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MA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Salmonella / Microsome Assay 에서의 N-nitrosodimethylamine의 돌연변이 유발성과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대한 비타민 C의 영향 (Mutagenicity of N-Nitrosodimethylamine in Salmonella / Microsome Assay and the Effect of Vitamin C on the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김소희;박건영;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0-265
    • /
    • 1991
  • Salmonella/microsome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N -nitrosodimethylamine (NDMA)의 돌연변이유발성을 검토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비타민 C가 NDMA자체의 돌연변이유발과 nitrite와 2급아민으로부터의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NDMA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S9중 Aroclor1254로 induce시킨 hamster S9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Aroclor 1254나 phenobarbital로 induce시킨 rat 59 mix에 의하여서는 활성화가 약하였다. DMSO와 ethanol에 NDMA를 녹였을 때는 돌연변이유발실험에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나 phosphate buffer(pH 7. 4), 증류수, 95% methanol, Tween 80 + water(l : 4)는 저해 효과가 없었다. 비타민 C는 이미 생성환 NDMA에 대해서는 돌연변이 유발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nitrite와 2급 아민(dimethylamine)으로 부터의 NDMA 생성은 크게 저해하였다. 반응물에 비타민C를 첨가한 경우 Salmonella typhimurium TAl00의 revertant 수가 spontaneous숫자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HPLC를 이용한 NDMA의 분석에서도 거의 95% 까지의 정량적인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UV공정을 이용한 NDMA처리 통계적 최적화 연구 (The Study of Statistical Optimization of NDMA Treatment using UV-Process)

  • 송원용;장순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6-101
    • /
    • 2009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experimental design methodology to optimizetion the photolytic degrad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Reactions were mathematically describ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such as pH, initial NDMA concentration, and UV intensity using the Box-Behnke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ses of NDMA removal (%) in photolysi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ynergistic effect of linear term of pH, initial NDMA concentration and UV intensity. The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se Methodology (RSM) using the Box-Behnken method yield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val (%) of NDMA and test variables in coded unit: Y = 50.929 + 16.073(UV) - 7.909(NDMA) - 27.432(pH) - 11.385(UV)(NDMA) - 7.363(UV)(pH) +13.811(NDMA)(pH). The model predictions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esult ($R_2(ad.)=89%$).

식품중 Nitrosamine 관련물질의 함량과 시험관내에서 NDMA의 생성조건 (Contents of Nitrosamine Related Compounds in Some Foods and Condition for NDMA Formation in Vitro)

  • 김병태;김두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9권1호
    • /
    • pp.76-88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tents of nitrosamine precursors such as trite and dimethylamine( DMA ) in some foods. The diazo and Cu- dithiocarbamate melt were used for determination, respectively. The major affecting factors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 formation such as pH, contents of DMA and NaNO$_{2}$, other chemicals, and UV- ray in beverage were investigated in vitro. The contents of nitrite in meat sausage and meat ham were 6.44 ∼ 18.66ppm and 12.85- 39.95pp% respectively, And extremely low level was detected in a certain kind of fish sausage. The contents of DMA in meat sausage meat ham and fish sausage were 3.34∼15. 85ppm, 1.20∼7.10ppm and 7.38∼12.28ppm, respectively. The optimum pH for NDMA formation in vitro was 3.0. NDMA formation was rapidly occurred at high temperature and formed above 80% within 1 hour reaction. The formation of NDMA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DMA and the square of the nitrite concentration. 0.1 M of sodium citrate, sodium tartarated and sodium taiocyanate enhanced NDMA formation. But sodium chloride did not affect. However, 0.3M of ascorbic acid, erythroid acid, ascorbic, palmitate and propy, gallate inhibited NDMA formalion approximately 78%,81%,86% and 85%, respectively. Cow milk and soybean milk inhibited 35 ∼47% of NDMA formation but orange juice and apple juice enhanced 15 ∼64% of NDMA formation. The peak in HPLC for NDMA disappeared by irradiation of UV to prior formed NDMA This result suggest that NDMA was destroyed by UV irradiation.

  • PDF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예측과 비교 연구 (Prediction and Comparison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 김종오;김동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2-4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H가 7과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 변화에 따른 NDMA 생성농도를 측정하여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NDMA 생성에 큰 차이를 보여 통계분석에서 구분하여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NDMA 생성 농도는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개발한 회귀식을 근거로 하여 NDMA 생성 농도를 기존 연구에 적용한 결과 상대오차는 $-79{\sim}163%$로 조사되었다. 상수 처리장에서 원수의 디메칠아민 농도를 알 경우 이 식을 적용 하면 NDMA 발생 범위를 제시하여 주입할 클로라민 농도나 전처리 필요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모노클로라민과 디메틸아민 농도가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chloramine and Dimethylamine Concentrations on the NDMA Formation)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55-759
    • /
    • 2008
  • 모노클로라민과 디메틸아민 농도와 관련 있는 염소, 질소, 탄소 비율에 따라서 소독부산물인 NDMA 생성을 여러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디메틸아민/모노클로라민 비율이 1에 근접 할 경우에 NDMA 생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주 작거나 너무 클 경우 생성은 급속하게 감소하였다. 염소/질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NDMA 생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염소 성분이 생성에 중요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접촉시간에 따른 NDMA 생성 영향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72시간에서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pH는 NDMA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항목에 따른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비교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2-1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처리에서 모노클로라민을 주입 할 경우 살균 부산물로 NDMA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pH, 디메칠아민 및 모노클로라민 농도, 질소비율의 변화에 따른 NDMA 생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디메칠아민 농도를 0.01 mM또는 0.05 mM로 고정시킨 조건에서 모노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따라 NDMA 생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DMA 생성 농도는 일반적으로 pH와 모노클로라민에 존재하는 질소비율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나는 상관성을 보여 주었으며, pH 7과 8에서는 디메칠아민을 5배 증가시킨 결과 거의 모든 조건에서 NDMA 생성도 5배 이상 증가하였다. 수 처리장에서 염소살균 결과 모노클로라민이 존재 할 경우 NDMA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하수에서 N-Nitrosodimethylamine (NDMA) 발생 및 처리법 비교 분석 (Formation and Treatment Methods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Water and Wastewater)

  • 김종오;이우범;박수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5-101
    • /
    • 2014
  • Overall studies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nd treatment method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occurrence in several countries and emerging treatment technologies of NDMA were generally reviewed. The NDMA formation was dependent on pH, contact time, and molar ratio (monochloramine/dimethylamine). The formation was rapidly increased when the molar ratio was greater than 1. It was likely that monochloramine could be related to stimulate NDMA formation. NDMA concentrations in water supply and wastewater plants after disinfection were approximately 10 ng/L and 100 ng/L, respectively. UV oxid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are regarded as effective technologies for the NDMA removal. It is suggested that the UV oxidation with proper lamps is applied in water supply system.

pH 변화에 따른 N-Nitrosodimethylamine (NDMA) 생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ccording to pH Variation)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0-393
    • /
    • 2005
  • 최근 발암 가능성 물질로 알려진 N-Nitrosodimethylamine (NDMA)가 미국 및 캐나다 상수도 공급시설에서 발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가 6, 7,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0.001-0.1 mM) 변화에 따른 NDMA 생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디메칠아민 농도에서 NDMA 최대 생성율은 pH 7과 8에서 각각 2.4% 및 1.5%로 나타났으며, 주입 클로라민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성율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pH가 7, 8인 조건에서 NDMA 생성농도와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 사이에 높은 연관성을 얻었다($r^2>0.99$). NDMA 생성은 클로라민 농도와 선형 연관성이 있었다.

분말활성탄을 이용한 극미량 농도 Nitrosomethylamine의 흡착 제거 (Removal of Nitrosomethylamine at Extremely Low Concentration by Powdered Activated Carbon)

  • 이성범;윤여민;최창규;김문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13-416
    • /
    • 2008
  • Recently, the results of vital tissue test showed that nitrosodimethylamine (NDMA) as a disinfection by-product (DBP), could be regarded as a carcinogen because a tumor was observed in organs. U.S.EPA indicated 0.7 ng/L as exposure concentration of NDMA based on a risk assessment target with a lifetime cancer risk of $10^{-6}$.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UV oxidation could remove NDMA. However, UV oxidation is uneconomical and can reform NDMA after treating. In addition, the treatment mechanism of adsorption has not been founddue to the uncertainty of NDMA pathway. In addtion, NDMA has a radioisotope $^{14}C$-labeled which can be analyzed at low concentration of NDMA by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LSC). This study has investigated NDMA determination using LSC at an extremely low range from 1 to 100 ng/L and NDMA removal by powdered activated carbon (PAC) adsorption. For $^{14}C$-NDMA by LSC, the highest correlation over 99% between count number and NDMA concentrationwas obtained with possibility of $^{14}C$-NDMA concentration up to 1 ng/L. In the presence of PAC ranging from 50 to 10,000 mg/L, $^{14}C$-NDMA was removed from 18% to 97% for Sigma-Aldrich corporation (S-A co.) and from 9% to 93% by PAC for Daejung corporation (Dj co.). Hence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by PAC adsorption could vary depending on PAC types from different companies. For PAC adsorption capacity of $^{14}C$-NDMA using the Freundlich isotherm, $K_f$ and 1/n of PAC from S-A co. were $2.67\times10^{-3}$ ng/mg and 1.009, while those of PAC from Dj co. were $1.30\times10^{-3}$ ng/mg and 0.994, respectively. Thus, PAC from S-A co. showed twice higher adsorption capacity than Dj co.

  • PDF

멸치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6-613
    • /
    • 1997
  • 멸치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 후 7.1에서 숙성 110일 후 5.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 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 중 NDMA 함랑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NDMA 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 실험 결과, 멸치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8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 과, 멸치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