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indicator krig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터널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자료를 활용한 미시추구간의 암반등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ock mass classes using the information off a tunnel center line)

  • 유광호;이상호;추석연;주광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01-111
    • /
    • 2004
  • 터널의 안정성 확보 및 최적설계를 위해서, 충분한 지반조사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나, 공간상에 분포하는 자료측정의 제한성 및 경제적인 이유로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터널은 민원 및 산악지형 등의 이유로 노선의 본선부에서 시추가 불가능한 구간이 발생하고, 각종 물리탐사 자료만으로는 정량적인 암반등급 산정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선에서 이격된 물리탐사 자료 및 시추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해 지구통계학 기법의 하나인 2차원 다분적 지시크리깅을 확장한 3차원 다분적 지시크리깅 (3D multiple indicator kriging, 3D-MI kriging)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3차원 다분적 지시크리깅기법을 경부고속철도 제 ${\bigcirc}-{\bigcirc}$공구 터널설계 시 RMR분류에 의한 암반등급 산정을 위해 적용하였다.

  • PDF

다분적 지시크리깅에 있어서 순서문제에 관한 연구 (A Solution for Order Relation Problems in Multiple Indicator Kriging)

  • 유광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1권3호
    • /
    • pp.17-26
    • /
    • 1995
  • Sullivan(1984)에 의한 제안과 모든 경계값에서의 추정분산값의 합을 최소화하는 개념을 포함하는 동시에, 다분적 지시크리깅에 있어서의 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모색되었다. 최적화 문제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원래 지시크리깅을 위해 요구되는 계산보다 약간의 계산을 더 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현재 많이 사용되는 다른 임시 방편적인 해결방법들 보다 계산상 효율적인 동시에, 수학적으로도 모순되지 않는 명확한 추계적 원리에 근거를 둔 방법이다.

  • PDF

다분적 암반분류를 위한 정성적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연구 1.이론 (A Geostatistical Study Using Qualitative Information for Multiple Rock Classification -1. Theory)

  • 유광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1권2호
    • /
    • pp.71-78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RMR법이나 Q시스템 등의 암반분류법에서와 같이 암반을 여러 등급으로 분류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특히, 정량적 자료가 제한된 상황에서의 정성적 자료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이용 방법이 모색되었다. 이를 위해서, 지구통계학(geostatistics)기법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비모수적 방법 중의 하나인 지시크리깅(indicator kriging)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최적 분류를 위한 선택기준으로는 오차에 대응하는 비용(the cost of error)가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개발된 이분적 암반분류에서 다분적 암반분류로의 일반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분류등 급의 총수에는 제한이 없다.

  • PDF

터널 설계를 위한 암반등급 산정 기법에 관한 연구 (An Estimation Technique of Rock Mass Classes for a Tunnel Design)

  • 유광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319-326
    • /
    • 2003
  • 터널 설계를 위한 조사에 있어서, 요사이 시추공 조사는 물론 탄성파 탐사, 전기 비저항 탐사 등의 물리탐사가 빈번히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암반 등급 등에 의한 최적의 지반평가를 위해 조사에서 얻어지는 모든 자료를 체계적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정량적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정성적 데이터의 이용을 제안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추가 되지 않은 구간의 암반등급을 추정하는 방법이 지구통계학 이론 중의 하나인 다분적 지시크리깅 기법에 기초하여 제안되었다. 실제 터널 설계에 있어서, 불확실성이 다른 두 종류의 자료, 예를 들어 시추공 자료와 물리탐사자료 등이 암반등급 산정에 동시에 활용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다분적 암반분류를 위한 정성적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연구- II. 응용 (A Geostatisitical Study Using Qualitative Information for Multiple Rock Classification II. Application)

  • 유광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1호
    • /
    • pp.29-3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이분적 암반분류 방법 보다 일반적인 다분적 암반분류 방법의 응용에 관해 연구하였다. 특히, 정성적 데이타를 체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었다. 응용 예를 통해 Bieniawski의 암반평가 시스템 (rock mass rating system, RMR)과 같이 암반을 두개 이상의 다등급으로 분류할 경우 본 논문에 제시된 방법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체계적인 암반조사를 위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오차에 대응하는 비용(cost of errors)의 기대값이 암반조사를 위한 시추 방법이 잘 계획되었는지에 관한 평가척도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Bayesian Inversion of Gravity and Resistivity Data: Detection of Lava Tunnel

  • Kwon, Byung-Doo;Oh, Seok-H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9
    • /
    • 2002
  • Bayesian inversion for gravity and resistivity dat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vity structure appearing as a lava tunnel in Cheju Island, Korea. Dipole-dipole DC resistivity data were proposed for a prior information of gravity data and we applied the geo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kriging and simulation algorithms to provide a prior model information and covariance matrix in data domain. The inverted resistivity section gave the indicator variogram modeling for each threshold and it provided spatial uncertainty to give a prior PDF by sequential indicator simulations. We also presented a more objective way to make data covariance matrix that reflects the state of the achieved field data by geostatistical technique, cross-validation. Then Gaussian approximation was adopted for the inference of characteristics of the marginal distributions of model parameters and Broyden update for simple calculation of sensitivity matrix and SVD was applied. Generally cavity investigation by geophysical exploration is difficult and success is hard to be achieved. However, this exotic multiple interpretations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and stability for interpretation when compared to data-fit alone results,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iverse application for Bayesian inversion in geophysical inverse problem.

다중 자료 변환을 이용한 구성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 (Geostatistical Simulation of Compositional Data Using Multiple Data Transformations)

  • 박노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9-87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구성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위해 다중 자료 변환 기반 조건부 시뮬레이션 틀을 제안하였다. 우선 일반적인 통계 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 자료에 로그비 변환을 적용하였다. 다음 변환들로는 최소/최대 자기상관 인자 변환과 지시자 변환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독립적인 새로운 변수의 생성을 위해 최소/최대 자기상관 인자 변환을 적용하였으며, 적용 결과 개별 변수들의 독립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다중 가우시안 확률 모델을 따르지 않는 변수들의 비모수적 조건부 누적 확률 분포 모델링을 위해 지시자 변환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적용한 변환 방법들의 역순으로 역 변환을 적용하였다. 간석지 표층 퇴적물 성분 자료를 대상으로 제안 시뮬레이션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모든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구성 자료의 제한 조건을 만족하면서 샘플 자료의 통계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구성 자료의 다수의 시뮬레이션 결과들을 이용한 표층 퇴적물 분류를 통해 기존 크리깅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분류 결과의 확률론적 평가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제안 시뮬레이션 틀은 다양한 구성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