in Patients with Lumbar Discectomy - A Comparison of linear regression versus Multilevel Modeling)

  • 김상미;이해종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4
    • /
    • 2015
  •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differences in linear regression versus multilevel(cross-level interaction model) modeling for affecting factors lumbar discectomy. The data were used in 2011 patients with HIRA sample data. Total number of analysis is 3,641 patients and 248 hospitals. The results of research model showed that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hospital-level factors were significant. However, all factors of patient-level were similar in the two models. Therefore, it requires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model for a more accurat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in the daily medical charge.

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학교의 연대 책임: 다수준 분석 방법의 적용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Its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김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33-351
    • /
    • 2017
  • Schools are expected to ultimately moderate the difference of inequality issues among social groups and reduce the achievement gaps. This study investigates this expectation, in particular, how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s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educ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by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at the school level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the two. Using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this study indicates that a school collective responsibility has a larger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when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 is high. This means that school's collective responsibility accelerates inequity i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Knowing that collective responsibility has less of an effect on students whose parents' education is not high, researchers,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should continue to search for school effects that have more of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students whose parents' education is not high in order to have more equitable results for all students.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From Ambient to Interactive: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on Public Display Based on the Spatial Relationship)

  • 안미혜;원광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069-1074
    • /
    • 2009
  • 공공디스플레이는 상호작용이 없는 일 방향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미디어의 전환이 일어나는 매체로 변해가고 있다. 쌍방향적인 공공디스플레이를 보는 관점 또한 여러 가지인데, 크게 HCI적인 측면에서 인간과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특히 넓은 의미로서의 HCI로 공공디스플레이에서 인간과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아트의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공공디스플레이에서 더욱 풍부한 미디어 경험을 제공하고자, 보는 거리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 그리고 보는 주체의 방향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인터랙션 모델이 미디어 아트에 적용되는 사례를 실험 작품 제작을 통해 테스트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향상된 인터랙션 모델 제안을 위해 HCI 분야에서 두 가지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먼저 상황 분석적 접근(Context Analytic Approach)으로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거리에 의존한(Distance-dependent) 다단계 인터랙션 모델들에 기반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방법론으로서 사용자 분석적 접근(User Analytic Approach)의 측면에서 HCI 분야의 아우라(Aura) 개념을 도입하여 보는 주체의 방향(Direction)에 의존한 상호작용이라는 목적성을 가지고 재정의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두 방법론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공디스플레이에서 인간과 디지털 아트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종 인터랙션 모델(Interaction Model)을 제시한 다음,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실험하였다.

  • PDF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강의평가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student course evaluation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 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285-1296
    • /
    • 2013
  •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변수로는 교과목 수준의 다양한 강좌특성 변수들과 수강생 수준의 다양한 인적특성 변수들이 있다. 특정 수강생은 다수의 교과목을 이수하기 때문에 다수의 교과목들은 동일한 수강생 안에 속하게 됨으로써 공유되는 특성이 있게 된다. 즉 강의평가 결과는 교과목 수준의 강좌특성 (1-수준)과 수강생 수준의 인적특성 (2-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층구조 (multilevel)를 가지게 되며, 위계적 자료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분석단위의 구조가 된다. 따라서 전통적인 회귀분석에서와 같이 개별 교과목들이 독립이라는 가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구조의 특성을 가진 변수들의 영향력을 보다 타당하게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계선형모형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과목 수준의 특성변수들 중에 강좌규모, 개설학년, 담당교수의 전임여부, 해당 교과목의 총 평균평점, 원어강좌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강생 수준의 인적특성 변수들 중에는 성별, 학과계열, 대입당시 전형방법, 평균평점 등이 유의하게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류관리문화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과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Error Management Culture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 on Social Worker's Psychological Capital -)

  • 이상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81-107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 즉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오류관리문화와 심리적 자본의 영향력을 보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회복지이용시설에 종사하는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89개 기관 564명의 자료를 표집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의 오류관리문화와 심리적 자본의 수준을 동시에 제고시킬 경우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는 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류관리문화와 심리적 자본은 각각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 제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 제고에 있어서 오류관리문화와 심리적 자본 각각의 주효과에 비해 상호작용효과의 크기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ultilevel Effects of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Focusing on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 김은주;육성필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73-2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개발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을 경기도를 중심으로 적용한 후 위기개입서비스의 실제 개입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통합적 위기개입모델은 지역사회 통합시스템 접근과 스트레스 취약성 이론을 포함하는 위기개입 이론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노인우울(GDS-K) 및 자살생각(SSI)척도를 활용하였고, 1차 사전검사 258명, 통합적 위기개입 서비스 6개월 제공 후 2차 사후검사 184명, 2-3년 후 역추적을 통해 3차 추수검사 12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R Statistics computing을 이용하였고, 서로 다른 시점의 다른 검사를 비교하기 위해 검사 동등화 및 측정 시점 간 수직 척도화를 수행한 후 기술통계와 일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베이지언 추정을 이용해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개발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적용 후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노인우울과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노인우울 감소에 .56의 효과크기를, 자살생각의 감소에 .39의 효과크기를 나타내 모델의 전체적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위기개입 후 2-3년 후 추수검사에서 노인우울 및 자살생각이 다시 높아져 원래 상태를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입의 장기적인 유지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노인우울 및 자살생각 변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다층분석을 통해 위기개입 서비스의 각 유형(위기개입 전문상담, 약물치료, 동료상담)과 내담자특성(성별, 연령), 상담자 특성(전문가 연령, 경력, 전공)들 및 위기개입 서비스 유형(위기개입 전문상담)과 상담자 특성(전문가 연령, 경력, 전공)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일하게 약물치료가 단독으로 자살생각을 의미있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의 전공이 상담전공일 때 전문상담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의미있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개발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의 전체효과와 각 개입서비스 유형의 효과를 검증하여 현장 적용의 근거를 확보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체육시간과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다층성장모형의 적용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Using Multi-level Growth Modeling)

  • 이택호;이석영;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131-158
    • /
    • 2015
  • 본 연구는 체육시간이 청소년의 외현화(공격성) 및 내재화(사회적 위축, 우울)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시간의 흐름과 성별에 따라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차년도(2011) 데이터(N = 2,133), 3차년도(2012) 데이터(N = 2,151), 4차년도(2013)데이터(N = 1,979)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를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성별, 체육시간으로, 통제변수를 학대, 학교적응, 가구연간소득, 보호자 최종학력으로 설정한 뒤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공격성 및 우울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시간은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만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 모두 시간에 대한 성별의 영향이 변하지 않았다. 다섯째, 시간에 대한 체육시간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위축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우울에서 체육시간에 대한 성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체육시간이 중요하다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체육시간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연구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