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5초

연근 추출물이 뇌혈류역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Extract on Cerebral Hemodynamics in Rats)

  • 이금수;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546-1551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NRN)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pial arterial diameter (PAD)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in normal and cerebral ischemic rats. A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neuronal cel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RN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and PA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NRN increased MABP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results suggested that NRN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by dilating PAD. Both rCBF and PAD were significantly and stably increased by NRN (10 mg/kg, i.p.) during the period of cerebral reperfusion, which contrasted with the findings of rapid and marked increase in control group. NRN significantly inhibite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neuronal cell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NRN prevented the neuronal death. It is suggested that NRN had an anti-ischemic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erebral hemodynamics and inhibitive effect on the brain damage.

연근(蓮根)이 St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병(糖尿病) 백서(白鼠)의 혈당(血糖) 및 혈중(血中) 지질(脂質)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유경;채중원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1-153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NRN) on production levels of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s. Methods : This study is about changes of blood glucose levels, body weights, levels of food and water uptak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 the body, triglyceride, Creatinine, and BUN production by NRN extract. Results : Treatment with NRN regulated blood glucose levels effectively, but treatment with NRN did not affect body weights, food and water uptake. In addition, treating with NRN also lower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which is important for diabetes, and also lowered levels of triglyceride, too.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not affected, but serum BUN levels were lowered by treating with NRN, which were elevated in diabet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RN is effective to treat DM level and also has anti-hyperlipidemic effect.

  • PDF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활성능과 주름저해 효능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y and Wrinkl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장영아;염보슬;김세기;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92-1199
    • /
    • 2019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의 마디부분을 70%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효능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세포(B16F10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주름활성억제 평가를 위해 collagen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또한 UVB로 유도된 섬유아세포(CCD-986sk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matrix metalloprotease (MMP-1) inhibition 및 procollagen synthesis를 평가하였다. 미백활성 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western bolt 결과,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두 단백질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inhibiion 실험의 결과, $5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EGCG와 효능이 비슷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Procollagen synthesis 결과 UVB 자극군에 의해 콜라겐 합성은 68.8%로 감소되었으며 시료의 $25{\mu}g/ml$의 농도에서 80.2%의 콜라겐 합성에 회복능을 보였다. MMP-1 inhibition 실험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20.2%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는 NRN의 미백 및 주름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실습선 가야호의 항해 중 선내 소음에 대한 승선환경 (Boarding Environment of Training Ship KAYA to the Noise during the Voyage)

  • 김민선;신현옥;김민석;황보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18-230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noise level on the boarding environment in a stern trawl ship, KAYA(GT: 1,737 ton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e measured the noise level at a working, an accommodation and a teaching area, and an engine space on January 9, 2010 while the KAYA was sailing on a liner sea route. At the working area, the ranges of the noise rating number(NRN) and the NRN determination frequency(FNRN) were from 44 to 73 and from 1000 to 2000Hz,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generally satisfied the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The noise level at the area, except the radio room(w2), was exceeded the criteria(50dB(A)) for the efficient studying and working. The noise level at the engine control room and the machine workshop was respectively exceeded 1.2dB and 9.5dB than the criteria caused the conversation disturbance (70dB(A)). At the accommodation, NRN and FNRN were from 49 to 54 and from 1000 to 4000Hz, respectively. The noise level was below the criteria of IMO, but above 40dB(A) caused the sleep disturbance. At the teaching area, NRN and FNRN were from 44 to 63 and from 500 to 2000Hz, respectively. The noise level was exceeded than the criteria(50dB(A)) for the efficient studying. At the engine space, NRN and FNRN were from 95 to 100 and from 2000 to 4000Hz, respectively. The noise level was above the criteria of IMO(90dB(A)) for the residence, while it was not exceeded 110dB(A) for the transient.

국가연구망의 발전방향 및 차세대 국가연구망 보안 (Developement Strategy for the National Research Network and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 이명선;조부승;박형우;김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11
    • /
    • 2016
  • 최근 광네트워킹 기술의 급격한 발전, SDN (Software-Defined Network) 및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로 대두되는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화, 그리고 단순한 고성능연결서비스를 포함한 연구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써의 연구망 등 인터넷 서비스을 포함한 연구망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슈퍼컴과 함께 국가과학기술경쟁력을 대표하는 국가연구망의 향후 발전방향을 선진 국가연구망의 비교분석 및 사회가 요구하는 연구망의 역할 변화에 맞추어 조망해본다. 또한 국가연구망 백본의 40Gbps 및 100Gbps급 초광대역 네트워크화,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Science DMZ 기반의 망분리, 마지막으로 BRO 기반 프로그래머블 가능한 캠퍼스 네트워크 Lastmile 보안 환경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치과병원에서 치료시 발생하는 소음특성 (Characteristics of Noise Radiated at Dental Clinic)

  • 지동하;최미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3-1128
    • /
    • 2009
  • 치과병원에서 가동되는 기기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치료시(스케일링, 치아제거) 및 비치료시(기기만 가동) 소음특성(소음도,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PSIL, NR과 같은 평가방법으로 분석하고 환자들의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도의 범위는 67.7~78.3 dB(A)로 4 k (Hz) 이상의 고주파성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소음에 민감한 반응(기분이 거슬리거나, 병원방문을 망설임, 소름이 돋움, 깜짝 놀람)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SIL에 의한 소음 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 환자와 치과종사자의 대화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NRN에 의한 각 실의 소음기준(ISO) 중 작업장의 소음기준(NRN 60~70 dB(A))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방음보호구 제공,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마스킹 효과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 제공하면 치과의료서비스 질을 개선하고 치과병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독성영향평가 (Ecotoxicity Assessment of Leachate from Disposal Site for Foot-and-Mouth Disease Carcasses)

  • 김동우;유승호;장순웅;이정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5-11
    • /
    • 2014
  •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이하 구제역침출수)의 생태계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유공관 또는 관측정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생태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은 환경부 기준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지표 항목 중 염소이온($Cl^-$)과 암모니아성질소($NH{_4}{^+}-N$)농도, 그리고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안한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지표인 NRN(Ninhydrin-Reactive Nitrogen)농도를 분석하였고, 생태독성시험은 발광박테리아(V. fischeri), 담수미세녹조류(P. subcapitata), 그리고 물벼룩(D. magna)을 생물종으로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결과와 V. fischeri에 대한 독성영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도가 높은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기준 인자를 도출하였고 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반수독성을 유발하는 지표항목의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생태독성영향과 구제역침출수의 수계유출관리법과의 연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 의한 생태계 위해성을 평가하고 향후 관리 기준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A Study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noise occurred when medical examination in dental clinic

  • Ji, Dong-Ha;Lee, Yong-Gy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63-17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ise from dental clinics on workers and to establish a reduction plan. The noise generated by the treatment instrument(Ultrasonic scaler, Hand piece, 3-way syringe, Suction, Compressor) was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level, frequency) of the noise during medical treatment(Oral prophylaxis, Conservation treatment, Prosthesis treatment, Implant Scaling, Tooth eliminating). We also assessed the noise levels in dental clinic using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NR-curves and NR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was 85dB(A) ~ 70dB(A) and that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was dominant, which would affect the workers working at the dental clinic. The NR-curve analysis showed NR-67 to NR-83 and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4kHz to 8kHz were predominant and far exceeded noise levels in the workplace. To minimize the noise damage of worker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such as wearing a soundproof and periodic hearing tests.

연구망 운영효율 강화를 위한 NFV 인프라스트럭쳐의 구성방안 연구 (A Study on deployment strategy of NFVI for enforcing NRN's operation & management)

  • 이원혁;김현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5-356
    • /
    • 2015
  • ICT 및 연구관리환경의 다변화와 발전방향에 비추어, 연구망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환경을 NFV기반으로 구축하고, 발전하기 위한 NFVI 구성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치과병원의 소음특성과 적절한 대화거리 (The Noise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 Talk Distance in Dental Clinic)

  • 지동하;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16-2523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가동되는 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진료 시(스케일링, 보존치료, 보철치료, 임플란트)에 소음도와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NR곡선과 NRN을 이용한 실내소음 수준 및 PSIL을 이용하여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대화거리 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료 시 소음레벨dB(A)의 범위는 69.3~81.5dB(A)이고 고주파성분(4K(Hz)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작업장의 소음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으며 PSIL에 의한 환자와 치과병원근무자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거리는 1m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고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만족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여건 조성을 위하여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ANC기술개발, 마스킹 효과, 흡음재 부착, 별도의 대화공간 확보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므로 치과의료 서비스 질 및 치과병원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