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 Data

검색결과 679건 처리시간 0.025초

4가지 관점의 마이데이터 융합서비스 활성화 전략: 유럽과 한국을 비교하여 (Strategies to Activate MyData Convergence Services from Four Perspectives: Compared to Europe and Korea )

  • 박주석;김혜영;김한성;최민령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1-195
    • /
    • 2021
  • 개인데이터의 활용을 넘어서 마이데이터로의 전환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은 가운데, 실질적으로 마이데이터의 이념이 구현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마이데이터의 사상에 충실한 유용한 서비스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마이데이터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융합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융합서비스 활성화 전략을 균형 잡힌 네 가지 관점(BLTS: Business, Legal, Technology, Social)에서 제시하였다. 마이데이터 분야에서 가장 선구적이라는 유럽의 정책과 서비스 등을 국내 상황과 비교하여 국내의 융합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이데이터 산업 및 정책에서 균형적이면서 발전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 모델 연구 (The MyData Business Ecosystem Model)

  • 양경란;박수경;이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67-180
    • /
    • 2021
  •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개념 태동에 따라, 기존과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의 프레임워크와 해당 생태계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의 주권을 행사하는 것이기에, 개인이 비즈니스의 핵심 행위자로 참여한다는 특성이 존재한다. 마이데이터 소유자인 개인, 마이데이터 생성자 및 활용 서비스 제공자와 더불어 개인의 데이터 관리를 지원하는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가 비즈니스 생태계에 참여한다. 이에, 마이데이터 산업 생태계는 기존의 디지털 비즈니스 생태계와 상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마이데이터 생태계를 세밀히 분석한 연구들은 아직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마이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외 마이데이터 비즈니스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45개의 해외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 사례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여 4개 그룹 7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마이데이터 산업 생태계에서 마이데이터 오퍼레이터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발전적 생태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이데이터 기본 특성이 서비스와 정부정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Basic Characteristic of MyData on the Its Services and Government Policies - focusing on major countries' cases)

  • 이세영;변경근;조성원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7-86
    • /
    • 2023
  •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개인데이터의 활용과 보호라는 양면을 지닌 마이데이터의 기본특성을 법제도 측면에 다룬 기존 연구와는 달리,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외의 마이데이터 서비스와 정부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이데이터의 기본특성은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수용과 활성화를 위한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며, 주요국가의 마이데이터 정책에 있어 추구하는 가치와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앞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와 정부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마이데이터의 기본특성을 반영한 보다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의 건전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바람직한 정부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기여하길 기대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 의도와 요인에 대한 사용자와 금융사 직원의 인식 비교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Users' and Financial Company Employees' on MyData Services: Using Q Methodology)

  • 이정우;김철민;송영규;박현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5
    • /
    • 2022
  • The financial MyData service has implemented in January 2022 and launched 45 services by banks, securities, credit cards and fintech companies.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identify the user types of MyData services and compared the perceptions of employees of financial institutions who plan and develop the MyData services. There are three types of MyData service users: active users, limited users who focus on consumption and asset status inquiry, and sensitive users for personal information. There were two types of recognition of financial company employees. One is the active user support other is the sensitive user for personal information support. The analysis of subjective perception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a company's MyData service marketing strategy and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to improve the MyData ecosystem.

국내 마이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미국, 유럽 마이데이터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yData Use Among the U.S., Europe, and the Korean Governments)

  • 이명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201
    • /
    • 2020
  • 소셜 데이터, 공공 데이터, 개인정보 등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를 활용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에서는 마이데이터에 대한 정책이 시도되고 있으며 2019년 국내에서도 마이데이터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마이데이터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의 마이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호환 및 데이터 품질 측면에서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개인의 마이데이터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역량과 기관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s Intention to Provide MyData: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apabilities and Institutional Type)

  • 박동근;양성병;윤상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1호
    • /
    • pp.73-97
    • /
    • 2023
  • 최근 데이터의 중요성과 개인정보보호에 관련된 이슈가 함께 주목받으면서, 마이데이터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본인 정보에 대한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개인의 동의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 및 활용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고객정보를 결합, 분석하여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초기 마이데이터 사업은 민간기업, 금융산업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었지만, 최근에는 공공기관도 마이데이터 활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편, 마이데이터 사업의 성공을 위한 개인의 마이데이터 제공의도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더욱이, 기존 연구는 마이데이터의 개인혜택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나, 공공혜택 및 지각된 위험 측면 요인이 모두 함께 고려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제공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통해 도출한 후, 그 영향 메커니즘을 살펴봄과 동시에, 개인역량과 수집기관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추가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 제공의도 맥락에서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민간 및 공공기관이 마이데이터 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 자산관리 앱 사용성 평가 - 데이터 시각화를 중심으로 - (UX evaluation of MyData-based financial asset management app - Focusing on Data Visualization)

  • 김은영;한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23-233
    • /
    • 2021
  • 2020년 8월 데이터 3법의 개정으로 마이데이터 산업이 가능해졌으며, 2021년 2월부터 각 개인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앱을 통하여 마이데이터 금융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금융서비스 시대에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 자산 관리 앱의 사용자경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8개 기관의 11개의 앱의 사용성 평가를 진행한 후 평균값 비교, 방사형 그래프 분석, 히트맵 분석을 통하여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앱 디자인 선호도에서는 자산리스트형이 가장 선호하는 형으로, 다음으로는 자산 비교·리스트형으로 나타났다. 마이데이터를 통해 향후 누릴 수 있는 혜택에 대한 기대인식으로는 '편리한 서비스의 다양화'가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용자가 느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개인정보와 관련한 요소가 7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마이데이터 플랫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과 개선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Data Service Attributes on Intention to Use)

  • 김수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71-278
    • /
    • 2022
  •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개인의 금융, 신용 등 데이터를 통합 및 관리해 주는 서비스로, 점차 다양한 분야의 개인 데이터가 통합되면서 개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는 것은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속성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서비스 속성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어 "편리성", "유용성", "보안성", "통제성"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 요인들과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분석하는 탐색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속성 요인들 중에, "편리성", "유용성", "통제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보안성" 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성"이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업자는 이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통제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하고, 이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이 제공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공영역에서 의료 마이데이터(MyData) 생태계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ealth MyData ecosystem in the public domain)

  • 박효주;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11-522
    • /
    • 2020
  • 본 논문은 공공영역에서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생태계 구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마이데이터 사업의 유형을 비즈니스 도메인별, 주체별, 목적별, 방식별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에서 추진되고 있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나리오 기법을 통해 공공영역에서 추진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사업의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각 시나리오를 추진하기 위한 주체별 역할 및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생태계 구성 주체별 전략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민감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민간에서 시작하기에 이슈가 많은 의료 마이데이터 사업이 국내에 정착하기 위해 공공영역에서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드러내는데 1차적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생태계가 구축되기 위해 예상되는 이슈를 파악하고, 향후 마이 데이터 사업이 국내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논의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MyData Personal Data Store Model(PDS) to Enhance Information Security for Guarantee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 Min, Seong-hyun;Son, Kyung-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2호
    • /
    • pp.587-608
    • /
    • 2022
  • The European Union recently established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for secure data use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spired by this, South Korea revised thei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collectively known as the "Three Data Bills," which prescribe safe personal information use based on pseudonymous data processing. Based on these bills, the personal data store (PDS) has received attention because it utilizes the MyData service, which actively manages and controls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approval of individuals, and it practically ensures their rights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Various types of PDS models have been developed by several countries (e.g., the US, Europe, and Japan) and global platform firm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now initiated MyData service projects for personal information use in the financial field, focusing on personal credit information management. There is also a nee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is service in diverse fields (e.g., medical). However, despite the increased attention, existing MyData models and frameworks do not satisfy security requirements of ensured traceability, transparency, and distributed authentic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use. This study analyzes primary PDS models and compares them to 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framework fo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with guidelines on MyData so that a proper PDS model can be proposed for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