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x movie theater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복합 영화상영관의 화재안전성능 개선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s to Acquire Fire Safety Performance of Multiplex Movie Theaters)

  • 손봉세;장희철;김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6-124
    • /
    • 2006
  • 복합 영화관은 여러 계층 및 연령대의 불특정다수인이 동시에 영화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이다. 이러한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은 다른 일반 소방대상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전에 취약한 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 있는 기존의 복합 상영관의 대표적인 모델을 선정하여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피난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국의 관련기준과 비교하여 화재안전성능 확보에 필요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오프라인 영화 관람객의 가치 인식 유형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 구매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Image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Multiplex Cinemas according to the Types of Value Perceptions of Offline Movie Viewers)

  • 이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94-504
    • /
    • 2021
  •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확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은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에 있어 전반적인 악재로 작용했다. 이에 더해 디지털 시프팅(Digital Shifting) 현상이 가미되며 국내 오프라인 영화관은 새로운 성장의 판로를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소비자의 가치 인식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가치 인식 유형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와 구매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350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표집한 뒤, 연구 모형에 따른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프라인 영화 관람객의 가치인식 유형 중 실용성이 브랜드이미지 구축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충실성이 오프라인 영화 관람의 구매 만족도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오프라인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는 영화 관람객들의 구매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오프라인 영화관의 뉴노멀 시대 속의 새로운 생존 전략을 제시하였다.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Online Consumer Engagement on Multiplex Social Network Sites: A Value Exchange Perspective

  • Zhu, Zong-Yi;Kim, Hyeon-Cheol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6호
    • /
    • pp.139-157
    • /
    • 2019
  • This study is intended for demonstrating the impacts of different factors on the formation of online consumer engagement behavior of young Chinese moviegoer in Korea. Based on Value-Exchange Model [Itani et al., 2019], we build research model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movie information value, multiplex-audience relationship quality, multiplex usage satisfaction, and online consumer engagement through experiments on valid data we collected from 186 participants who had lived in Korea and experienced the multiplex pages of top 3 movie theaters, where Smart PLS 3.0 is the tool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oth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movie information value positively correlate to multiplex-audience relationship quality, and multiplex audience relationship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multiplex usage satisfaction and online consumer engagement.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relationship quality plays the role of mediator between perceived enjoyment and satisfa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offer both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ovie distributors who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potential Chinese consumer market in Korea.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보유시설, 상권 및 입지요인이 영화관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Determinants of Multiplex Movie Theater's Box Office Performance :Focused on Facilities, Trade Area and Location Factors)

  • 송치훈;박경도;이호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10-122
    • /
    • 2014
  • 우리나라의 영화산업은 지난 10여 년 간 비약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에 따라 영화의 흥행이나 영화관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영화의 흥행이나 영화관 매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화의 제작이나 배급 또는 상영단계의 영화컨텐츠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영화산업은 미국과는 다르게 대기업에 의한 제작, 배급, 상영단계가 수직계열화 되어 있고, 이들이 운영하는 멀티플렉스가 전체 극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 컨텐츠 요소가 영화관 매출에 끼치는 영향보다는 오히려, 영화관 자체의 시설이나, 영화관 주변의 상권 입지요인이 영화관 매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상권이나 입지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졌던 자원 기반이론과 산업조직론의 S-C-PParadigm을 바탕으로, 영화관 자체의 내부환경 즉, 영화관 특성 요인과 영화관의 외부환경인 상권 입지요인(입지특성, 접근특성, 인구통계특성)이 영화관 매출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영관 평균 수용인원은 대도시 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의 영화상영관에도 매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대도시(인구 100만명 이상)에 위치한 영화상영관은 상대적으로 영화관 특성요인(진동좌석, 특수음향시설, 프리미엄영화관, VIP라운지의 유무)들이, 중소도시에 위치한 영화관은 입지특성(쇼핑몰 입점여부, 경쟁업체)이나 접근특성(지하철역, 버스노선)이 더 영화관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CJ CGV의 VRIO 모델을 통한 핵심역량분석 (An Analysis on the Core Competence Through the VRIO Model of CJ CGV)

  • 김은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3-3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멀티플렉스 영화산업에 관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경영전략관점에서 CJ CGV만의 혁신적인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컬쳐플렉스의 확대과정을 바탕으로 주요 성공요소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핵심역량 전략인 VRIO(Value, Rareness, Inimitability, Organization)모델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J CGV의 차별화된 가치로는 영화관의 문화놀이터인 컬쳐플렉스이고, 희소성에서는 영화관의 기술적 혁신을 통한 종합생활문화공간으로의 변신이며, 모방불가능성에는 사회공헌으로써 CGV의 사회적 브랜드파워 확립하였으며, 조직화하는데 전 세계의 CGV 글러벌화 등이 CJ CGV의 핵심역량으로 나왔음을 알 수 있다. 기존 영화관의 활용도를 넓혀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개발에 앞장서 CJ CGV는 문화 체험영화관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CJ CGV는 끊임없는 경쟁 지배력을 높여 CGV만의 핵심역량 기업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는 것이다.

멀티플렉스 상영관 운영 중단에 따른 관람 행태 영향 : 춘천 CGV 휴관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Watching Behavior in Multiplex Screening Interruption : In Centering of Chuncheon CGV Closing)

  • 서정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1호
    • /
    • pp.71-84
    • /
    • 2010
  • 현재 국내 영화 산업의 배급 구조는 멀티플렉스 체인으로 시장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중소 영세 상영관들은 시장에서 퇴출되고 있으며, 멀티플렉스 체인은 수직결합 구조의 독점화로 시장 형성을 하고 있다. 춘천에서는 1개월간의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상영 중단은 수직결합 구조의 문제를 발생시켰고, 이 문제현상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발생시켰다. 특히 문화적 욕구에 대한 영향이 나타났으며, 불법 콘텐츠로의 접근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수직결합 구조의 멀티플렉스 극장이 시장을 점유해 나가는 과정과 함께 병행되었던 중소 영세 상영관의 몰락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로 인해 수직결합 구조의 상영관이 수평결합 구조의 상영관을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과정이 완성된 춘천 지역에서, 2008년 9월 2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 춘천CGV가 상영 중단되는 현상을 통해 발생되었던 영향을 설문을 통해 파악하여 수직결합 구조가 문제가 생기면 발생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영화 산업의 주요 소비자인 20대 계층은, 멀티플렉스 휴관으로 인하여 개봉 영화에 대해 접근성이 약화되면, 불법 콘텐츠로의 접근 충동을 느끼는 영향을 받고 있다. 개봉 시기에 관람을 놓친 영화에 대해서는 상영관 방문보다는 불법 콘텐츠나 기록매체로 출시되는 영화를 선호하고 있다. 또한, 영화가 개봉되는 시기에 관람을 해야 하는 시기 적절성에 대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즉, 개봉 영화에 대한 불법적 접근 방식, 기록매체를 활용한 상시 접근성, 개봉에 대한 시기 적절성이 관람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멀티플렉스 모바일 서비스 품질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이용 즐거움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Influence of Multiplex Mobile Service Quality on Online Word of Mou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Use Enjoy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이한솔;김현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4호
    • /
    • pp.123-143
    • /
    • 2018
  • The domestic multiplex industry provides consumers with a choice of movies and a variety of contents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services. In addition, the number of movie theaters with the significant market potential is also steadily increasing in the competitive multiplex market environment. For the analysis, we conducted research on 300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using domestic multiplex mobile service within the recent year.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ulti-dimensional mobile service quality of multiple, enjoyment of use, and online word of mouth intention. Also, it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enjoyment of us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structural model. As a result, the mobile service quality of multiplex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nline word of mouth intention through the enjoyment of use.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f participating adolescents in the relationships. Based on the analysis of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 series of theocra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rketing strategies of multiplex in the highly competitive market.

국내 복합상영관 시설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A Optimization of Fire Safety Design in Multiplex Cinema Theater)

  • 허준호;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3-50
    • /
    • 2002
  • 21세기들어 영화산업의 발달로 탄생한 복합상영관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문화생활을 즐기고 소비하는 장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복합상영관을 이용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불특정다수인으로 복합상영관의 구조와 관련정보가 매우 부족하여 현실적으로 화재시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복합상영관은 대부분 대형지하공간 또는 초고층건물의 상충부에 십여개의 상영관과 다양한 문화시설이 자리잡아 일시에 수많은 인파가 몰리는 대표적 다중이용시설이다. 만일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수많은 관객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합상영관에서의 화재·피난안전상 체계적인 방재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복합상영관의 개념정립과 공간 및 위치에 따른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한 방재대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 영화 4대 배급사의 흥행 10분위 기반 배급 행태 분석 (Analysis on Deciles Distribution Behaviors of Four Major Korean Movie Distribution Companies and the Rest)

  • 김정호;김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05-322
    • /
    • 2016
  • 한국 영화의 배급은 CJ E & M, 롯데, 쇼박스, NEW의 4대 메이저 배급사를 통해서 이뤄지고, CJ CGV, 롯데 시네마, 메가 박스의 3대 멀티플렉스를 통해서 관객에게 선보인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배급된 한국영화 538편수 중에서, 이들 4대 배급사는 290편을 배급하여 배급점유율은 53.9% 이나 관객점유율은 85.74%를 차지한다. 나머지 248편을 배급하여 배급편수의 46.09%를 차지하는 4대 배급사 이외의 기타배급의 형태는 14.26%의 관객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현실이다. 4대 배급사 중에 CJ와 롯데는 배급과 극장 사업을 함께 가지고 있다. 멀티플렉스와 와이드 릴리스 전략, 4대 메이저 배급 회사와 3대 멀티플렉스 체인의 독과점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 흥행의 양극화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작품수, 동원 관객 수, 상영 스크린 수, 상영 횟수, 좌석 확보수 등의 척도에서 기타 배급사의 영화들은 각 흥행순위 구간에서, 모든 척도의 평균값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유일한 예외는 작품수로 기타배급은 흥행순위 중간 40%구간에 61편, 하위50%구간에 186편이 위치하고, 상위2-9%구간에는 1편, 상위 1%구간에는 작품이 없다. 하위50%구간의 기타배급 영화의 좌석점유율은 동일구간의 4대 배급사 영화의 좌석점유율이나 평균점유율보다 높은 최고로 16.83%를 기록한다. 기타배급의 이러한 열악한 상황은 해가 갈수록 점점 악화되어서, 우리나라 흥행 양극화의 심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고자 하는 몸부림과 VOD 시장의 활성화는 1980년대 VCR 의 등장과 함께 활성화된 에로영화의 유행을 다시 가져왔다. 스크린점유율과 더불어서, 상영점유율을 통해서 우리나라 영화시장 경쟁의 공정성을 주시하고, 새로운 배급채널과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