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RL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다중 순환 최소 자승 및 성능 지수 기반 종방향 자율주행을 위한 적응형 구동기 고장 허용 제어 및 탐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Multiple RLS and Actuator Performance Index-based Adaptive Actuator Fault-Tolerant Control and Detection Algorithms for Longitudinal Autonomous Driving)

  • 오세찬;이종민;오광석;이경수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6-38
    • /
    • 2022
  • This paper proposes multiple RLS and actuator performance index-based adaptive actuator fault-tolerant control and detection algorithms for longitudinal autonomous driving. The proposed algorithm computes the desired acceleration using feedback law for longitudinal autonomous driving. When actuator fault or performance degradation exists, it is designed that the desired acceleration is adjusted with the calculated feedback gains based on multiple RLS and gradient descent method for fault-tolerant control. In order to define the performance index, the error between the desired and actual accelerations is used. The window-based weighted error standard deviation is computed with the design parameters. Fault level decision algorithm that can represent three fault levels such as normal, warning, emergency levels is proposed in this study. Performance evaluation under various driving scenarios with actuator fault was conducted based on co-simulation of Matlab/Simulink and commercial software (CarMaker).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를 갖는 최소분산 비왜곡응답 및 최소자승 회귀 빔형성기법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VDR and RLS Beamforming Using Systolic Array Structure)

  • 이호중;서상우;이원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를 갖는 선택적 최소분산 비왜곡응답 (MVDR) 및 최소자승 회귀기법 (RLS) 빔형성기법에 대한 성능 분석을 하였다. 원하는 사용자 신호와 잡음을 포함한 스냅샷 벡터들이 어레이 안테나에 입사되는 경우, 수신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MVDR 및 RLS 알고리즘을 이용한 빔형성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널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 안테나 소자의 출력에 복소 가중치를 곱하여 원하는 사용자 신호방향으로 안테나의 빔을 형성하도록 하여 원하는 신호의 다중경로 성분들은 강조하고, 간섭 성분들의 입사 방향들로는 널을 발생시켜 다중간섭과 잡음에 대한 전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공간필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 필터 역할을 하는 MVDR기법과 RLS 기법을 병렬처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의 MVDR 및 RLS 빔형성기법에 대하여 소개하며, 이를 다중 경로와 다중 접속 간섭이 존재하는 채널 환경에 적용하여 수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의 빔 형성기법을 적용한 공간필터의 우수성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자 증가에 따른 BER (Bit Error Rate) 곡선과 빔패턴을 제시하였고, 기대치와 실험치가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사례 기반 결정 이론을 융합한 포텐셜 기반 강화 학습 (Potential-based Reinforcement Learning Combined with Case-based Decision Theory)

  • 김은선;장형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2호
    • /
    • pp.978-9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강화 학습 에이전트들의 학습 결과 및 Expert의 지식을 하나의 학습 알고리즘으로 융합하는 강화학습인 "potential-based" reinforcement learning(RL)기법에 불확실한 환경에서의 의사결정 알고리즘인 Case-based Decision Theory(CBDT)를 적용한 "RLs-CBDT"를 제안한다. 그리고 테트리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RL 알고리즘에 비해 RLs-CBDT가 최적의 정책에 더 마르게 수렴하는 것을 보인다.

MIMO RF 중계기를 위한 적응 신호처리 기반의 간섭 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Adaptive Signal Processing for MIMO RF Repeaters)

  • 이규범;최지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9C호
    • /
    • pp.735-74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갖는 RF 중계기를 위한 적응 간섭제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중계기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간의 불완전한 격리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고, 궤환 간섭 경로는 MIMO (multi-input multi-output) 채널로 모델링된다. 이런 궤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적응 신호처리 기법에 기반하여 LMS (least mean square) 간섭제거 알고리즘과 RLS (recursive least squares) 간섭제거 알고리즘을 유도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간섭 제거 알고리즘의 수렴 특성 및 정상 상태에서의 간섭 제거 성능을 비교한다.

RLS 알고리즘을 이용한 승용차 내 능동소음제어의 개선 (Improvement of active nose control in vehicle interior using a RLS algorithm)

  • 김영욱;이윤희;김기두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2호
    • /
    • pp.106-113
    • /
    • 1997
  • While driving, the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below 200Hz causes the main component that irritates the auditory acoustic sense. But these passive control methods bring out increment in cost and weight of the vehicle and result in low efficiency. Recently, various ANC(Active Noise Control) methos to suppress the low frequency noise began to launch into application.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active noise control system for passenger vehicle to cancel the engine booming noise using DSP-based control unit, 4 micorphones, and 2 speakers. We used MEFX-LMS (Multiple Error Filtered X-Least Mean Square) algorithm since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real time. Also, MEFX-RLS algorithm was taken to enhance the suppression of the harmonic components of the engine booming noise inspite of its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performance of two adaptive algorithms were analyzed with experimental resutls.

  • PDF

대역확산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적응 필터 뱅크를 이용한 간섭신호 제거 시스템 성능 분석 (On the Performance of Interference Excision Scheme using Multiple Adaptive Filter Banks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s)

  • 박재오;이정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653-66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대역확산 통신을 위하여 웨이브렛 패킷 영역에서 다중적응필터뱅크를 이용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적응간섭제거기를 제안하고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AWGN과 간섭채널에서 LMS와 RLS 적응알고리즘이 적용된 간섭제거기에 따른 대역확산통신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중증도 및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everity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Sleep of Restless Legs Syndrome Patients)

  • 한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00-20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중증도 및 우울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총 303명의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이 참여하여 자가설문지를 완성하였고 대상자의 의무기록을 통해서 임상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중증도(r=. 21, p<.001 ), 우울(r=. 37,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우울(${\beta}=.35$, p<.001), 연령(${\beta}=.21$, p<.001), 중증도(${\beta}=.15$, p=.005)가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은 21.0%였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우울, 연령, 중증도를 고려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교통환경 및 도로기하구조를 고려한 도로교통소음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for Traffic Noise Considering Traffic Environment and Road Geometry)

  • 오석진;박제진;최건;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587-593
    • /
    • 2018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로교통소음 예측프로그램들은 국외 예측모형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교통환경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국외 예측모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예측모형마다 도로교통소음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주요 요인들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선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소음 예측 시 사용되고 있는 영향인자와 기존 예측모형에 대하여 고찰하고, 교통환경 및 도로기하구조를 고려하여 주행차량의 발생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와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예측모형으로 도출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도로교통소음 예측모형(국립환경과학원(NIER), 독일의 RLS-90)과 도출된 도로교통소음 예측모형의 실측값을 적용하여 비교 검증 결과, 오차의 절대값 합은 NIER, RLS-90, 모형값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모형식이 향후 도로교통소음 예측 모델링에 대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회전관성의 순환최소자승 추정을 이용한 모델 예견 기반 굴삭기의 충돌회피 알고리즘 개발 (Model-Prediction-based Collision-Avoidance Algorithm for Excavators Using the RLS Estimation of Rotational Inertia)

  • 오광석;서자호;이근호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3권4호
    • /
    • pp.59-67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model-prediction-based collision-avoidance algorithm for excavators for which the recursive-least-squares (RLS) estimation of the excavator's rotational inertia is used. To estimate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excavator, the RLS estimation with multiple forgetting and two updating rules for the nominal parameter and the forgetting factors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cavator-swing dynamics. The average value of the estimated rotational inertia that is for the minimizing effects of the estimation error was computed using the recursive-average method with forgetting. Based on the swing dynamics, the computed average of the rotational inertia, the damping coefficient for braking, and the excavator's braking angle were predicted, and the predicted braking angle was compared with the detected-object angle for a safety evaluation. The safety level defin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e three levels safe, warning, and emergency braking. The analytical rotational-inertia-base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signed estimation algorithm was conducted using a typical working scenario. The results of the safety evaluation show that the predictive safety-evaluation algorithm of the proposed model can evaluate the safety level of the excavator during its operation.

캡슐내시경을 위한 HBC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HBC System for Capsule Endoscope)

  • 김기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캡슐 내시경을 위한 HBC(Human Body Communication) 시스템의 종합적인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환자 몸에 부착된 다수의 패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차동 연산을 통해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신호 SNR을 수학적으로 유도하였다. 캡슐에서 보내는 HBC 송신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PN 코드를 이용한 대략적 타이밍 동기 방법과 ZCD(Zero Crossing Detector)를 통한 Manchester, NRZ, RZ 변조 기법간의 미세 타이밍 동기 성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HBC 신호 프레임을 Rician 및 Rayleigh 채널 환경에서 적용하였을 때의 등화 성능을 LMS 및 RL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