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culoskeletal Disorder Observable Sympto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과 질병 및 사고 결근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fighter's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observable symptoms and their absence from disease and accident)

  • 최서연;박일규;이동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9-9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fighter's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observable symptom and their absence from disease and accident.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with a total of 7,673 fire fighte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 shows that on a one year basis,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observable symptom felt symptom in sequence of back, shoulder, neck, knee. The result verified that 12.9% of absence of disease and 5.9% of absence of accident experienced these symptoms. Both absence from disease and absence from accident showed body part symptoms related to neck and shoulder. This study ascer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fighters' absence and their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observable symptom. The author hopes this study to be used as a basis of precautionary program for absence management.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Musculoskeletal Workload Evaluation in Physical Therapist)

  • 성연범;서형석;이중호;박영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99-4008
    • /
    • 2012
  •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직무에 따른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WMSD)s에 대한 증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통증치료군(56명), 성인 운동치료군(53명), 소아 운동치료군(22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증상조사표와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를 사용하여 근골격계 증상 및 작업의 유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증치료군 69.6%, 성인 운동치료군 84.9%, 소아 운동치료군 81.8%, 평균 77.9%의 자각 증상 호소율을 보였다. RULA를 이용한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에서 Final Wrist & Arm Score와 Final Score에서 성인 운동치료군이 단위 시간당 작업 부하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ction Level은 통증치료군이 평균 $3.0{\pm}0.9$, 성인 운동치료군은 $3.3{\pm}0.6$, 소아 운동치료군은 $3.2{\pm}0.8$로 성인 운동치료군에서 가장 높았다.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키, 가사 노동, 육체적 부담정도, 과거 사고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물리치료사의 WMSDs를 방지하기 위한 장비 및 교육시스템이 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