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3-N

검색결과 2,421건 처리시간 0.034초

NFT재배에서 $\textrm{CO}_2$ 시용과 배양액의 $\textrm{NO}_3$:$\textrm{NH}_4$비율이 결구상추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rm{NO}_3$-N:$\textrm{NH}_4$-N Ratio and Elevated $\textrm{CO}_2$ on Growth and Quality of Lactuca sativa L. in Nutrient Film Technique)

  • 원선이;조영렬;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130
    • /
    • 1996
  • 본 실험은 NFT재배에서 배양액내 NO$_3$-N과 NH$_4$-N의 비율과 $CO_2$ 시용이 결구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양액의 pH와 EC를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NO$_3$-N:NH$_4$-N이 100:0인 구에서의 pH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NH$_4$-N의 비율이 높을수록 급격히 저하하여 pH4.0까지 낮아졌다. 2. 배양액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NO$_3$-N 및 NH$_4$-N의 일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NO$_3$-N의 흡수율은 NO$_3$-N:NH$_4$-N이 75:25, 50:50 처리구에서 각각 27.7%, 26.1% 였으나 NH$_4$-N의 흡수율은 87.9%, 71.2%로 결구상추는 NH$_4$-N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였다. 3. 엽내 무기성분 함량에서 T-N는 NO$_3$-N과 NH$_4$-N 비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_2$O$_{5}$, $K_2$O, CaO, MgO는 생육이 가장 좋았던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에서 높게 나타났다. 4. $CO_2$ 시용에 의한 각 처리별 $CO_2$ 동화율도 수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NH$_4$-N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저히 떨어졌다. 5. 결구상추의 생육은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CO_2$ 무처리구에 비하여 $CO_2$ 1500ppm 처리구에서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NO$_3$-N:NH$_4$-N이 75:25, 50:50인 처리에서는 $CO_2$ 시용에 의한 수량의 증가가 경미하여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엽중 nitrate함량은 배양액의 NO$_3$-N함량과 비례하여 NO$_3$-N:NH$_4$-N 이 100:0에서 가장 높았고, vitamin C 함량은 NO$_3$-N:NH$_4$-N이 100:0인 처리에서 가장 낮고, NH$_4$-N의 비율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CO_2$ 시용에 의하여 엽중 질산염함량은 경감할 수는 있었으나 그 효과는 경미하였다.다.

  • PDF

딸기 수경재배에서 $NO_3-N$$NH_4-N$의 비율이 '장희(章姬)'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_3-N$ : $NH_4-N$ Ratio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y 'Akihime' in Hydroponic System)

  • 전하준;황진규;손미자;윤혜숙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0-45
    • /
    • 2009
  • 본 연구는 딸기 배양액의 $NO_3-N$$NH_4-N$의 비율을 달리하여 '장희(章姬)' 딸기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 그리고 양이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NO_3-N$$NH_4-N$의 비율은 5.5:0, 4.0:1.5, $3.0:2.5me{\cdot}L^{-1}$로 조절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배양액내의 $NH_4-N$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pH가 낮았으며, EC는 전 실험기간 동안 $0.8{\sim}1.0dS{\cdot}m^{-1}$로 4월 이후에 5.5: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약간 낮았으나 그 외에는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NO_3-N:NH_4-N$를 3.0:2.5로 $NH_4-N$의 비율을 높여도 양이온의 흡수에 길항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의 엽병장과 엽폭은 $NO_3-N$의 단독 처리구 보다 $NO_3-N:NH_4-N$이 4.0:1.5와 3.0:2.5인 처리구에서 더 길어졌다. $NO_3-N:NH_4-N$이 4.0:1.5와 3.0:2.5 처리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장, 과경, 과중, 당도는 $NO_3-N$$NH_4-N$비율 차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주당 과실 수량은 $NO_3-N:NH_4-N$ 4.0:1.5의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두 처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 기간 동안 이상과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수경재배시 $\textrm{NO}_3$-N과 $\textrm{NH}_4$-N의 비율이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xtrm{NO}_3$-N and $\textrm{NH}_4$-N Ratio on the Growth of Perilla frutescens in Hydroponics)

  • 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9-125
    • /
    • 1993
  • 수경재배에서 암모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의 비율이 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NO$_3$-N:NH$_4$-N의 비율을 12:0, 9:3, 6:6(me/$\ell$)으로 처리한 동계 실험의 결과, NO$_3$-N 단용구에서는 pH가 상승했고, NH$_4$-N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pH는 빠른 속도로 저하되었다. EC는 증가하였는데, 혼용구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다. 줄기의 기부둘레, 초장, 뿌리상태, 수확량은 NO$_3$-N:NH$_4$-N=6:6에서 가장 좋았으며, NO$_3$-N 단용구에서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엽중 무기물 함량중 질소, 칼리, 철, 인산은 NH$_4$-N 혼용구에서 많았고, Ca, Mg, Mn등은 NO$_3$-N 단용구에서 가장 많았다. 사사 : 들깨실험에 관하여 조언해 준 원예시험장의 임채일 연구관과 무기물 분석을 도와준 과수연구소 이한찬, 최인명 씨에게 감사드린다.

  • PDF

양액내 $\textrm{NO}_3^\;-$-N과 $\textrm{NH}_4^\;+$-N비가 잎파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rm{NO}_3^\;-$-N : $\textrm{NH}_4^\;+$-N Ratio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 박권우;이정훈;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9-105
    • /
    • 1994
  • 본 실험은 양액내 NO$_3$$^{-}$-N : NH$_4$$^{+}$-N 비율이 잎파(Allium fistulosum L.)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액내 pH는 NO$_3$$^{-}$-N : NH$_4$$^{+}$-N 비율이 9:1인 처리구에서는 상승하였고, NO$_3$$^{-}$-N : NH$_4$$^{+}$-N 비율이 1:1, 1:3인 처리구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3:1 처리구에서는 안정적인 PH를 유지하였다. 외관상 생육은 NO$_3$$^{-}$-N : NH$_4$$^{+}$-N 비율이 9:1인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NO$_3$$^{-}$-N : NH$_4$$^{+}$-N 비율이 1 :3인 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식물체내의 NO$_3$$^{-}$-N의 함량은 양액내의 NO$_3$$^{-}$-N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Pyruvic acid 함량은 생육이 양호한 NO$_3$$^{-}$-N : NH$_4$$^{+}$-N 비율이 9:1, 3:1인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1:3처리구에서는 낮았다.

  • PDF

하ㆍ폐수 고도처리를 위한 다기능의 질소원 분해능 균주의 분리 (Development of Bacteria for Removal of the Nitrogen in Wastewater)

  • 이진용;김진수;공성호;심호재;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1-26
    • /
    • 2003
  • 한국 경기도 일대의 하천으로부터 90 균주의 광합성 박테리아를 순수 분리ㆍ동정하였다. 이들중 고효율의 질소($NH_3$-N, $NO_{3{^{-}$-N)제거능을 가진 균주들을 다양한 조건(명처-혐기, 호기: 암처-혐기, 호기)하에서 선별하였다. $NH_3$-N은 위의 4가지 조건하에서 모든 균주가 제거하였고, 평균 제거율은 호기조건(83.8%)에서 혐기조건(75.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NH$_3$-N의 감소에 따른 $NH_3$-N증가는 일어나지 않았다. $NO_{3{^{-}$-N은 혐기조건에서 소수의 특정 균주에 의해 제거되었다. 명처-혐기조건에서 다양한 CODcr (mg/L)/biomass (mg/L)에 따른 실험 결과는 CODcr (mg/L)/biomass (mg/L)0.2에서 유기물(98.2%)과 $NH_3$-N(89.0%)의 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명처-혐기조건에서 다양한 C/N 비율에 따른 실험 결과는, 높은 C/N비 뿐만 아니라 낮은 C/N비(5:1)에서도 $NH_3$-N의 효과적인 제거율(75.8%)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NO_{3{^{-}$-N (96.0%)의 동시적 제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N$H_3$가 Si산화의 열유기 결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H_3$ on the Induced Defect in Si Oxidation)

  • 김영조;김철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03-409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Si(111)에 대한 건식산화와 어닐링에서 결함의 억제 또는 제거에 $NH_3$가 효과적임을 밝혔다. 산화방식은 건식산화(dry $O_2$ oxidation)및 $NH_3$산화($NH_3$ added in dry $O_2$oxidation)를 택하였고 $N_2$$NH_3N_2$분위기에서 어닐링 효과를 평가하였다. 건식산화에서는 발생되는 결함이 성장시간에 따라서 길이가 길어지며, $NH_3$산화에서는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초기산화를 $NH_3$산화로 하고서 건식산화를 하였을 때 계면에서의 결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건식산화 또는 $NH_3$산화를 한 후 이들 시료에 대하여 7.5% $NH_3N_2$분위로 어닐링하면OSF의 게터링(gettering)효과가 있었다. $NH_3$산화방식에서 7.5%$NH_3N_3$분위기로 어닐링했을때가 건식산화방식에 비하여 OSF의 길이가 20%정도 감소하였다. OSF의 모양은 pit형으로 (111)면에 대하여 (011)면 쪽으로 게터링이 일어났으며<110>방향으로 식각되는 성질이 있었다.

  • PDF

천연 Zeolite를 이용한 상수원수 중의 $NH_{3}-N$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moval $NH_{3}-N$ by Natural Zeolite in the Raw-Water)

  • 이지헌;김환범;안길원;박찬오;김익산;이종현;박혜영;박송인;이해훈
    • 환경위생공학
    • /
    • 제12권3호
    • /
    • pp.61-7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dsorption capacity of $NH_{3}-N$ by natural zeolite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for $NH_{3}-N$ eliminator of korea natural zeolite. The dominant clay minerals of zeolite was clinoptiloite. The amount of $NH_{3}-N$ adsorption by zeplit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article size of zeolite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zeolite to the volume of solution. Removal ratio of 100% of NH$_{3}$-N by non, 1st, 2nd regenerated cloumn was continued separately during 4.5, 18, 30hr and this amount was each 0.081, 0.324, 0.540g $NH_{3}-N/zero$.100g. The eluenting amount of K, Ca, Mg was increased on the zeolite cloumn according to that of Na decreased. The amount of 74% of $NH_{3}-N$ was desorved on the zeolite cloumn for regenerating treatment during 8hr. The perfect removal amount was $0.216gNH_{3}-N/zero$.100g on the zeolite cloumn with field sample.

  • PDF

The Effects of Dietary Urea on Microbial Populations in the Rumen of Sheep

  • Kanjanapruthipong, J.;Leng,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6호
    • /
    • pp.661-672
    • /
    • 1998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ange of concentrations of ruminal fluid ammonia ($NH_3$-N) on forage digestibility, microbial growth efficiency and the mix of microbial species. Urea was either continuously infused directly into the rumen of sheep fed 33.3 glh of oaten chaff (Exp. I) or sprayed onto the oaten chaff (750 g/d) given once daily (Exp. 2). Concentrations of $NH_3$-N increased with incremental addition of urea (p < 0.01). Volatile fatty acids (VFA) concentrations and 24 h in sacc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n the rumen were higher when supplemental urea was given (p < 0.01). The (C2 + C4) : C3 VFA ratio was lower (p < 0.05) when $NH_3$-N was above 200 mgN/I. The fungal sporangia appearing on oat leaf bl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urea was supplemented, indicating that $NH_3$-N was a growthlimiting nutrient for fungi at levels of $NH_3$-N below 30 mgN/l. The density of protozoa was highest when $NH_3$-N concentrations were adjusted to 30 mgN/I for continuously fed ($4.4{\times}10^5/ml$) and to 168 mgN/1 for once daily feeding ($2.9{\times}10^5/ml$). Thereafter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NH_3$-N, were associated with a concomitant decline in protozoal densities. At the concentration of $NH_3$-N above 200 mgN/l, the density of protozoa was similar to the density of protozoa in ruminal fluid of the control sheep ($1.8{\times}10^5/ml$). The efficiency of net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 the rumen calculated from purine excretion was 17-47% higher when the level of $NH_3$-N was above 200 mgN/1. The possibilities are that 1) there is less bacterial cell lysis in the rumen because of the concomitant decrease in the protozoal pool and/or 2) microbial growth per se in the rumen is more efficient with increasing $NH_3$-N concentrations.

Effect of Ruminal NH3-N Levels on Ruminal Fermentation, Purine Derivatives, Digestibility and Rice Straw Intake in Swamp Buffaloes

  • Wanapat, M.;Pimpa, 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6호
    • /
    • pp.904-907
    • /
    • 1999
  • The experiment was aimed at studying the effect of ruminal $NH_3-N$ levels on ruminal fermentation, microbial population, urinary purine derivative excretion, digestibility and rice straw intake in swamp buffaloes. Five, 3 to 4 years old, rumen fistulated swamp buffaloes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to rceive five different intraruminal infusions of $NH_4HCO_3$ (0, 150, 300, 450 and 600 g/d) on a continuous daily basis. Rice straw as a roughage was offered ad libitum while concentrate was given at 0.8% BW daily. The results were that as levels of $NH_4HCO_3$ increased, ruminal $NH_3-N$ concentrations increased from 7.1 to 34.4 mg%. The highest digestibility and voluntary straw intakes were found at 13.6 to 17.6 mg% ruminal $NH_3-N$ levels; straw intake was highest at 13.6 mg%. Total bacterial and protozoal counts linearly increased as the ruminal $NH_3-N$ increased and were highest at 17.6 mg%. Total urinary purine derivatives and allantoin excretion were highest (44.0, 37.4 mM/d) at 17.6 mg% ruminal $NH_3-N$. Highest total VFAs (115 mM) were obtained a 13.6 mg% ruminal $NH_3-N$ while blood urea nitrogen significantly increased as ruminal $NH_3-N$ increased.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optimum ruminal $NH_3-N$ in swamp buffaloes is higher than 13.6 mg%, for improving rumen ecolog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digestibility and straw intake.

질소 합성 균주의 분리에 의한 특성검토와 합성폐수중의 암모니아성질소 제거 (A study on characteristic by isolation of nitrogen synthetic microorganism and ammonia nitrogen removal in artificial wastewater)

  • 김수일;이기형;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117-12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생물학적 질소제거공정을 거치지 않고, 수중의 $NH_3-N$을 유기질소형태로 합성시키는 특수미생물을 분리, 이용하여 암모니아성질소로 오염된 폐수의 고도처리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NH_3-N$을 기질로 다량 이용할 수 있는 3종류의 특수미생물을 순수 분리한 후 무(無)염분조건과 염분조건(3%NaCl)에서 배양해 본 결과 M11은 염분조건에서, M12는 무(無)염분조건에서, M71의 경우는 양쪽 조건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탄소원(glucose)의 영향을 검토한 실험에서는 Glucose농도가 $5g/{\ell}$ 일 때, 미생물의 증식과 $NH_3-N$의 제거율이 가장 높았으나, 고농도(약 1000mg/L as $NH_3-N$) 조건하에서 $NH_3-N$의 제거율은 높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NH_3-N$의 농도는 100mg/L 일 때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했고, 이 때 $NO_2-N$$NO_3-N$의 증가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제거된 $NH_3-N$은 유기질소로 변환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pH완충과 인의 공급을 위한 $K_2HPO_4$ 농도는 미생물마다 최적 성장 농도는 조금씩 달랐으나, $5g/{\ell}$에서 적절한 성장조건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으로 특수미생물은 $NH_3-N$뿐만 아니라 $NO_2-N$$NO_3-N$도 질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할수록 $NH_3-N$의 제거율이 증가하는 뚜렷한 양상을 나타내어 추후 $NH_3-N$으로 오염된 폐수처리에의 높은 적용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